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반응형 수업모델 개발과 적용사례 연구

이용수 93

영문명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sponsive Humanities and Humanitie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 With a Focus on Korea Polytechnic University’s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Course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이병순(Lee Byung Soon) 장미영(Jang Mi Young)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1권 1호, 271~30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대학생의 인문·인성 교육에 효과적인 ‘문학’ 관련 교과목 수업모델 을 기획하는 데에 있다. 즉 학생들이 ‘문학’ 수업을 통해 인문학을 수용하고, 나아가 인문학에 주체적으로 반응하여 자신의 학습 경험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국문학의 이 해> 교과목 수업모델을 구성해 보는 것이다.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 학생들은 주 어진 상황과 과제에 맞는 적절한 지식과 정보를 선별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런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방향으로 교육 내용이 변화해야 하는데, 이때 부각 된 것이 핵심역량 개념이다. 역량기반 대학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새로운 형태의 교육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본 연구는 그러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부응할 수 있는 수 업모델을 개발하여 적용 사례를 검토하였다. 대학에서 ‘문학’은 ‘인문·인성’(Re:Humanity)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교과목이다. 본 수업모델로 수업을 진행하게 되었을 때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한국문학의 이해> 수업은 철저히 학습자 중심으로 수업이 운영되고,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스스로 인문·인성 교육을 체득하게 될 것이다. 둘째 현대, 단편, 소설 중심 의 문학 작품의 독서와 토론은 인문학의 바탕이 미흡한 대학생들에게 감성지수를 향 상시키고, 아울러 ‘나’와 ‘타인’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궁극적으로는 공감 능력을 신장시킬 것이다. 셋째 학생들은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텍스트를 읽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삶을 성찰할 기회를 갖게 된다. 뿐만 아니라 텍스트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갈등과 솔루션의 예를 제공함으로써 문제해결능력을 갖추게 할 것이다. 넷째 본 모델을 적용하여 교과목을 개선했을 경우, 학습자들은 문학작품 속에 내포된 무궁 한 상상력을 자신의 전공 영역과 결합하여 좀 더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 역량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ign a curriculum model related to literature which is effective for the humanities and character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other words, students will construct a course outline of in order to allow students to accept the humanities through the Literature class and to express their own learning experience by reacting to the humanities. In a knowledge-bas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students should be capable of selecting and using the appropri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a given situation and task. The content of education should b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developing these abilities and attitudes, and the emphasis is on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ies. Competency-based university education requires a new form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paradigm, and this study developed an instructional model that could respond to such a new education paradigm and reviewed its application cases. In college, literature is a very important subject for the education of humanities. Expected effects are as follows when class is progressed with this class model. First, the class is thoroughly operated by learners, and in the process, students will acquire humanities and humanity education by themselves. Second, reading and discussion of literary works focusing on modern, short and novel improves the emotional index for college students who lack the basis of the humanities, and broadens their understanding of ‘I’ and ‘others’ and ultimately develops empathy. I will. Third, students have the opportunity to read the text based on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to reflect on their lives in the process. In addition, they will be able to solve problems by providing examples of various conflicts and solutions that exist in the text. Fourth, if the curriculum is improved by applying this model, learners will be able to secure more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ability by combining the infinite imagination embedded in literary works with their major field.

목차

1. 서론
2. 반응형 인문교육 수업모델 개발-‘문학’ 수업의 경우
3. 수업 사례: 청년 세대의 현실과 “윤리”-김애란의 ‘서른’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순(Lee Byung Soon),장미영(Jang Mi Young). (2020).반응형 수업모델 개발과 적용사례 연구. 리터러시 연구, 11 (1), 271-300

MLA

이병순(Lee Byung Soon),장미영(Jang Mi Young). "반응형 수업모델 개발과 적용사례 연구." 리터러시 연구, 11.1(2020): 271-3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