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NCS 직업기초능력 고찰

이용수 106

영문명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skill in NCS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조혜경(Cho Hye Kyung)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3권 제6호, 449~47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표는 역량 기반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 일부 대학과 전문대학이 도입하고 있는 NCS 직업기초능력의 성격을 규명하고 직업기초 능력 중 가장 주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의사소통능력의 정의, 하위능력, 학습목표, 성취수준을 교수자용 매뉴얼과 교육과정 가이드라인 중심으로 고찰하면서 문제점과 대안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역량 기반 교육과정은 표층적으로 드러나는 지식과 기술만이 아니라 심층적인 태도와 가치관, 자아관까지도 포함하여야 하는데 현재의 직업기초능력은 이를 충분히 고려하고 있지 못하다. 예를 들어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특정 직무에 필요한 최소한의 직업기초능력만을 선정하여 학과에서 가르치거나 교양교과목으로 편성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전공과목처럼 편성되어 관련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의사소통능력의 경우 하위능력은 문서이해, 문서작성, 경청, 의사 표현, 기초외국어 능력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맥락과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구성이다. 게다가 하위능력의 학습 목표는 형식적으로 기술되어 있어 교육 현장에서 지식 전달 위주의 수업으로 구성되기 쉬우며 성취수준은 학력에 따라 기술되고 있어 역량을 중시하는 NCS의 취지와도 배치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전면적인 수정, 보완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의사소통능력 개선안은 맥락과 설득과 협상력 등을 고려하면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ature of NCS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that some universities and colleges adopt in the composi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o define the communication skills that should be dealt with the most important of the basic competenc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focusing on the goals and achievement levels centered on the instructor s manual and curriculum guidelines. Competency-based curricula should include not only knowledge and skills but also attitudes, values, and self-esteem, but current vocational competencies are not fully considered.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nly the minimum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required for a specific job are selected and taught in the department or organized as a liberal arts subject. In the case of communication skill, the subordinate comprehension consists of document understanding, document preparation, listening, expression, and basic foreign language skills. Learning objectives are formally described, so it is easy to organize knowledge-oriented classes, and achievement levels are described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which is contrary to the intention of N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 full correction and complementary work, and that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competencies should be designed to be learner-centered class considering the context, persuasion and negotiation power.

목차

1. 서론
2. NCS 직업기초능력의 정체성
3.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의사소통 능력 고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혜경(Cho Hye Kyung). (2019).NCS 직업기초능력 고찰. 교양교육연구, 13 (6), 449-475

MLA

조혜경(Cho Hye Kyung). "NCS 직업기초능력 고찰." 교양교육연구, 13.6(2019): 449-4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