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공들의 ‘불온한 방’

이용수 170

영문명
The Rebellious Room of Female Workers - Labor Movement as ‘Making Places’ of Female Workers in the 1970s and 1980s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임희현(Lim Heehyun)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25집, 101~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1970~8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 및 노동 수기에서 표상화된 여성 노동자들의 ‘소모임’ 만들기를 새로운 ‘장소 만들기’의 문제로 이해하고, 여기에서 탄생하는 새로운 ‘장소’의 의미를 구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때 여성 노동자들의 ‘장소’란 여성 노동자의 삶의 공간인 방, 집, 기숙사 등에서 여성 노동자들이 결집한 크고 작은 모임들을 모두 아우르는 것이다. 농촌을 떠나 도시의 공장에서 노동하게 된 여성 노동자들에게 주어진 사적 공간인 ‘기숙사’와 ‘벌집’은 온전한 사적 공간으로 기능하지 못한다. 이렇듯 여성 노동자를 위한 ‘장소’가 부족한 상황에서 주어진 산업선교회의 소모임은 여성들에게 내밀한 사유가 가능하며, 서로 연대할 수 있는 ‘온전한 방’의 경험으로 다가오게 된다. 이를 계기로 여성 노동자들은 수동적으로 장소가 주어지는 것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자신들의 ‘방’을 만들어 나가고, 이를 기반으로 자신들을 향한 억압과 폭력에 저항한다. 이러한 ‘장소 만들기’의 양상은 1980년대 중반까지 여성 노동자들이 노동운동에서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원동력으로서의 의의를 가지며, 다양한 곳에서 자신들의 자리를 박탈당한 작금의 여성 노동자들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the organization of the ‘small group’ by female workers represented in novels and labor memoirs from the 1970s to the 1980s and seeks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term ‘place’. The ‘place’ of female workers includes all large and small gatherings where female workers can assemble, such as rooms, houses, and dormitories. The ‘dormitory’ and ‘honeycomb’, which are private spaces provided to female workers in urban factories who left the country to work, do not function as intact private spaces. Industrial Mission Association, which is one of the few ‘places’ allowed to female workers, gives women experience of having a ‘complete room’ that they can consolidate each other and share their thoughts. It induces female workers to actively create their own ‘rooms’, where become the resistance base against oppression and violence upon them. This aspect of ‘place-making’ has significance as a driving force to support female workers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 labor movement until the mid-1980s, and can still be a valid driving force for female workers who have been deprived of their positions in various places.

목차

1. 서론
2. 간이 숙박소의 삶과 ‘자기만의 방’의 부재
3. 산업선교회 소모임과 ‘온전한 방’의 경험
4. ‘불온한 방’의 탄생: 새로운 ‘장소 만들기’의 의미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희현(Lim Heehyun). (2020).여공들의 ‘불온한 방’. 구보학보, 25 , 101-126

MLA

임희현(Lim Heehyun). "여공들의 ‘불온한 방’." 구보학보, 25.(2020): 101-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