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승만 작 <고목가>의 문학사적 의의

이용수 140

영문명
Meaning of Seung-man Lee’s Gomokga in the Literature History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이복규(Lee Bok Kyu)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0권 5호, 457~48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0.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승만 작 <고목가>만을 대상으로 처음 본격적으로 살펴보았다. 얻은 결과를 요약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승만의 <고목가>는 한시의 기승전결 구조로 분석이 가능하다. 이승만이 한시를 지은 인물이기에 나타난 결과라고 여겨진다. 둘째, 이승만의 <고목가>(1898)가 신체시인가 아닌가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음수율이 아니라 음보율로 접근해야 한다. 그렇게 보았을 때, <고목가>는 명백히 최초의 신체시다. 연(stanza) 안에서는 음보율의 변형을, 연과 연끼리는 정형성을 유지하고 있어, 전통시와 자유시의 과도적 형태인 신체시가 분명하다.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1908)보다 10년 앞서 나온 작품이다. 이 견해가 맞다면, 한국문학사에 편입해야 한다. 셋째, 이 작품의 원천 작품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이양연(Lee, Yang-yeon 1771-1853)의 <탁목(Takmok)>이란 한시가 그것이다. 5언절구 총 20자 한시로, 4연 총 172자 한글 시로 재창작하였다. 한문 지식 위에 한글, 영어, 기독교 경험(찬송가), 자주독립과 민중계몽 의식이 어우러져 빚어진 결정체인 셈이다. 자신의 지식을 바탕으로 몸담고 있는 사회현실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그 해결책까지 모색하되, 누구나 읽을 수 있는 한글을 매체로 삼아, 감응력 있는 시가로 표현하였다.

영문 초록

Gomokga written by Seung-man Lee was reviewed earnestly at the first time. The results and the sugges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omokga (1898), a Korean work written by Seung-man Lee, was the first new-style poem. The past opinions that it was not a new style poem were based on the empathies of Syllabic System which was the approach on Chinese poetry or Japanese poetry with a fixed form. The approach to this poem is right with foot meter. Considering this, it is evident Gomokga is the first new-style poem. It sustained the modification of foot meter within the stanza and fixed form between stanzas, which demonstrates a type of new-style poem, transient form between traditional and liberal poetries. It came out 10 years before the publication, ‘from the sun to the boy’ written by Nam Sun Choi (1908). If this opinion is right, it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econd, the original source of this poem was found, which was Takmok, a Chinese poem by Yang-yeon Lee (1771-1853). It was a Chinese poem with 20 letters and 5 verses and was recreated as a Korean poem with 172 letters and 4 stanzas. It seems to be the crystalized outcome of the harmonies with Korean, English, Christian experiences (hymn), ideas of independence and enlightening people based on the knowledge of Chinese letters. It revealed the problems of the real society and sought the solutions based on his knowledge, but he described it as the poem with sensitivity using Hangul as a media whoever could read. Gomokga was ended with nouns up to the third stanza, which was very unusual in the Korean poetry. It was common in Waka and Haiku, Japan, and identified in the present proses in Jap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it whether it was influenced by Japan or other reasons.

목차

1. 여는말
2. 이승만 작 <고목가>의 원문 및 해석
3. 이승만 작 <고목가>의 신체시로서의 면모
4. 이승만 작 <고목가>와 원시(原詩)와의 차이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복규(Lee Bok Kyu). (2019).이승만 작 <고목가>의 문학사적 의의. 리터러시 연구, 10 (5), 457-480

MLA

이복규(Lee Bok Kyu). "이승만 작 <고목가>의 문학사적 의의." 리터러시 연구, 10.5(2019): 457-4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