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여 정림사 소조상의 출토 층위와 목탑 존재의 검토

이용수 181

영문명
A Study on the Soil Layer of Clay Figure and the Existence of Wooden Pagoda in Jeonglimsa Temple, Buyeo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조원창(Cho, Won-Chan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63輯, 169~19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림사지 오층석탑 하부에는 축기부 판축토가 약 6.2m 너비로 조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김정기는 목탑과 관련된 유구로 이해하고, 석탑 이전에 목탑이 존재하였을 것이라는 이론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정림사지에서 수습된 소조상들이 탑내소상으로 해석되면서 정림사 목탑존재설은 더욱 더 연구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그런데 정림사지에서 수습된 소조상들의 출토 층위를 보면 이것들이 정림사 창건 성토층 아래의 기와구덩이와 서회랑 남단 西석축배수로의 뒤채움토에서 검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출토 양상은 결과적으로 소조상들이 정림사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주변 유적의 폐기물이었음을 파악케 하고 있다. 이상의 고고학적 층위 검토는 한편으로 축기부에서 목탑의 심초석이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즉 정림사가 사비천도 후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 목탑이 조성되었다면 이는 심초석이 지하에 설치되었음을 의미한다. 대체로 지표면에서 심초공까지의 깊이가 약 150~250cm 정도였음을 볼 때 현재의 축기부 층위는 해당 높이만큼 굴토·삭평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정림사지 토층도에서 이러한 삭평 흔적이 전혀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주변 건물들과의 경관성, 그리고 여타 사지의 중창 사례 등을 고려해 볼 때 정림사지에서의 삭평·정지는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정림사에서의 목탑 존재 가능성은 희박할 것이라 생각된다.

영문 초록

In the lower part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the Jeongrimsa Temple Site, the foundation soil is formed to 6.2m width. Kim Jeong-gi understood the remains related to the wooden pagoda and suggested the theory that the wooden pagoda would have existed before the stone pagoda. And the clay figures excavated from Jeongrimsa Temple site were interpreted as the figures enshrined inside the pagoda, the theory of the existence of the wooden pagoda of Jeongrimsa Temple has been further studied. However, the soil layer of the clay figures excavated from Jeongrimsa Temple Site shows that these were excavated from the tile pits under the soil layer in the foundation of Jeongrimsa Temple and the reinforced soil of the stone drainage at the southern end of the west corridor. As a result, the excavation shows that the clay figures were remnants of the surrounding remains that were not directly related to Jeongrimsa temple. The above archaeological layer review can also be understood that the central foundation of the wooden pagoda is not confirmed at the foundation. In other words, if a wooden pagoda was built in Jeonglimsa Temple at a time not long after Sabicheondo(泗沘遷都), this means that the central stone was buried underground. In general, the depth from the surface to the bottom of the central stone pit was about 150~250cm, which means that the current base layer is as low as the corresponding height. However, none of these traces have been found in the soil layer of Jeongrimsa Temple Site, and considering the surrounding buildings, the drainage and the other case of reconstructions, etc, it is difficult to expect to be low or halt at Jeongrimsa Temple Site.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a wooden tower in Jeongrimsa Temple Site is considered to be slim.

목차

Ⅰ. 머리말
Ⅱ. 정림사 소조상의 출토 층위와 폐기 시기
Ⅲ. 층위로 본 정림사 목탑의 존재 유무 검토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원창(Cho, Won-Chang). (2020).부여 정림사 소조상의 출토 층위와 목탑 존재의 검토. 선사와 고대, 63 , 169-198

MLA

조원창(Cho, Won-Chang). "부여 정림사 소조상의 출토 층위와 목탑 존재의 검토." 선사와 고대, 63.(2020): 169-1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