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三國時代 住居址出土 土器의 胎土組成과 燒成溫度

이용수 65

영문명
Body Composition and Temperature of Pottery Excavated in Three Kingdoms Dwelling Site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저자명
신원재(Shin, Won-Jae)
간행물 정보
『마한백제문화』제22집, 309~32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읍 신월리유적, 고부 관청리유적, 고창 석교리유적, 고창 부곡리유적에서 수집한 토기편을 대 상으로 태토조성 및 소성온도에 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도결합플라즈마발광분석(inducedcoupleplasma spectroscopy, ICP)에 의한 태토의 미량 성분은 모두 14종(Al, Ca, Cd, Cu, Fe, K, Li, Mg, Mn, Na, Ni, Si, Sr, Zn)으로서 각 유적의 시료들은 지역적인 특성으로 인한 미세한 함량비의 차이를 보일뿐 구성성분에 있어서 대부분 유사 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비교대상 원소는 점토광물의 주성분인 Al, Ca, K, Mg, Na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읍 신월리1-1∼3은 고부 관청리2-1∼3과 미세한 함량비의 차이를 보여 줄 뿐(0.5% 내외), 전체적으로 비교대상 원소의 함량은 Al>K>Na>Mg>Ca 순으로 나타났다. 고창 석교리3-1∼3과 고창 부곡리4-1∼3도 위 두 곳의 유적과 구성원소간의 차이는 없으나 미세하나마 전체적으로 Mg의 함량보다는 Ca가 높다는 결과를 보여주는데, 구성원소의 함량은 Al>K>Na>Ca>Mg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읍·고부와 고창이라는 지역적인 특징으로 이해할 부분으로 판단된다. 고창 석교리3-1∼3은 Na함량의 경우 고부 관청리2-1∼3의 함 량비와 거의 유사함을 보이며, 고창 부곡리4-1∼3은 미세한 Al의 함량 차이만 보일뿐 위 세 곳 의 시료들과 마찬가지로 원소 함량비에 있어서 거의 유사한 비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Mg와 Na의 함량은 고창 석교리유적과 아주 유사한 함량비를 보여주는데, 이는 지역적으로 근접한 이 유도 있겠지만, 동일시기의 동일한 유구 내 출토유물이 태토조성에 있어서 유사점을 갖는다는 의 의를 찾을 수 있는 부분이다. 열분석(TGA/DTA)에 의한 토기의 소성온도에 대한 분석결과는 시료 12점 모두온도의 상승과 함께 TG curve가 비슷한 양상으로 중량이 감소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중량감소는 유적별 로 근소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시료 중 고부 관청리2-1∼3은 대체로 350℃ 이후에도 계속적으 로 중량이 감소하고 있으므로, 이 토기의 소성온도는 낮음을 추정할 수 있었는데, 분석결과 이 토 기는 550℃ 전후의 온도에서 소성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른 유적들의 경우 정읍 신월리1-1∼ 3은 600℃ 전후, 고창 석교리3-1∼3과 고창 부곡리4-1∼3은 650℃ 전후의 범위로 추정되었다. 토기의 소성온도는 다양한 분석법에 의해 규명되고 있지만, 분석방법상의 한계와 분석결과 에 대한 고찰은 다소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토기의 자연과학적 연구들에 의하면 선사시대 토기의 소성온도는 600∼800℃ 범위로 추정되었다. 본고에서 확인된 각 유적별 토기의 소성온도는 대 체적으로 650℃ 전후로 다소 낮은 감은 있지만 추정온도범위는 기존의 학설에 크게 벗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한된 지역이라는 점과 시료의 수가 적어 이를 객관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시료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라 여겨지며, 본고는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토기의 태토조성과 소성온도에 대한 자연과학적 연구는 분석의 방법론적인 검토를 바탕으로 수행되고, 체계적인 연구자료의 정리와 축적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토기에 대해 서 토기재질의 전반적인 특성이 규명됨으로써, 전반적인 고고학적 의미를 갖는 토기의 태토조성 과 소성온도 및 제작기술 등이 보다 명백하게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earthenware is a material that prevails in excavation of antiquities as a typical relic representing a certain culture since it can be preserved well in various deposit environments and well reflects characteristics by ages. A number of natural scientific researches and studies on the earthenware are conducted both internationally and internally. Domestics natural scientific researches are mainly about its work techniques and also presumption of produced area. Domestics natural scientific researches on the earthenware analyze archeologically sought issues in fragments, so a question is raised whether those studies are able to provide archeological data with new information or they can accumulate research materials systematically. This kind of problem occurs when studies give prominence only to analysis of earthenware without understanding natural scientific researches and acknowledging its restrictions. Therefore, it is true that natural scientific research data on earthenware that is fragmentary and not sufficiently accumulate, cannot resolve quiet a few of archeological problems. Since the natural scientific research on earthenware analyzes its material quality and examine closely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methods of analysis and the inquiry into the analyzed data on the basis of objective and scientific grounds. Through this research, I tried mutual comparison between relics within existing recording chronological frameworks for soft earthenware among archeological finds in a residential area in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I intended to find similarity between the same relics in the same period byanalyzing body composition and firing Temperature. After getting trace elements contained in the earthenware collected from 4 historic sites in the era of Three Kingdoms nearby Jeongeup and Gochang using ICP-AES(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photometer), the formation of elements among respective places and sample was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proportion of content. Slight difference of content was found in contained quantity of elements due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lso, via the calcinations temperatures assumed by TGA/DTA, we could confirm that the calcinations temperatures also show only a shade of difference just like the similarity of elements. A thesis submitted to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Hanseo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Theology in December, 2004.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본론
제3장 결과 및 고찰
제4장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원재(Shin, Won-Jae). (2013).三國時代 住居址出土 土器의 胎土組成과 燒成溫度. 마한백제문화, 22 , 309-327

MLA

신원재(Shin, Won-Jae). "三國時代 住居址出土 土器의 胎土組成과 燒成溫度." 마한백제문화, 22.(2013): 309-3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