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馬韓墳墓와 그 墓制의 認識

이용수 323

영문명
Understanding Mahan s Tombs and Its Burial System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저자명
이남석(Lee, Nam-Seok)
간행물 정보
『마한백제문화』제22집, 115~14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마한의 시·공간적 범위를 설정한 후 구체적 개념을 정의하여 그들의 분묘 정황을 살펴 보았다. 이후 그에 따른 묘제의 특성을 검출하고, 나아가 그것이 백제사회에 이르면서 어떻게 변천되었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최근 마한에 대한 역사인식이 비교적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시간적으로 기원전후 3세 기 어간의 마한은 원초적 자료인『三國志』魏志東夷傳에 근거할 경우 종족·지역·문화의 개념으로 인식할 수 있다고 결론할 수 있다. 나아가 정치적 의미로서는 54개의 소국을 아우르는 총 합적 개념이었을 뿐이고, 오히려 후대의 마한을 역사체로서 인식의 진전에 따라 왕국 등으로 인지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마한의 기본개념은 정치체가 아닌 지역·시대·문화 혹은 종족적 개념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고, 구체적 정치체로서의 실상은 馬韓小國혹은 馬韓諸國의 용어가 합당할 것으로 정리하였다. 마한을 시·공간적으로 규정하고 그 범위에서 인지되는 분묘자료는 매우 빈약하다. 다만 최근에 발견된 미룡동 고분군을 비롯하여 화순의 용강리 유적의 분묘, 세종시 나성동 유적 등이 있어 동시기 묘제의 대략적 환경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기왕에 알려진 광주 신창동 옹관묘의 경우도 마한의 분묘로 봄에 문제가 없을 것이다. 이들 분묘자료를 토대로 마한분묘의 묘제는 일 단 封土·封石墓로 정리된다. 묘제는 목관이나 옹관의 사용이 전제되나 이를 지면상을 대강 정지 하여 안치하고, 다시 흙이나 돌을 대강 덮는 방식으로 복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묘제환경은 동시기 분묘자료의 전반적 유실을 가져왔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매장시설의 빈약상은 아무래도 마한사회 특유의 상장례와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한의 묘제는 소국의 하나였던 伯濟國이 고대국가 백제로 발돋움하면서 전반적 변화를 가져와 백제묘제로 정립된다. 더불어 백제묘제는 이전의 마한묘제와는 커다란 차이를 드러내는데 다양한 묘제가 지역적으로 고유의 분포권을 가지면서 정립되었음이 그것이다. 물론 백제 초기 도읍의 범 위인 한강 중·상류지역에는 마한 고유의 봉토묘나 봉석묘가 일정기간 유지되나, 이외의 대부분 의 마한지역은 신유형의 묘제 유입과 함께 상호 관련을 통해 다양한 묘제 변화가 연출된다. 특히 분묘는 대체로 고총고분으로 구축되어 이전의 마한묘제와 대비되는데 그러한 변화상은 3세기 후 반경에 새롭게 유입된 주구토광묘의 영향으로 마한지역에 폭넓게 분포되어 있는 墳丘墓즉 분구 토광묘나 분구옹관묘를 통해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thesis, I have set the spatio-temporal scope of Mahan and defined specific concepts to survey the region s tombs. Then, based on the data, I have figur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rial system involved and gone from there to see how it transformed in Baekje. Recently, Mahan has been put in relatively diverse historical perspectives, but the possible conclusion is that the state, which existed in the time slot that splits three centuries between CE and BCE, can be perceived as an ethnic, regional, and cultural entity, according to Dongijeon, Wiji, of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the original historical record. And politically, it was merely a total concept that comprised fiftyfour statelets, and we should rather suppose that the later Mahan as a historical entity was viewed as a kingdom in accordance with progress made in the understanding. Therefore, for the basic concept of Mahan, a higher priority should be placed on region, period, culture, or ethnicity than politics, while to specify its true picture as a body politic, the Statelet of Mahan (Mahan smallnations) or the Statelets of Mahan should be appropriate. When Mahan is defined temporally and spatially, data on its tombs as recognized in the scope is very meager. Yet, a rough configuration of the contemporary burial system is possible based on the artifacts including the recently discovered tombs in Mirong-dong, the tombs in th relic of Yonggan-ri, Hwasun-gun, and the relic of Naseong-dong, Sejong City. Further, it wouldn t be too much to include amongMahan tombs the already-disclosed bronze earthenware coffin in Sinchang-dong, Gwangju. Based on the data on the tombs, the burial system for Mahan tombs is understood as earth-capped and stone-capped tomb . A burial system presupposes the use of wooden or earthenware coffin, which is placed after land surface is roughly excavated and then recovered by covering it with earth or stones. While such a burial practice is presumed to have caused a general loss of the elements of the contemporary tombs, the meagerness of the burial facilities is presumably related to the unique funeral ceremony of Mahan. The burial system of Mahan came to be established as that of Baekje, which brought general changes with its growth into an ancient state. With that, the burial system of Baekje revealed a big difference from the earlier burial system of Mahan, which consists in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burial systems demonstrating proper distribution in different regions. Certainly, in the upstream and midstream of Han River, which constituted the boundary of Baekje capital in the early period, Mahan s unique earth-capped or stone-capped tombs wer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most of the other parts of Mahan, however, the introduction of new types of burial system brought various changes to the burial system. Especially the tombs were generally built as old tombs that are contrasted with the earlier burial system of Mahan, which change can be verified through mounded tombs such as pit-burial mounded tombs and earthenware-coffin mounded tombs, which are extensively distributed in Mahan reg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guttered-around pit-burial tomb, a new arrival around late 3rd century CE.

목차

Ⅰ. 序言
Ⅱ. 馬韓과 馬韓의 考古學
Ⅲ. 馬韓墳墓와 그 墓制의 認識
Ⅳ. 馬韓에서 百濟墓制로
Ⅴ. 結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남석(Lee, Nam-Seok). (2013).馬韓墳墓와 그 墓制의 認識. 마한백제문화, 22 , 115-143

MLA

이남석(Lee, Nam-Seok). "馬韓墳墓와 그 墓制의 認識." 마한백제문화, 22.(2013): 115-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