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평원·영양왕대 고구려 불교조각에 대한 고찰

이용수 127

영문명
A Study on the Buddhist Sculptures of Goguryeo during the reign of King Pyeongwon and King Yeongyang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최성은(Choe, Songeun)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63輯, 87~141쪽, 전체 5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0
9,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구려가 정치적으로 안정되었던 25대 평원왕(559~590)과 26대 영양왕(590~618)이 재위했던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초까지 약 반 세기 간의 불교조각을 통해서 중국 南北朝와 倭에 대한 고구려의 불교문화 교류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평원왕 18년(576) 북제에 갔던 고구려 승려 義淵은 法上의 가르침을 받고 귀국하여 고구려 불교를 一新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의연은 북제에서 여러 불교 典籍을 가져왔으며, 이때 북제 불상도 고구려에 전래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평원왕 12년(570)에는 왜국에 사절을 보내 외교적 관계를 시작하였으며 영양왕 6년(595)에 왜로 건너간 慧慈(?~622)는 20년간 聖德太子의 스승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僧隆과 雲聰(602년)을 비롯해서 慧灌(605년) 및 曇徵과 法定(609년) 등도 왜로 건너가 수준 높은 고구려 불교를 알린 기록이 있다. 불교문화를 앞세운 對倭 교섭에서 ‘금동불상’은 고구려 왕실이 왜 조정에 보내는 중요한 예물이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현재 전하는 飛鳥時代 불상들 가운데는 고구려 불상들과 이 상들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불상들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평원·영양왕대의 고구려 불교조각으로 소형의 在銘 일광삼존불상들이 전해오고 있는데 소형의 상들을 통해 당시 불교조각의 전모를 파악하기는 어려운 면이 있으나 6세기 불교조각은 5세기 후반의 고식적인 요소와 6세기의 새로운 요소가 섞여 있는 복합적인 양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일본에 전해오는 大津 石山寺 금동불입상, 法隆寺 헌납보물 143호 금동삼존불상, 飛鳥寺 금동장육불좌상[飛鳥大佛]을 이러한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石山寺 금동불입상과 法隆寺 헌납보물 143호는 고구려에서 전래된 불상으로 판단되며, 飛鳥寺 금동장육불좌상(飛鳥大佛)은 고구려에서 전해진 불상의 範本을 기초로 하여 제작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의 두 상에서는 古式요소와 새로운 요소가 混在하는 점을 근거로 하였다. 飛鳥寺 금동장육불상에서는 착의형식의 일부분이 발해초기 이불병좌상에서 나타나는 고구려적인 요소를 보이는 점과 飛鳥寺 가람배치가 고구려의 일탑삼금당식이라는 점, 飛鳥寺 건축에 고려척[고구려척]이 사용된 점, 영양왕이 飛鳥寺 불상의 주조에 황금 삼백냥을 보낸 기록을 들어 飛鳥寺 창건과 불상조성에 고구려의 영향이 중요하게 작용했을 것으로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Buddhist sculptures from the late sixth to early seventh century, when Goguryeo was politically stable during the reign of King Pyeongwon(平原王, r.559~617) and Yeongyang(嬰陽王, r.590~617), to discover the Buddhist cultural relations between Goguryeo and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of China, and between Goguryeo and Asuka of Japan. In 576, the Buddhist monk Uiyeon(義淵) visited Northern Chi to meet with Chief Reverent monk Faxiang(法上), an eminent figure of the Daśabhūmikā school of Buddhism. When Uiyeon returned to Goguryeo in the year 576 or 577, it is assumed that he brought back a few Buddhist scriptures and images from Northern Chi, and that he renewed Goguryeo Buddhism. In 570, King Pyeongwon sent an envoy to Japan to start diplomatic relations and, years later, King Yeongyang sent the monk Hyeja, who stayed for twenty years in Japan as a teacher of Prince Shotoku. Many other Buddhist monks of Goguryeo were sent to Japan, and they developed the Buddhist culture of Asuka Japan. Several extant Buddhist images dated to King Pyeongwon and Yeongyang periods, though small in size, show that old traditional stylistic features of the later half of the fifth century are mixed with new aspects of the style of the sixth century in a single imag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Goguryeo Buddhist sculptures, three Buddha images in Japan-gilt-bronze image of Ishiyama-dera(石山寺) at Otsu, No. 143 gilt-bronze Buddha triad of Horyuji(法隆寺) now in Tokyo National Museum, and gilt-bronze Great Buddha image of Asuka-dera(飛鳥寺)-are stylistically and iconographically examined in comparison to the Buddhist sculptures of China and Korea in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From this investigation, it is fair to assume that the Ishiyama-dera image and No. 143 of Horyu-ji were most likely produced in Goguryeo and sent to Japan, and that the Great Buddha of Asuka-dera were reproduced based on the model from Goguryeo. The two former images display a unique mixture of old and new styles, which is rarely found in Chinese images of the sixth century. The latter, the Great Buddha image of Asuka-dera, which suffered fire damage during a thunderstorm and lost most of its original shape, shows a ribbon knot of innerwear. It was quite similar to that of Balhae Two Buddhas Seated side by side of the Balhae period, whose Buddhist art and culture was a continuation of Goguryeo.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the ground plan of Asuka-dera, ‘three buildings facing one wooden pagoda’, is the same as that of Buddhist monasteries of Goguryeo in Pyeongyang. The foot of Goguryeo wa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suka-dera. Nihon Shoki says that King Yeongyang sent three hundred tael of gold for the production of the Great Buddha image of Asuka-dera.

목차

Ⅰ. 머리말
Ⅱ. 평원·영양왕대의 對外관계와 불교문화 교류
Ⅲ. 평원·영양왕대 불교조각의 성격
Ⅳ. 일본 소재 고구려(계) 불교조각
Ⅴ. 일본 소재 고구려(계) 불상에 표현된 평원·영양왕대의 불교조각의 諸요소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성은(Choe, Songeun). (2020).평원·영양왕대 고구려 불교조각에 대한 고찰. 선사와 고대, 63 , 87-141

MLA

최성은(Choe, Songeun). "평원·영양왕대 고구려 불교조각에 대한 고찰." 선사와 고대, 63.(2020): 87-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