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가야의 權力集中過程에 대한 試論

이용수 335

영문명
An Essay on Dae-gaya’s power concentration process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이형기(Lee, Hyounggi)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75집, 217~24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가야는 고대국가로 성장하지 못하고 신라에 멸망당한 나라이다. 역사란 승자의 기록만 남기 마련이어서 신라에 의해 멸망당한 가야에 대한 문헌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가야에 대해서 간략하게 전하는 자료로는 『三國史記』와 『三國遺事』, 중국의 『三國志』, 『後漢書』와 『南齊書』, 일본의 『日本書紀』 등의 역사서가 있다. 또한 『廣開土王陵碑文』과 『昌寧 眞興王拓境碑』, 『陜川 埋安里碑』 등과 같은 당대에 만들어진 금석문도 있다. 197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많은 유적들을 발굴조사하게 되고, 그 성과들이 학계에 보고되면서 가야사 연구에 변화가 일기 시작하였다. 고고학 성과들은 문헌자료의 부족을 물질자료를 통해 보완할 수 있게 해주었다. 여기에 더해 최근 정부 차원에서도 가야사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가야사 연구가 활기를 띄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들을 통해 비록 자료의 영성함에도 불구하고 그나마 대가야에 한해서는 구체적인 실체가 조금씩 드러나는 것 같다. 필자는 대가야사를 기본적으로 1~3세기의 삼한소국단계를 지나 4세기의 지역연맹체단계, 5세기 이후의 대가야로 구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부족한 가운데 각각의 단계를 추정할 수 있게 해 주는 盤雲里 瓦質土器遺蹟, 快賓洞古墳群, 池山洞古墳群 등의 고고학 자료들이 확인되는 데서 그러하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연구성과들과 현재까지 알려진 자료들을 바탕으로 대가야의 성립과정과 그 내부체제를 구명해 보고자 시도하기도 하였다. 필자는 5세기대 이후 가야사회를 주도해 나갔던 대가야 최고지배층이 권력을 독점하고, 확장해나가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권력의 집중과정은 피지배층에 대한 통치강화와 다르지 않아 제도적인 장치와 이념적인 측면을 함께 살펴보아야 그 실체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제도적인 장치로서는 중앙 및 지방통치체제의 구축, 신분제의 구축과 정착, 율령제의 시행 등을 들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념적 측면에서 권력집중과정을 살펴보려 하였다. 대가야 권력층이 지배이데올로기를 정립시켜가는 과정에서 보이는 지산동고분군의 축조, 새로운 사상체계의 등장, 건국신화 등을 통해 대가야에서의 권력집중과정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5세기대 이후 가야사회를 대표하고 중국과도 직접 교류하는 등의 대가야 내부체제는 일련의 과정들을 거쳐 정치권력의 집중 또는 안정이 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였을 것이다. 순장, 불교, 건국신화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대가야로의 권력을 집중시킬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Gaya(加耶) is a country that failed to grow into an ancient country and was destroyed by Silla(新羅). Since history is the only record of the winner, there are few l iterature records about Gaya, which was destroyed by Silla. The brief information about Gaya includes historical books such as 『Samguk-Sagi(三國史記)』 and 『Samguk-Yusa(三國遺事)』, 『Samguk-Ji(三國志)』 in China, 『Huhan-seo(後漢書)』 and 『Namje-Seo(南齊書)』, and 『Ilbon-Seogi(日本書紀)』 in Japan. In addition, there are also epigraphs made at the time such as 『Gwanggaetowangreungbimun(廣開土王陵碑文)』, 『Changnyeong Jinheungwang Cheokgyeongbi(昌寧 眞興王拓境碑)』 and 『Hapcheon Maean-ribi(陜川 埋安里碑)』. Since the beginning of the 1970s, many remains have been excavated and investigated, and the achievements have been reported to the academic community, and the study of the Gayasa began to change. Archeological achievements have made it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literature data through material data. In addition to this, as the interest in Gaya has been concentrated at the recent government level, research on Gaya has been vigorous. Through these movements, even though it is spirituality of the data, it seems that the c onc rete reality is revealed little by little to the Great Gaya. I think that the Dae-Gaya can be basically divided into the 1st and 3rd centuries of the Samhan Small Nation and the 4 th c entury of the regional alliance and the 5th and the next. This is because archaeological materials such as Banun-ri ruins(盤雲里瓦質土器遺蹟), Koebin-dong ruins(快賓洞古墳群), and Jisan-dong ruins(池山洞古墳群), which allow each step to be estimated in the shortage, are confirmed. Based on this, attempts were made to find ou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Dae-gaya and its internal system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and the data known to date. I wanted to look at the process of monopolizing and expanding the power of the top rulers of Dae-gaya, who have led the Gaya society since the 5th century. In general, the process of concentration of power is not different from the strengthening of governance over the dominant, so it is possible to grasp the reality by examining the institutional devices and ideological aspects together.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s inc lude the establishment of a central and local governance system, the establishment and settlement of an identity syste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Yulyeong system.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amine the power concentration process from an ideological perspectiv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ruling ideology by the power class of Dae-gaya, it was possible to look through the power concentration process in Dae-gaya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Jisan-dong ruins, the emergence of a new ideological system, and the founding myth. After the 5th century, the internal system of the Dae-Gaya, such as representing Gaya society and directly interacting with China,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 concentration or stabilization of political power through a series of proc esses. It is believed that the power of Dae-gaya could be concentrated naturally through patriotism, Buddhism, and national mythology.

목차

Ⅰ. 머리말
Ⅱ. 지산동고분군의 축조와 순장제의 도입
Ⅲ. 새로운 신앙체계의 등장
Ⅳ. 건국신화의 등장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형기(Lee, Hyounggi). (2020).대가야의 權力集中過程에 대한 試論. 민족문화논총, 75 , 217-248

MLA

이형기(Lee, Hyounggi). "대가야의 權力集中過程에 대한 試論." 민족문화논총, 75.(2020): 217-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