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onte Carlo 모의 기법을 이용한 저수지 간 추가-감축 용수 공급량 산정
이용수 45
- 영문명
- Estimation of Supplement-Reduction Amounts of Water Supply in a Reservoir System Operation Using a Monte Carlo Simula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진영규(Jin, Youngkyu) 이상호(Lee, Sangho) 정택문(Jeong, Taekmun) 강신욱(Kang, Shinu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9권7호, 87~9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50/150141.jpg)
국문 초록
물 공급을 위한 저수지군의 연계 운영을, 한 저수지의 물 공급량 부족을 다른 저수지의 물 추가 공급으로 보완하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최적화 기법으로 유도한 추가-감축 용수 공급량은 사용된 저수지 유입량 시계열과 목적함수에 구속되므로, 무작위의 미래 유입량에 대하여 항상 적절한 저수지 운영결과를 도출한다고 할 수 없다. 만일 저수지 연계 운영의 목표에 부합하는 추가-감축 용수 공급량을 특정한 값이 아닌 범위로 알 수 있으면, 보다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Monte Carlo 모의를 이용하여 낙동강 주요 다목적 댐 군의 가뭄 대응 추가-감축 용수 공급량의 범위를 결정하였다. 저수지군 연계 모의 운영 모형으로서 GoldSim으로 자체 개발한 낙동강 주요 다목적 댐 군 이수목적 연계 모의 운영 모형을 사용하였다. 모의 운영 기간은 안동-임하댐과 합천댐에 가뭄이 극심했던 2017년부터 2018년까지로 하였다. 모의 운영 기간에 대하여 현행 용수공급 조정기준으로 저수지들을 독립 운영하였을 경우, 합천댐에서 용수 공급 완전 실패 기간이 5개월 이상 발생하였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 남강댐에서 추가로 방류하고 합천댐에서 감축하여 방류하였다. 여기서, Monte Carlo 방법으로 추가-감축 방류량의 적정 범위를 결정하였으며, 그 범위는 3.35 ~ 4.42 m³/s이었다. 범위로 주어진 방류량 추가-감축의 연계운영 방안은 단일의 최적 운영 규칙보다 실제 저수지 운영에서 효용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One can compensate users for a water supply shortage from a reservoir by supplying supplemental water from another reservoir. Such an operation may be a reservoir system operation. Specific supplement-reduction quantities of water, derived from an optimization method, are bound by the reservoir inflows and the objective function used for the derivation. Thus, they do not always provide proper reservoir simulation results for random future inflows to reservoirs. If reasonable supplement-reduction water supply quantities are known as ranges, instead of as fixed values, the water supply operations of reservoirs may be more st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via a Monte Carlo simulation, the ranges of supplement-reduction quantities of water supply needed from the major multi-purpose dams in the Nakdong River basin to cope with droughts. The reservoir system simulation, a model of the Nakdong River basin, was developedusing GoldSim. The simulation period was set from 2017 to 2018, when the drought was severe at the Andong-Imha and Hapcheon dams. When reservoirs were simulated independently during the test period, and current water supplyadjustment standards were applied, a perfect failure period of water supply from the Hapcheon dam occurred for more than five months. To mitigate that, supplemental releases were provided from the Namgang dam and the releases from the Hapcheon dam were reduced. Performing the Monte Carlo simulation produced the appropriate range of supplement-reduction releases,with a range of 3.35 to 4.42 m³/s. Using a range of supplement-reduction releases for the reservoir system operation is considered more effective for reservoir operations than using fixed values.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울 종관기상관측장비와 방재기상관측자료의 측정된 강우자료 차이로 인한 유출특성변화
- 배전반 및 분전반의 화재위험요소에 관한 연구
- 비보강 조적벽체의 쌓기방법에 따른 내진성능 비교
- Monte Carlo 모의 기법을 이용한 저수지 간 추가-감축 용수 공급량 산정
- 경험적 홍수피해 자료에 근거한 노출위험인구 기반 인명손실 평가방법 개발
- 전자부품 제조공장 방화구획내 방화댐퍼를 제외한 건축법의 소방학적 연구
- 복합포아송 모형 기반의 건물피해액 영향요인 탐색에 관한 연구
- 열응력 해석을 이용한 H형강 기둥의 하중비에 따른 한계온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연안도시 지역의 방재성능목표 설정 및 개선방안 고찰
- 재난약자시설의 피난안전성 향상을 위한 국내·외 방연구획 관련 기준 비교 연구
- 지역특성을 고려한 강우 앙상블 멤버 생성 기법 제안
- 2차 압밀침하를 고려한 도시우수관망시스템의 유출특성분석
- 수정 SPI 지수(Modify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제시 및 과거 극한가뭄사례를 이용한 효용성 평가
- 해안가 복합재난 지역맞춤형 재해예방기법 적용
- 4차 산업혁명과 인도주의 위기 그리고 적십자 운동
- 원전 구조물 적용 마감재의 연소성능평가 기반연구
- 영상기반 모션센싱을 이용한 실시간 동적 보행하중의 위치인식
- 노후저수지의 재해위험 강우 및 붕괴유출량 산정
- 국가 표준기후변화 시나리오와 ETCCDI지수를 이용한 한반도의 미래 극한사상변화 전망
- 지자체 저수지 가뭄 예·경보를 위한 저가형 AWS 구축 및 평가
- 태풍피해자료를 이용한 태풍위험지수 개발
- Is Deep Better in Extreme Temperature Forecasting?
