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래시장 장소성 형성에 미친 전통지리사상 연구

이용수 250

영문명
The Study on the Pungsoo Geography Influenced at the Placenes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s: Focusing on Chilseong Market in Taegu City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소해(Kim, So Hae)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75집, 79~10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재래시장이 형성되어 그 장소정체성을 갖는 것은 많은 복합적 의미를 지닌다.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장소가 아니라 한 장소에 그려진 역사의 기록임과 동시에 다양한 문화와 융화되어 또 다른 하나의 문화가 탄생된 곳이기도하다. 한 공간이 장소정체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수많은 복합적 조건이 성립해야하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재래시장은 상업적 기능이 주된 목적이기는 하지만물건을 사고파는 상업적 기능만 작용하는 단순한 공간이 아니다. 문화와 역사를 매개하고 또 기록되는 곳이어야 한다. 아울러 사람이 살게 되는 곳은 어떤곳이어야 하는가 하는 지리적 측면에서도 의문을 가지게 된다. 사람의 삶의터전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합목적적 기능을 위해서는 어떤 공간이 선택되는가? 이 공간은 어떠한 지리적 특성 즉 장소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선택된공간이 합목적적 기능을 하기 위해서 어떠한 장소화가 이루어져서 그 지역의공간정체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장소정체성을 지니게 되는가? 장소정체성을지니고 있다 하더라도 아무런 변화가 없을 수는 없으므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반드시 탈장소화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어떤 목적적 기능을 가지게 되는방향으로 탈장소화가 진행되는가 하는 것은 본래 공간이 갖는 장소정체성에따라서 삶의 합목적적 기능을 위해 공간이 활용될 때 알게 모르게 영향을 받는 풍수지리적 측면의 접근과 함께 미래지향적 측면에서 고찰해보는 것은 상당한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영문 초록

It is meaningful with the multiplic ative fac tors for the traditional market to have the place-identity. It is not a mere place where to buy and sell the goods, it is the place where to record the history, at same time it is the plac e where to regenerate the new another c ulture by being harmonized with the various other cultures. We can find there are the multiplicative factors that one place may have the place indentiy. The main purpose of the traditional market is the commerce and the pursuit of the profit, but it is no a simple place with the function to buy and sell the goods. It should be the place to mediate the culture and the history. We have a question in the aspect by pungsoo geography what kind of the plac e should be properly for the life of the people? What kind of place should be chosen for the proper purpose of the function for the human life? It is needed to research how the place-identity or the placeness be formed through place-making. What the placeness is basically formed by pungsoo geography, as it were what the placeidentity is, by what plac e-making is ac tivated, and what the influenc es of the pungsoo geography is for plac e-maknig, these are what to be needed to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재래시장의 전통지리와 장소성
Ⅲ. 칠성시장의 문화지리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해(Kim, So Hae). (2020).재래시장 장소성 형성에 미친 전통지리사상 연구. 민족문화논총, 75 , 79-104

MLA

김소해(Kim, So Hae). "재래시장 장소성 형성에 미친 전통지리사상 연구." 민족문화논총, 75.(2020): 79-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