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정폭력경험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요인 탐색

이용수 184

영문명
Study of Protective Factors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of Domestic Violence Victimized Children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배태상(Bae Taesang) 이희영(Lee Heeyeong)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21권 제1호, 445~46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9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가정 폭력은 성장기 아동에게 심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이런 이유로 과거연구는 가정폭력이 아동에게 어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집중했으나, 최근 연구는 가정폭력을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잘 적응하도록 만드는 요인 즉, 보호요인을 밝히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및 교사의 지지라는 보호요인이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가정폭력 피해로 인해 원가정에서 부모로부터 분리되어 공동생활가정에서 생활하고 있거나 혹은 원가정에서 분리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과거 경찰을 포함한 가정폭력이나 아동학대 개입 기관의 사례관리를 받았었거나, 현재 받고 있는 가정의 아동 115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교사의 지지 및 학교적 응유연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로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성별에 있어서의 학교적응유연성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고, 학교급별에 있어서는 초등학생이 중·고등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학교적 응유연성에 있어서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과 교사의 지지는 영향을 미쳤으나 자기효능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갖는 이론적, 실제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이에 따른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달리 실제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여 학교적응 유연성과 관련된 보호요인을 밝혀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Domestic violence may have profound negative influence on children. For this reason, past research have focused on investigating negative influence domestic violence may have on children. However, recentl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investigating protective factors which make children who experience domestic violence but adjust well.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parent-child open education and teacher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One hundred fifteen children from families who were separated from their parents at home or living in a communal home or who were under case management by domestic violence intervention agencies, including the police or who had received them in the past due to domestic viole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y multiple regression. Several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First, boys showed higher level of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than girls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showed higher level of secondary school children. Second, open communication and teacher support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of domestic violence victimized children. However, self-efficacy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commented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study were sugges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using data from who actually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unlike the previous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태상(Bae Taesang),이희영(Lee Heeyeong). (2020).가정폭력경험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요인 탐색. 인문사회과학연구, 21 (1), 445-466

MLA

배태상(Bae Taesang),이희영(Lee Heeyeong). "가정폭력경험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요인 탐색." 인문사회과학연구, 21.1(2020): 445-4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