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기 고구려의 기층문화 연구 ②

이용수 123

영문명
A Study on the Traditional and Basic Culture of the Early Goguryeo ②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하문식(Ha, Moon-Si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63輯, 61~8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초기 고구려의 기층문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신빈 지역의 소협하 유역에서 조사된 동굴무덤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소협하는 신빈 지역의 해발 500m 이상 되는 산지 지형에 흐르는 물줄기로 주변이 카르스트 지형이기에 석회암 동굴이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동굴무덤은 대부분 강가의 낭떠러지에 위치한다. 신빈 지역의 동굴무덤 구조는 돌덧널과 움무덤이 섞여 있고 대부분 무덤방 위에 돌무지 시설이 있다. 묻기는 화장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졌던 것으로 밝혀졌다. 소홍석립자 동굴무덤의 경우 돌무지 속에서 많은 토기 조각이 조사되어 파쇄 의례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짐승뼈가 껴묻기된 것은 영생을 바라는 당시 사회의 내세관은 물론 장송의례에 이용된 상징-제의의 짐승으로 해석된다. 껴묻거리는 석기, 토기, 청동 유물, 짐승뼈, 뼈연모, 조가비로 만든 꾸미개 등 상당히 다양한 편이다. 석기는 나무를 다듬고 자르는데 필요한 외날 돌도끼, 돌끌, 돌자귀 등 공구용 연모가 많이 조사되어 나무그릇의 제작뿐만 아니라 집짓기에 가구(架構)를 이용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토기는 굵은 모래가 많이 섞인 갈색 계통의 민무늬가 대부분이다. 항아리를 비롯하여 단지, 바리, 사발 등 여러 기형이 있다. 토기 가운데 미송리형 토기와 가지무늬 토기가 출토되었다. 미송리형 토기는 소홍석립자 동굴무덤에서 조사되었다. 몸통과 목의 경계 부분이 뚜렷하며 몸통은 타원형으로 다리 모양 가로손잡이 한 쌍과 반달 모양 손잡이 한 개가 달려 있다. 묶음줄무늬는 4~5줄을 새겼으며 4곳에 있다. 이 토기는 고조선의 표지 유물로 고조선과 초기 고구려의 관련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가지무늬 토기는 용만 동산, 소홍석립자, 조양, 마가자 얼음 동굴무덤에서 찾아졌다. 바탕흙은 아주 고운 찰흙이고 토기의 두께는 0.3cm로 얇다. 겉면은 윤이 나고 입술은 바깥으로 바라진 모습이다. 흑색의 가지무늬는 세로 방향으로 4곳(용만 동산) 또는 5곳(소홍석립자)에 길쭉하게 새겨져 있다. 청동 유물은 둥근꼴의 얇은 꾸미개가 2점 찾아졌는데 마성자문화의 장가보 A동굴에서 출토된 것과 비슷한 점이 많다. 청동기가 출토된 장가보 A동굴은 방사성 탄소연대 측정 결과 기원전 13세기경으로 밝혀져 소협하 유역 동굴무덤의 연대를 가늠하는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신빈 지역의 동굴무덤은 유적의 분포 관계, 무덤의 구조나 장례습속, 껴묻거리 등으로 볼 때 초기 고구려의 기층문화를 이해하는데 좋은 참고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archaeological data on cave tombs in Xinbin region to understand the basic culture of the early Goguryeo. Since the Xinbin area is a karst formation, there are many limestone caves, most of the cave tombs in the area are located on the cliff of the river. The cave tombs of the Xiaojiahe basin show a mixture of stone lined tombs and coffin tombs, and most of them have stone mound facilities on top of the burial chamber. It turned out that cremation was common. In the case of the cave tomb of Xiaohongshilazi, many pieces of potteries were found in the stone mound, which shows that there was a ritual of crushing. The funerary objects like beast bones also tell the view of afterlife at that time wishing eternal life. There are a wide variety of funerary objects such as stone tools, potteries, bronze artifacts, animal bones, bone tools, spindle whorls, and decorative ornaments made of shells. Stone tools such as stone axes, stone chisels, and stone adzes needed to trim and cut trees have been excavated. Most of the potteries have brown plain coarse patterns. There are many body frames, including pots, small pots, and bowls. Misongri type pottery and pottery with eggplant design were excavated. Misongri type pottery were excavated from the cave tomb of Xiaohongshilazi. The body is oval and has the horizontal bridge-shaped vessel ‘ears’ and the lip-shaped vessel ‘ears’. On the surface of the pottery, the bundle stripes are engraved on the four parts with 4~5 lines. These pottery are important relics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joseon and the early Goguryeo. Pottery with eggplant design were found in Longwandongshan, Xiaohongshilazi, Chaoyang, and Majiazibing cave tombs. The paste is fine clay and the pottery is 0.3cm thick. The outer surface of the pottery is glossy with black eggplant design carved at 4 parts in Longwandongshan or 5 parts in Xiaohongshilazi. Two round-shaped thin ornaments, bronze artifacts, were found in Xiaohongshilazi and namtun, which are similar to those excavated from Zhangjiapu A catacomb in Machengzi culture. Accordingly, the date of the cave tomb seems to be around the 13th century B.C. which is the result of C14 radiocarbon dating of Zhangjiapu A catacomb. The distribution relationship of sites, the structure of the tombs, burial customs, and the funerary objects examined in the cave tombs in Xinbin area will be a good source for understanding of the base culture of the early Goguryeo.

목차

Ⅰ. 머리말
Ⅱ. 근래에 조사된 동굴무덤의 대개
Ⅲ. 유적의 지세와 동굴의 대개
Ⅳ. 동굴무덤의 구조와 장례습속
Ⅴ. 동굴무덤 출토 껴묻거리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문식(Ha, Moon-Sig). (2020).초기 고구려의 기층문화 연구 ②. 선사와 고대, 63 , 61-86

MLA

하문식(Ha, Moon-Sig). "초기 고구려의 기층문화 연구 ②." 선사와 고대, 63.(2020): 61-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