- 반복삼축압축시험을 통한 40 mm 개립도 골재의 회복탄성계수와 영구변형
- 지하철 역사 대피시설 최적화 설계를 위한 BIM 모델링 및 VR 시뮬레이션
- 젠더 영향에 따른 홍수취약성 분석에 세부지표와 의사결정의 불확실성이 미치는 영향
- 인공위성영상과 지형자료를 동시에 활용한 침수지역 판별
- 산불 사고사례 분석을 통한 산불 대응 의사결정 트리 강화의 중요성 고찰
- 한국의 지역별 산불 발생 원인 특성 분석
- 필댐의 비상방류시설 규모 적정성 평가기법 연구
- 재해영향평가 제도 운영현황 분석 및 발전방향
-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기상 및 화재 데이터기반의 화재발생 확률 예측
- SMC (Sheet Molding Compound) + FRP 복합소재 샌드위치 패널구조의 앵커지압판 개발 연구
- 아스팔트 도로 포트홀에 사용되는 인산염계 초속경성 긴급보수재료의 개발을 위한 기초재료 실험연구
- 반단선에 의한 누설전류 발생과 온도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산불피해에 따른 산업 및 거시경제적 영향 분석
- 특징선택기법을 이용한 가뭄영향인자 분석
- 천장 발화 화재의 문제점과 대책 분석
- 홍수 피해 발생 감시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가축질병재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사망자가 발생한 공동주택 화재의 현황과 특성 연구
- 반복 융해 수분 처리에 따른 다공성 아스팔트의 동탄성계수 변화
- 실제 물이용 체계를 고려한 한강 동해 권역 물수급 평가
- 재난안전예산 투자방향 수립을 위한 재난 및 안전사고 리스크-매트릭스 분석
- 도로 동상방지층의 온도계측 자료를 이용한 수치해석 연구
- 아시아 국가의 경제지표 및 기초지표를 고려한 가뭄피해 예측 산정식 개발
- 실대형 실험을 통한 강우에 의한 산사태 발생 거동 분석
- 기초자치단체의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비교·분석
- 내진성능 미확보 학교시설의 보강 우선순위 결정 연구
- 재난안전데이터 코드 운영을 위한 시각화 정보시스템 설계 및 프로토타입 개발
- 유도가열 기반 발열양생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특성
- 국내 산업전시장에 대한 재실인원 실측조사 및 재실자밀도 기준 적정성에 관한 연구
- 가뭄지수에 따른 가뭄평가 결과 비교연구
- 침수피해지역 토지이용 특성과 방재대책 연구
- 다목적 최적화를 이용한 유역 관리 방안 탐색
- TBM터널 궤도하부 채움재와 궤도진동과의 상관관계 분석
- 구형 발열체에 의해 수직 상승하는 플룸에 대한 이론 및 수치해석적 연구
- 교량받침 연결부 단일 앵커의 매입 깊이에 따른 전단 저항성능 평가
- 표준점수법을 활용한 가뭄발생 추정식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