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문화콘텐츠 방법론으로서 담론분석

이용수 284

영문명
Discourse Analysis as a Methodology of Cultural Contents in Smart Media Generation: Focused on Applicability of Discourse Analysis and Tradition of Cultural Analysis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태지호(Ji-Ho Tae) 권지혁(Ji-Hyuk Kwon)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25호, 179~19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1.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텍스트로서 문화 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빅데이터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위해 기존의 텍스트에 관한 연구 방법론의 전통으로서 구조주의와 해석학의 방법론적 의미와 한계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푸코의 담론 분석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문화콘텐츠 분석의 방법론으로서 담론 분석이 가지는 함의는 무엇인지 논의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문화콘텐츠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다. 문화 분석의 오랜 전통인 구조주의적 방법론과 해석학적 방법론을 고찰하며 이들에 대한 함의와 그 한계에 대해 논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대안적 방법론으로서 미셸 푸코의 담론 분석적 방법론을 제시한다. 담론이란 특별한 의미로서 사물이 생각되어지는 방법과 우리가 그 생각의 기초위에서 행동하는 방식들에 대한 진술들의 집합인데, 이는 세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사물들이 놓여 있는지에 대한 특별한 지식들을 말한다. 담론이 중요한 점은 문화와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해의 관점에 있어서이다. 이러한 담론에 대한 분석은 구조주의적 방법론과 해석학적 방법론의 한계를 보완해 줄 뿐 아니라,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 있어서 다양한 지점에서 양산되는 수많은 문화콘텐츠들의 사회적 의미를 고찰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문화콘텐츠의 주체인 생산자, 소비자의 위상과 이들의 관계 설정을 논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도 하다. 이 연구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오늘날의 스마트 혁명으로 촉발된 빅데이터가 담론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담론 분석이 구조주의와 해석학의 전통을 보완하는 방법론으로써의 가능성을 밝힌 점이 이 연구의 가장 큰 의의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sires to examine methodological tradition and limit of analytics and structuralism as analyzing methodology of cultural contents, and to seek a chance of Foucault’s discourse analysis as this alternative. In addition, the study will discuss what is an undertone of discourse analysis as methodology to analyze cultural contents in a smart media environment. For this, this study discusses a method to analyze cultural contents. Considering structuralist methodology and analytical methodology that are the time-honored tradition of cultural analysis, an undertone of them and the limit were discussed. In addition, as alternative methodology of this, discourse-analytical methodology of Michel Paul Foucault is suggested. Discourse is a collection of statements about a method to think things as a special meaning and a method that we act on the basics of the thought, and means special knowledge about how to understand the world and how things are put. Discourse is important because of viewpoint of understanding culture and cultural contents. An analysis on this discourse not only supplements the limit of structuralist methodology and analytical methodology, but also considers a social meaning of a lot of cultural contents mass-produced in various places in a smart media environment. In addition, this analysis can help discuss status of producer and consumer who are the main agents of cultural contents and discuss the setting of the relations between them. The most important thing of this study is that big data triggered by smart revolution of the day is operated by discourse. The biggest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possibility of a discourse analysis was investigated as methodology to supplement the tradition of structuralism and analytics.

목차

국문요약
1. 문화 분석의 전통과 문화콘텐츠 연구
2. 구조주의와 해석학적 전통
3. 대안적 방법론으로서의 담론 분석
4.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문화콘텐츠와 담론 분석
5. 맺음말 : 빅데이터의 분석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태지호(Ji-Ho Tae),권지혁(Ji-Hyuk Kwon). (2016).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문화콘텐츠 방법론으로서 담론분석. 글로벌문화콘텐츠, (25), 179-199

MLA

태지호(Ji-Ho Tae),권지혁(Ji-Hyuk Kwon).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문화콘텐츠 방법론으로서 담론분석." 글로벌문화콘텐츠, .25(2016): 179-1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