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80년 여성 노동자 글쓰기가 놓인 자리

이용수 371

영문명
The place where female workers’ writing was placed in the 1980s - focusing on writings of mook Us, Shouts, Sunshine in the 1980s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홍지혜(Hong, Ji Hye)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25집, 21~6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1980년대 노동자들이 운동을 통해 자신들의 목소리를 역사에 기입하며 새로운 국민적 합의기반을 형성해갔던 시대상황을 의식하며 무크지 『우리들』(미래사, 1984), 『함성』(창작과비평사, 1985), 『햇살』(형성사, 1986)의 여성 노동자 투고글을 분석했다. 민주화운동청년연합 결성 이후 유화국면이었던 1984년부터 1986년 사이에 창간된 세 노동 무크지들에 실린 여성 노동자 글쓰기에서 ‘신체적 고통’에 대한 서술이 반복적으로 관찰되는데, 그것이 쓰는 자와 읽는 자에게 어떠한 의미로 다가갔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또한 저항성을 띤 문화·문예운동의 측면에서 빗겨난 자리에 틈입한 노동자들의 욕망과 섹슈얼리티에 집중하며 여성 노동자들의 글쓰기에 접근하고자 했다. 1980년대의 문학과 문예의 중심이 노동과 리얼리즘이라는 상식은 여성 노동자들의 글쓰기를 통한 반기억(counter-memory)으로 ‘개인’을 호명하며 해체된다. 당시 노동자들이 감각했던 노동자로서의 정체성은 동일자의 역사, 동일자의 기억으로 재편되려는 속성을 지녔는데, 반기억(counter-memory)이 이러한 동일성에 고착되지 않게 하기 때문이다. 세 무크지의 여성 노동자 투고글은 노동자로서의 주체보다 여성이라는 존재로서의 개인을 전경에 놓았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지점이 1990년대의 문학으로 넘어가게 하는 교차점이 되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1990년대에 들어서며 노동자들의 장르화되지 못한 글들은 점차 사라지게 되는데, 본고는 이 망실의 자리에서 1990년대적 소설의 한 분면이 비로소 시작된다고 보았다. 1980년대에서 1990년대로 넘어가며 실천이 떠난 자리에 무엇이 남아야 하는가에 관한 질문들, 즉 80년대적인 것을 버리지 않되 90년대적으로 풀어나가기 위해 선택되었던 문학(들)의 한 페이지에 1980년대 여성 노동자들의 글쓰기가 놓여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d the writings of female workers who contributed to mook including Us(Miraesa, 1984), Shouts(Changbi, 1985), and Sunshine(Hyeungsungsa, 1986) with the perception that workers in the 1980s recorded their voices in history through social movements, and that the people formed a new national consensus. The contents of ‘physical pain’ repeatedly appeared in a female worker’s article in the three new mook published between 1984 and 1986 when there was peaceful atmosphere after the formation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youth union. And this paper examined what these articles meant to writers and readers. It also accessed the writings of women workers, focusing on the desire and sexuality of workers in a space out of the culture of resistance and literary movement. The common sense in the 1980s, that the center of literature is labor and realism, was dissolved by calling ‘individual’ with counter-memory through women workers’ writings. This was because counter-memory prevented from sticking to the identity although the sense of identity the workers felt as a worker, at that time, had the attribute of being reorganized into the history and memory of the identity. The women workers’ writings in the three mook showed that they prioritized the individual as a woman rather than the individual as a worker. And it is thought that this time became the point of intersection that moved to literature in the 1990s. Also, it was thought that the 1990s-like novel began when the non-genre writing of workers disappeared in the early 1990s. During the 1980s to the 1990s, there are the questions of what should remain where the practice disappeared. In other words, there may be writings of female workers in the 1980s on the first page of literature that was chosen to proceed in the 1990s way without throwing away the 1980s-like ones.

목차

1. 서론 : 현장의 시대, 노동의 이름으로
2. 1980년대 노동 무크지와 여성노동자들의 글쓰기 - 『우리들』, 『함성』, 『햇살』을 중심으로
3. ‘신체적 고통’이라는 감각의 공유와 반기억(counter-memory)
4. 결론 : 탈영토화된 글(들)의 재영토화, 여성노동자 글쓰기와 90년대 문학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지혜(Hong, Ji Hye). (2020).1980년 여성 노동자 글쓰기가 놓인 자리. 구보학보, 25 , 21-60

MLA

홍지혜(Hong, Ji Hye). "1980년 여성 노동자 글쓰기가 놓인 자리." 구보학보, 25.(2020): 2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