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원가>의 시적 화자별 표현 특색과 문학적 의미

이용수 34

영문명
A Study on Literary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Poetic Narrators in Sangwonga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이상숙(Lee Sang-suk)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104輯, 145~16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상원가>의 화자별 표현 특색과 문학적 의미에 대한 연구이다. 먼저 <상원가>의 내용을 단락별로 나누어 살피고, 남성 화자와 여성 화자의 표현 특징들을 알아보았다. 아울러 이 작품의 주 화자인 남성이 여성 화자의 가사 내용을 삽입하게 된 배경과 이유에 대해 살피고, 문학적 의미가 무엇인지 타진하였다. <상원가>는 정월 대보름에 같은 가문 남녀가 윷놀이를 하면서 벌어진 일들에 대해 읊고 있다. <상원가>의 구성을 살펴보면 1, 2, 3단락은 남성 화자가 모임의 성격과 일시, 윷놀이를 즐기는 장면을 묘사하고, 4단락에서 7단락까지 여성 화자가 등장하여 젊은 남성들을 훈계하거나 남성 성씨를 이용하여 언어유희를 즐기는 등의 내용이 이어진다. 마지막 8단락에서는 윷놀이가 끝나고 사랑방에서 쉬던 남성 화자가 여성이 보내온 가사를 보고 그에 대한 반박과 가문의 화합을 다짐하는 내용을 추가하여 작품을 완성한다. ‘남성 화자-여성 화자-남성 화자’의 구조로 이루어진 이 작품은 기존 화답형 가사와 유사한 형식을 띄고 있으면서 한 작품 내 여성 화자의 가사 내용을 삽입하여 화자가 둘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상원가>는 남성 화자 규방가사에서 흔히 보이는 여성을 향한 부정적 묘사와 일방적 훈계가 아닌 같은 가문의 일원이라는 자부심을 더 드러낸다. 남성 화자의 표현 특색을 살펴보면 모임에 참석한 남성의 의복 묘사가 뛰어나고, 작품 창작 과정을 읊고 있으며, 윷놀이하는 모습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남성 화자가 등장하는 가사 작품에서는 모임에 참석한 인물에 대한 묘사가 드물고 여성의 부정적 묘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반면 <상원가>의 남성 화자는 여성뿐 아니라 남성들에 대한 묘사가 세밀하다. 또, 여성 화자의 작품을 삽입하게 된 과정을 설명하고 있어 창작 배경을 알 수 있고, 가문 모임에서 남녀가 윷놀이를 한 정황도 파악할 수 있다. 여성 화자의 표현 특색은 남성들을 향한 유쾌하고 과감한 발언이 이어진다는 점과 화합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성 화자는 모임의 목적이나 참석 인원에 대한 묘사보다 남성들을 향한 여성으로서의 자부심을 드러내고 남성 성씨를 이용한 유쾌한 서술 등 흥겨운 모임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상원가>는 남성 화자가 여성 화자의 가사를 수용함으로써 두 화자의 작품을 온전히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구성 방식을 취했다고 할 수 있다. 화답형 규방가사의 경우 온전히 가사 작품을 확인할 수 있는 몇몇 작품을 제외하고 한 편만 존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상원가>는 이러한 유실 위험을 덜고 단순화된 구조로 가문의 화합이라는 주제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었다. 또, 이러한 구조를 통해 가문 사람들 모두를 청자로 삼아 그 효과를 배가시켰다. <상원가>의 남성 화자는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남녀 모두가 가문의 화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인지하고 이를 작품을 통해 보여준다. 남성 화자는 여성을 향한 훈계가 아닌 현실적인 비판과 회유를 통해서 가문 모임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uts an in-depth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oetic narrators featured in Sangwonga and their literary meanings. This work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ale narrator dominant lyrics in that two speakers, male and female, appeared and exchanged lyrics. In terms of contents,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realistic and positive contents, not negative and critical contents about women. Sangwonga has a total of 484 versus consisted of 225 pieces from male speakers and 259 from female speakers with 34 more works from females. The first full-moon day of New Year is the time when men and women of the same family gather in one place to socialize and it is well described in the perspectives of a male and a female speaker respectively. The contents are divided into eight paragraphs, of which 1-3 paragraphs (1-141 verses) are for male speakers, and 4-7 paragraphs (142-400 verses) are for female speakers. Paragraph 8 (401-484 verses) reappears with a narration of a male speaker, refusing the lyrics of a female speaker and pledging family harmony. In Sangwonga, men and women exchange lyrics with a focus on a game of yut. These elements are also revealed in other male narrator works such as and ,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elements of KyubangGasa by male speaker which falls into the category of Whajeonga.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in the works of male and female narrators are as follows. Firstly, the male speaker describes the details in men among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gathering. Secondly, he recites the whole creative process of the work. Thirdly, rather than revealing a critical view of women, the narrator mainly describes a game focused on yut. In the beginning, the female narrator continues to speak directly and boldly toward men without telling the date, purpose, and participants of the gathering. In the meantime, she reveals her attitude which tries not to stay away from the theme of family harmony by asking men to take it easy. The work of Sangwonga has similar aspects to the answer type lyrics or the question and answer lyrics exchanged by men and women in a place where family members get together such as a family reunion. The contents of the Sangwonga is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give a glimpse of the modern literary gathering.

목차

1. 서론
2. <상원가>의 작품 경개
3. <상원가>의 시적 화자별 표현 특색
4. <상원가>의 문학적 의미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숙(Lee Sang-suk). (2020).<상원가>의 시적 화자별 표현 특색과 문학적 의미. 어문연구, 104 (1), 145-166

MLA

이상숙(Lee Sang-suk). "<상원가>의 시적 화자별 표현 특색과 문학적 의미." 어문연구, 104.1(2020): 145-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