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표 담화 표지 양상 연구

이용수 226

영문명
A Study on Discourse Markers of Presentation for KAP Learners - Focusing on the comparision of the discourse markers in Korean and English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김운옥(Kim, Woon-ok)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3권 제6호, 205~24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증가하고 있는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교육을 위해 한국어 교재의 발표 담화 표지를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발표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21세기는 ‘집어 넣는 교육’에서 ‘꺼내는 교육’을 요구한다. 이에 국제 통용 교육과정인 유럽의 CEFR, 미국의 IB, 중국의 국제 한어 능력 표준, 한국의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 등의 말하기 평가 구인과 자국어로서의 제2 외국어 평가의 말하기 시험의 평가 구인을 비교·분석하였다. ‘응집성’은 담화 능력의 평가 구인이다. 발표의 ‘응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문 목적 학습자는 담화 표지를 학습해야 한다. 본 연구는 담화 표지를 중심으로 교재에 제시된 발표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1959년부터 2010년대까지 출간된 교재 77권이다. 본 연구는 시대별, 유형별로 교재를 분석하여 발표 교육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2000년대까지는 통합형 교재가 주류를 이루었고 2012년을 시작으로 발표 담화 표지가 수록된 기능형 교재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유형별 분류에서 도입과 질의응답은 두 유형의 차이가 없었다. 전개는 통합형, 마무리는 기능형 교재가 우세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어의 발표 교육과 비교하였다. 두 언어의 담화 표지 양상을 비교한 평가 구인은 ‘명료성과 다양성’이다. 한국어가 명료성과 다양성 평가에서 영어보다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 발표 교육을 위해 평가 기준과 완성형 평가를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향후 발표 교육 내용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discourse markers in presentation education contents in Korean textbooks and offer the implications of future presentation education for Korean learners on the increase. Amid current social demands of 21 century for ‘divergent thinking-driven education’ on the contrary to ‘rod learning-based education’, this study has analyzed the speaking constructs of CEFR in Europe, IB in US, Chinese International Proficiency Standard, and Applied Research for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The secondary foreign language test as a mother tongue was also analyzed. Coherence is the construct of discourse competence. To improve coherence of presentation, Korean learners need to understand discourse markers. Textbook-centered discussions focused on discourse markers were made on the contents of presentation. The study examined the trend of presentation education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77 textbooks published from 1959 to 2010s by age and type. From 2012, mainstream integrated textbooks were gradually replaced by functional textbooks. The textbooks did not differ in the introduction and question and discussion sections upon comparison. Discourse markers were found more in the body of integrated textbooks and conclusion section of functional textbooks. A comparative analysis of English and Korean presentation education has been also made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e study has revealed that Korean discourse markers were lacking in variety and clarity. In addition, an educational plan using cloze method and evaluation criteria were proposed for teaching Korean presentations. Therefore, the study offers implication for future presentation education.

목차

1. 서론
2. 말하기의 평가 구인
3. 한국어와 영어의 발표 담화 표지 비교
4. 한국어와 영어의 발표 담화 표지 평가 구인과 양상 비교
5. 한국어 발표 교육을 위한 평가 기준과 교육 방안
6.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운옥(Kim, Woon-ok). (2019).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표 담화 표지 양상 연구. 교양교육연구, 13 (6), 205-244

MLA

김운옥(Kim, Woon-ok).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표 담화 표지 양상 연구." 교양교육연구, 13.6(2019): 205-2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