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강화도 출토 고려 후기~조선 전기 막새의 성격

이용수 102

영문명
Features of Roof-end tile excavated from Ganghwado Island in Late Goryeo~former part Joseon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이상규(Lee, Sang-Kyu)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63輯, 199~22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강화지역은 고려 후기 몽골의 침략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고려의 수도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는 고려 수도인 개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가 어려운 현재에 있어서 중요한 연구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강화도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는 개발행위에 따른 구제발굴 및 고려 왕실 무덤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강화도 내에서 조사되는 유적 중 다수의 사례에서 고려 시대 유구가 확인되고 있으며, 기와의 경우 강화 선원사지를 비롯하여 고려 왕릉 부속 건물, 궁전지로 추정되는 관청리 일대의 건물지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강화 선원사지, 강화 곤릉 이외에 8개 유적에서 확인되는 고려 시대 막새를 중심으로 기와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고려 시대 사용된 막새는 제작기법이 조선 시대와 유사하게 정형화된 형태이며, 특징적인 문양인 일휘문과 범자문 등이 새롭게 나타나고 있다. 강화지역 출토유물도 이와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수막새에 사용된 문양으로는 연화문이 시문 된 형태가 가장 많이 확인되고 있으며, 일휘문, 범자문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연화문의 경우 꽃잎의 형태나 표현양식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가 보고되었으나 특징적인 부분은 자방의 표현 방법이 일휘문의 반구형과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일휘문이 12세기 고려 막새의 대표적인 문양이라는 점을 생각할 때 과도기적인 성격이 아닐까 추론해본다. 일휘문의 경우 비교적 사용 시기가 명확한 강화 곤릉이나 능내리 석실분에서 주로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다. 이외에도 선원사지나 고려 시대 건물지로 비정되는 유적에서 출토되고 있다. 범자문 막새는 연화문과 조합되어 사용되는 예가 선원사지와 용장사지 사역 내에 위치한 국화리 463-1·3번지 유적에서 출토되고 있다. 두 유적에서 출토되는 수막새의 경우 표현양식이 매우 유사하나 시문 된 범자의 글귀는 다른 것으로 확인된다. 이와 유사한 형태가 양주 회암사지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강화도에서는 장방형의 모양이 활처럼 휘어지는 호장형과 역삼각형의 드림새에 내곡이 나타나는 형태가 확인된다. 호장형의 경우 일휘문과 당초문, 초화문, 모란문 등이 시문 되는데 이는 수막새의 일휘문, 연화문 등과 조합을 이뤄 사용된 것으로 여겨진다. 남아있는 등기와의 타날문양이 확인되는 예도 있어 평기와와의 연관 관계를 유추해 볼 수 있으며, 등기와의 접합 각도는 직각이다. 역삼각형의 모양을 띠는 암막새는 연화문, 범자문 등이 확인되고, 등기와의 접합 각도가 둔각을 이뤄 호장형에 비하여 후대의 제작 속성을 보인다.

영문 초록

Ganghaw area was temporarily responsible for the role of the capital because of Monggol invasion, This means that the area is important because Gaseng, the capital of Goryeo is difficult to do archaeological survey. In Ganghaw we can see the excavation according to development activity and the study of Goryeo royal tombs. The remains in Ganghaw is almost made in Goryeo. In case of the roof tile we can find it in Senwon temple site, the additional building of Goryeo kings and the building of palace in Ghancheng-ri. In here I want to see the change of the roof tile based on remains in Goryeo period finding in 8 remains aside from Ganghwa Senwon temple site and Gon tomb in Ganghwa. The remains in Goryeo was similar to Joseon’s i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we can find the unique pattern, form Ilhi-form, Bumja-form. In Ganghwa there were the similar remains. The pattern in Sumaksae was almost Yeonhwa form and also there was Senwon temple site. In case of Yeonhwa form, the shape of the petal and the way of the expression was various but the shape of Jabang was similar with the semicircle of Ilhi-form. After 11 century it would be the typical one. In case of Ilhi-form we can find in Gon tomb, Neungnaeri tomb which had the clear using time. Also we can find it in 463-1, 3. The remains in both area was similar but the phrase in remains was different. This was similar with the site of Hoiam temple in Yang ju. In Ganghwa we can see the shape of Hojang which is the arched arrow and the inverted triangle. Aside from it we can find that in the building site of Gorey area. The example of the combination with the Bumja and the Yeonhwa was in Senwon temple site and Younghwa temple site. In Hojang form it was carved on Ilhimun, Yeonhwa form. Also we can see tanal form in the roof tile. The angle of connection in Deung roof tile is the acute angle. The Ammaksae which have the shape of the inverted triangle was in Yeonhwa form and Bumja form and its connection angle was the obtuse. This means that it was made after Hojang form.

목차

Ⅰ. 머리말
Ⅱ. 주요 유적
Ⅲ. 문양의 종류와 제작기법
Ⅳ. 막새의 성격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규(Lee, Sang-Kyu). (2020).강화도 출토 고려 후기~조선 전기 막새의 성격. 선사와 고대, 63 , 199-227

MLA

이상규(Lee, Sang-Kyu). "강화도 출토 고려 후기~조선 전기 막새의 성격." 선사와 고대, 63.(2020): 199-2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