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서부지역 단사선문양에 대한 연구

이용수 76

영문명
A Study on Comb-pattern of Neolithic Potteries of Mid-western Area of Korean Peninsula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저자명
정우진(Jung, Woo-Jin)
간행물 정보
『마한백제문화』제22집, 328~347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서부지역 토기문양 중 하나인 단사선문양에 대한 것으로 단일문양에 대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상대적으로 층위가 안정적인 취락유적 주거 지에서 출토된 단사선문양에 속성들(형태, 문양대, 각도)을 검토하였다. 검토대상 취락유적은 암사동유적, 농서리유적, 신길동유적, 능곡동유적, 운서동Ⅰ유적, 삼목도Ⅲ 유적이다. 각 유적의 시간적인 추이는 운서동Ⅰ유적→암사동유적→능곡동유적, 신길동유적→삼목도Ⅲ유적, 농서리유적이며 공간적 분포는 내륙지역인 암사동유적, 농서리유적과 해안지역인 능곡 동유적, 신길동유적이며 도서지역인 운서동Ⅰ유적, 삼목도Ⅲ유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사선문양의 형태는 크게 단치와 다치로 나뉘며 세부로는 직선형, 조문형, 점열형, 꺽쇠형이 있다. 다치는 삼목도Ⅲ유적에서 우세하며 나머지 유적은 단치가 우세하다. 세부형태에서는 운서 동Ⅰ유적은 조문형이 우세하고 나머지 유적은 직선형이 우세한다. 단사선문양의 각도는 조문형이 우세했던 운서동Ⅰ유적을 제외한 모든 유적은 50。~70。에서 주로 분포하였다. 이것으로 보아 각도는 형태에 따라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단사선문양의 문양대는 시기구분이 가능했다. 전기유적인 암사동유적과 운서동Ⅰ유적은 단사선 문의 열이 3~5열에 집중하고 있고, 단사서문 첫번째열이 구순에 인접해서 시문되어 있다. 따라 서 기면에서 단사선문양이 차지하는 문양대는 좁다. 반면 중기유적인 능곡동유적, 신길동유적, 삼 목도Ⅲ유적, 농서리유적은 단사선문의 열이 10열까지 시문되고 있고 열과 열 사이에 공백이 있어 전체적으로 문양대 폭이 넓었다. 특히 해안지역에 속한 능곡동유적, 신길동유적은 가장 많은 열수의 문양대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며 문양대는 시간성을 어느 정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It is long been considered that the placement and/or shape of comb-pattern reflect pottery chronology. However, recent excavations and studies shows doubt about this traditional approach on comb-patterns of Neolithic pottery. To solve current controversy, this study aims the construction of basic dataset on the Neolithic pottery comb-patterns of mid-western area of Korean peninsula. The pottery data was gained limitingly from settlement sites for stable stratigraphy, and the shapes, angle and placement of their comb-patterns were analyzed in depth. The potteries from six sites were analyzed, varying from early to late Neolithic, and two inland, two coastal, two islands sites. According to my analysi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lacement of comb-patterns do reflect archaeological chronology, especially from early to middle Neolithic. The comb-patterns of early Neolithic sites, Amsa-dong and Oonseo-dong, have three to five rows of dense comb-patterns, near on the lips of the pottery. However, in the case of middle Neolithic sites, Neunggok-dong, Singil-dong, Samok-do and Nongseo-ri, have up to ten rows of thin comb-patterns. Moreover, the shape of comb-patterns show quite clear locality. In case of island sites, there was strong preference on bird-foot shaped patterns. On the other hand, single-lined pattern was preferred at inland sites.

목차

Ⅰ. 머리말
Ⅱ. 유적의 분포와 편년
Ⅲ. 분류기준
Ⅳ. 속성분류
Ⅴ. 중서부지역 단사선문양의 성격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우진(Jung, Woo-Jin). (2013).중서부지역 단사선문양에 대한 연구. 마한백제문화, 22 , 328-347

MLA

정우진(Jung, Woo-Jin). "중서부지역 단사선문양에 대한 연구." 마한백제문화, 22.(2013): 328-3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