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애장왕대 ‘新創佛寺’ 금지령과 그 의미

이용수 293

영문명
The prohibition of ‘shinchangbulsa(building a new temple)’ in the King Ejang period and its meaning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이민주(Lee Min-ju)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75집, 157~18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9세기 초반은 신라 하대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기로 사회 전반의정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시기였다. 하대를 실질적으로 개창한 원성왕은 비정상적으로 즉위하였기 때문에 태자를 책봉하여 왕권을 강화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그의 바람과는 달리 당시의 신라 사회는 정치적으로 매우 혼란스러웠다. 정치적 상황과는 별개로 이 시기의 불교계에는 특이한 현상이 나타났다. 원성왕系를 중심으로 사찰을 창건하거나 고승을 추모하는 碑들이 건립된 것이다. 원성왕의 아버지와 어머니는 원성왕 즉위 전에 무장사와 갈항사를 중창하였고, 그 후손들은 왕위에 오른 뒤에도 꾸준히 佛事활동을 하였다. ‘新創佛 寺’ 금지령을 내린 애장왕 역시 재위 3년(802)에 海印寺를 창건하였고, 이보다한 해 앞서 애장왕의 어머니인 桂花夫人도 남편의 명복을 빌기 위해 무장사에아미타불을 조성하였다. 원성왕의 선조들은 중대 내내 주류에서 밀려난 세력이었다. 중대는 무열왕의 직계 자손들을 중심으로 권력을 공고히 하였던 시대였기 때문에 주류에서밀려한 세력들이 생겨났다. 김경신(원성왕)은 혜공왕대의 혼란한 틈을 타 중대 왕실과 혈연적으로 가까운 김양상(선덕왕)을 먼저 왕위에 올려 자신의 즉위를위한 과도기를 설정하였다. 선덕왕이 후사 없이 죽자 김주원을 제치고 결국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때문에 원성왕은 이전 시대와는 다른 새로운 신라 사회의 비전을 제시해야만 했다. 원성왕이 새로운 사회의 비전으로 제시한 것은 불교였다. 원성왕系는 하대가 중대와는 다르다는 점을 표방해야만 했고, 그 방법으로 중고기로의 지향을추구하였다. 그 점이 잘 드러나는 것이 이차돈과 아도, 원효, 신행에 대한 추모 현상이다. 애장왕 7년(806)의 ‘新創佛寺’ 금지령 역시 원성왕의 정책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新創佛寺’ 금지령을 내리는 시기와 이차돈, 아도, 원효, 신행에 대한 추모가 이루어진 시기가 일치하고 있다. 또한 ‘新創佛寺’ 금지와 함께 사치품 사용에 대한 규제를 한 것은 진골귀족들의 경제적 기반을 통제하고자 하였던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점은 원성왕을 비롯한 하대의 왕들이 공통적으로 겪었던 즉위 정당성에 대한 부족으로 인한 것이었다. 그들은 모두 각기 다른 이유로 왕권을 위협받았기 때문에자신의 왕위를 위협하는 세력들이 존재하였다. 그들에 대해 규제를 함으로써왕과 진골귀족들을 구분하여 왕의 권위를 높이려는 의도였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early 9th century was a period when the late Silla era(下代) had just begun, and it was a time when the whole society was not properly maintained. King Wongseong, who practically reformed the late Silla era (下代), tried to strengthen his kingdom by serving his prince because he was abnormally crowned. However, unlike his willing, Silla society in the late 8th c entury to early 9th c entury was politic ally very c onfused. Apart from the political situation, there was a peculiar phenomenon in Buddhism at this period. Monuments were built to establish temples or memorials of the ancient monarchs around King Wonseong. Before the crowning of King Wonseong, the father and mother of King Wonseong built Mujang Temple(鍪藏寺) and Galhang Temple(葛項寺), and their descendants continued to do Buddhist activities even after they came to the throne. King Ejang, who banned Shinchangbulsa(新創佛寺), also founded Haein Temple in his third year of reign(802). A year earlier, Gyeonghwa(桂花夫人), the mother of King Ejang, also built Amitabha in the Mujang Temple(鍪藏寺) worship her husband. The ancestors of King Wonseong were the forces that were pushed out of the mainstream throughout the middle period of Silla(中代). The middle period of Silla(中代) was a period in which power was secured around the direct descendants of King Muyeol, and the forces that were pushed out of the mainstream were born. Kim Kyungshin(King Wongseong) set up a transitional period for his ascension by placing King Yangsang(King Seondeok), who is close to the royal family at that time, in the confused gap of the King Hyegong. King Seondeok dies without aftermath and defeated Kim Joowon, eventually himself became the king. Therefore, King Wongseong had to present the vision of a new Silla societ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ra. It was Buddhism that King Wongseong presented as a vision of a new society. King Wongseong had to claim that the late period of Silla(下代) was different from the middle period of Silla(中代) and in that way, he pursuit the Middle-Ancient period of Silla(中古期). It is a remembranc e phenomenon of Lee Chadon, Ado, Wonhyo and Shinheng. So, the prohibition of Shinchangbulsa(新創佛寺) in the 7th year of King Ejang (806) can also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the policy of King Wonseong. The time of prohibition of Shinchangbulsa(新創佛寺) and the time when remembrance was made about Lee Chadon(異次頓), Ado(阿道), Wonhyo(元曉) and Shinheng(神行) were same period. In addition, the ban on the usage of luxury goods, along with the prohibition of the Shinchangbulsa(新創佛寺), was intended to control the ec onomic base of the Jingol aristoc rats. This was due to the lac k of justification for the right of kings who had suffered in common with kings of the late period of Silla(下代) including King Wonseong. Because they were all threatened by kingship for different reasons, there were forces that threatened their throne. By regulating them, we can see that the intention was to increase the king s authority by distinguishing the king from the Jingol(眞骨) aristocrats.

목차

Ⅰ. 머리말
Ⅱ. 원성왕의 즉위와 불교 정책
Ⅲ. 애장왕대 정국 동향과 체제 정비
Ⅳ. ‘新創佛寺’ 금지령의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민주(Lee Min-ju). (2020).애장왕대 ‘新創佛寺’ 금지령과 그 의미. 민족문화논총, 75 , 157-186

MLA

이민주(Lee Min-ju). "애장왕대 ‘新創佛寺’ 금지령과 그 의미." 민족문화논총, 75.(2020): 157-1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