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불 사고사례 분석을 통한 산불 대응 의사결정 트리 강화의 중요성 고찰

이용수 485

영문명
Importance of Reinforcing Decision Trees for Forest-Fire Disaster using Case Analysis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김남균(Kim, Namgyun) 곽재환(Kwak, Jawhwan) 김만일(Kim, Man-Il)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9권7호, 213~220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9년 4월 고성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하여 행정안전부에서는 해당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하였다. 비슷한 사례로 2005년 4월 양양 산불, 2000년 4월 동해안 산불 등 강원지역에서 대형 산불이 각각 발생한 사례가 있다. 이러한 대형 산불의 발생원인은 최근 10년 통계 기준 70%이상 실화 및 소각으로써, 인적요인에 의한 발화가 대다수이다. 삶의 질 향상으로 인한 등산객 및 탐방객이 증가하고, 산림면적당 임목이 증가하여 산불의 발생 및 확산이 쉬운 환경인 우리나라는 대부분 4월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하였다. 대형 산불로 확산되는 주요 원인은 기상조건으로써, 건조한 환경에서 강한 바람으로 인해 비산화 형태의 산불로 전이되기 때문이다. 자연 환경을 제어하여 산불의 확산을 저지하는 방법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응하는 기관 및 행위자의 능력이 중요하다. 산불 대응 주관기관은 산림청으로써, 핵심 역할을 수행하며, 해당 관할과 관련 있는 유관기관과 함께 대응을 한다. 유관기관으로는 국방부, 환경부, 기상청, 경찰청, 소방청, 문화재청 등이 있으며, 그 외 다양한 행위자가 산불 대응에 참여하기 때문에, 기관 및 행위자간의 협업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고사례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2019년 고성에서 발생한 산불의 사례를 통해 협업의 중요성을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협업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산불 대응 의사결정 트리를 개발하였다.

영문 초록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designated Goseong-gun, Gangwon-do, Korea, as a special disaster area because of the forest fire in April 2019. Similarly, forest fires occurred in Gangwon-do, such as the Yangyang forest fire in April 2005 and the east-coast forest fire in April 2000. The origin of forest fires is accidental in more than 70% of cases according to the latest 10-year statistics. The large-scale spread of forest fires in Gangwon-do is mainly attributable to meteorological conditions such as high temperature, low humidity, and strong wind. Preventing forest-fire disasters is impossible because the natural environment is difficult to control. Therefore, the ability of the responding agencies and responders is important in suppressing the spread of fires. The forest-fire response-managing department in Korea is the Korea Forest Service, which plays a key role and coordinates with related agencies. The related agencies include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Ministry of Environment, Police Agency, Fire Servic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so 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using case analysis of each of the forest fires in Goseong in 1996 and 2019 and to develop a forest-fire response decision tree as a way of enhancing collaboration.

목차

1. 서 론
2. 사례분석
3. 사고사례 분석 적용 결과
4. 디시전트리 개발 및 고찰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남균(Kim, Namgyun),곽재환(Kwak, Jawhwan),김만일(Kim, Man-Il). (2019).산불 사고사례 분석을 통한 산불 대응 의사결정 트리 강화의 중요성 고찰.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9 (7), 213-220

MLA

김남균(Kim, Namgyun),곽재환(Kwak, Jawhwan),김만일(Kim, Man-Il). "산불 사고사례 분석을 통한 산불 대응 의사결정 트리 강화의 중요성 고찰."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9.7(2019): 213-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