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日 儒學史에 나타난 ‘古學’의 차이

이용수 196

영문명
A Study on the different meanings of “Gohak”(古學) in Joseon Korea and Tokugawa Japan: Focus on the Confucian thought of Ogyu Sorai, Ito Jinsai, Heo Mok and Jo Ik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강지은(Kang, Ji eun)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61輯, 99~12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동아시아 유학사에 대한 이해 속에는, 상당한 비중으로 서양학술의 관점이 녹아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필자의 문제의식에서 비롯한 것이다. 한일 유학사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고’에 대한 추구는 널리 알려진 대로 ‘고’를 무조건 추종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견해를 제출하는 방법으로서 ‘고학’을 표방한 것이라고 할만하다. 그러나 그들의 목표 자체는 기존의 권위를 타파하거나 높이려는 것에 있지 않았다. 양자 모두 ‘고’를 존중하는 유학사적 전통 속에 있으면서도, 한일의 각 사회에서 유학의 발전, 지위 및 그 토대가 되는 과거제도의 유무와 큰 관련이 있다. 도쿠가와 일본의 ‘고학’은 대체로 ‘고’의 원형을 복원하는 것을 추구하여, 후대의 주소는 이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서 전면적으로 배제하고 직접 경서를 마주할 것을 주장하였다. 조선에서는 ‘고’의 ‘본래’ 모습을 복원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현실적 전제 속에서 ‘고’에 조금 더 가까웠던 시대의 주소들을 참조하여 ‘고’를 더 잘 이해하고자 하였다. 과거제도가 존재하는 지역에서 현행의 경서를 보다 명백히 이해하고 주소를 섭렵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과 상관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있으나, 양자 모두 현행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의미지울 만한 부분은 많지 않다. 전자의 경우 파괴해야하는 권위라고 할 만한 것 (예컨대 통치이데올로기로서의 주자학 등)이 존재하지 않았고, 후자의 경우 기존의 권위를 사용하면서 ‘고’를 이해하는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the writer s question whether the viewpoint of Western studies plays a substantial role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East Asian Confucianism. It is fair to say that the pursuit of the “ancient (Go古)”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Joseon Korea and Tokugawa-Japan, was not an unconditional pursuit of the “Go,” but was undertaken in a way to support the scholars own views. But, their efforts were aimed at neither breaking down nor supporting existing authority. While both are in a tradition of Confucian history, they have much to do with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in each society of Korea and Japan. The biggest difference is that there was a civil service exam system in Korea, but Japan did not have one. Tokugawa Japan s “Ko-gaku (古學)” generally sought to restore the original “Go”, arguing that the commentaries of the later days should be left out completely and the ancient texts be studied directly. Meanwhile, under the realistic premise that it is impossible to restore the “original” “Go” texts and contexts, Joseon Confucian scholars sought to better understand “Go” by referring to commentaries that were a little closer in time to “Go”. This concession was related to the need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Confucian texts by being well-versed in commentaries as references for administering the civil service exams. These are the basic differences between the Joseon and Tokugawa Confucian scholars, but not many of thes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as challenges to the current authority. In the former case, there was no such authority that should be destroyed (e.g., Zhuzi Studies as a ruling ideology), and in the latter case, it was a way to understand “Go” while working with the existing authority.

목차

1. 서론
2. ‘고’의 권위
3. 도쿠가와 일본 ‘고학’과 경학방법론
4. 조선 ‘고학’에서 註疏의 중시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지은(Kang, Ji eun). (2019).韓日 儒學史에 나타난 ‘古學’의 차이. 대동한문학, 61 , 99-125

MLA

강지은(Kang, Ji eun). "韓日 儒學史에 나타난 ‘古學’의 차이." 대동한문학, 61.(2019): 99-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