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BM터널 궤도하부 채움재와 궤도진동과의 상관관계 분석
이용수 37
- 영문명
- Analysis of Vibration of Slab Track in TBM Tunnel According to Bottom Filling Material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박성범(Park, SungBum) 이세희(Lee, SeHee) 김지환(Kim, JiHwan) 조국환(Cho, KookHwa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9권7호, 27~3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50/150141.jpg)
국문 초록
최근 철도의 고속화로 인하여 선형의 직선화가 요구되고 도심지를 통과하는 철도망이 증가함에 따라 TBM터널 시공이 증가하고 있다. 철도터널에 TBM공법 적용시 기계의 원형헤드특성상 불가피하게 깊은 깊이의 궤도하부 채움구간이 발생하지만 이 구간의 채움방안에 대한 연구 및 설계기준은 현재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비용절감을 위해 콘크리트와 유사한 재료로 채움을 시행하고 있으나 채움구간을 불연속체로 시공할 경우 열차통과시 발생하는 진동의 전파에 영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채움재료별 동적거동 분석을 수행하여 적절한 채움방안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멘트 함유량 7~13%의 입도조정쇄석을 채움재료로 선정하고 각 재료의 동적물성치를 파악하고자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실내실험에서 얻어진 동적물성치를 수치해석에 적용하여 열차진동에 의한 채움구간의 동적거동을 분석하였다. 수치해석결과, 임계속도에서 공진현상이 발생하며, 일정 시멘트 함유량 이하일 경우 높은 진동가속도로 인해 채움구간의 불안정한 동적거동이 일어나므로 적절한 채움방안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Due to the high speed of railway and the railway network passing through an urban area, the construction of tunnel using tunnel boring machine (TBM) has been increasing. During TBM tunneling, a deep filling section, about 3 m in depth, under the slab track is formed by the circular machine head. The research and the design standards for filling this section are currently insufficient. In addition, when the section is filled with lean concrete, it may negatively affect the propagation of train vib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ynamic behavior of filling materials and follow a suitable filling method. In this study, laboratory tes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dynamic properties of bottom filling materials. Granular crushed stone with a cement content of 7-13% was selected as the filling material. Numerical analyses that reflect the results of the laboratory tests were also performed to analyze the dynamic behavior of the filling section under slab track.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showed that resonance occurred in the filling section depending on the critical and subcritical speeds of the vehicle.
목차
1. 서 론
2. 동적물성치 평가를 위한 실내실험
3. 수치해석을 통한 동적안정성 검토
4.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울 종관기상관측장비와 방재기상관측자료의 측정된 강우자료 차이로 인한 유출특성변화
- 배전반 및 분전반의 화재위험요소에 관한 연구
- 비보강 조적벽체의 쌓기방법에 따른 내진성능 비교
- Monte Carlo 모의 기법을 이용한 저수지 간 추가-감축 용수 공급량 산정
- 경험적 홍수피해 자료에 근거한 노출위험인구 기반 인명손실 평가방법 개발
- 전자부품 제조공장 방화구획내 방화댐퍼를 제외한 건축법의 소방학적 연구
- 복합포아송 모형 기반의 건물피해액 영향요인 탐색에 관한 연구
- 열응력 해석을 이용한 H형강 기둥의 하중비에 따른 한계온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연안도시 지역의 방재성능목표 설정 및 개선방안 고찰
- 재난약자시설의 피난안전성 향상을 위한 국내·외 방연구획 관련 기준 비교 연구
- 지역특성을 고려한 강우 앙상블 멤버 생성 기법 제안
- 2차 압밀침하를 고려한 도시우수관망시스템의 유출특성분석
- 수정 SPI 지수(Modify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제시 및 과거 극한가뭄사례를 이용한 효용성 평가
- 해안가 복합재난 지역맞춤형 재해예방기법 적용
- 4차 산업혁명과 인도주의 위기 그리고 적십자 운동
- 원전 구조물 적용 마감재의 연소성능평가 기반연구
- 영상기반 모션센싱을 이용한 실시간 동적 보행하중의 위치인식
- 노후저수지의 재해위험 강우 및 붕괴유출량 산정
- 국가 표준기후변화 시나리오와 ETCCDI지수를 이용한 한반도의 미래 극한사상변화 전망
- 지자체 저수지 가뭄 예·경보를 위한 저가형 AWS 구축 및 평가
- 태풍피해자료를 이용한 태풍위험지수 개발
- Is Deep Better in Extreme Temperature Forecasting?
- 반복삼축압축시험을 통한 40 mm 개립도 골재의 회복탄성계수와 영구변형
- 지하철 역사 대피시설 최적화 설계를 위한 BIM 모델링 및 VR 시뮬레이션
- 젠더 영향에 따른 홍수취약성 분석에 세부지표와 의사결정의 불확실성이 미치는 영향
- 인공위성영상과 지형자료를 동시에 활용한 침수지역 판별
- 산불 사고사례 분석을 통한 산불 대응 의사결정 트리 강화의 중요성 고찰
- 한국의 지역별 산불 발생 원인 특성 분석
- 필댐의 비상방류시설 규모 적정성 평가기법 연구
- 재해영향평가 제도 운영현황 분석 및 발전방향
-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기상 및 화재 데이터기반의 화재발생 확률 예측
- SMC (Sheet Molding Compound) + FRP 복합소재 샌드위치 패널구조의 앵커지압판 개발 연구
- 아스팔트 도로 포트홀에 사용되는 인산염계 초속경성 긴급보수재료의 개발을 위한 기초재료 실험연구
- 반단선에 의한 누설전류 발생과 온도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산불피해에 따른 산업 및 거시경제적 영향 분석
- 특징선택기법을 이용한 가뭄영향인자 분석
- 천장 발화 화재의 문제점과 대책 분석
- 홍수 피해 발생 감시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가축질병재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사망자가 발생한 공동주택 화재의 현황과 특성 연구
- 반복 융해 수분 처리에 따른 다공성 아스팔트의 동탄성계수 변화
- 실제 물이용 체계를 고려한 한강 동해 권역 물수급 평가
- 재난안전예산 투자방향 수립을 위한 재난 및 안전사고 리스크-매트릭스 분석
- 도로 동상방지층의 온도계측 자료를 이용한 수치해석 연구
- 아시아 국가의 경제지표 및 기초지표를 고려한 가뭄피해 예측 산정식 개발
- 실대형 실험을 통한 강우에 의한 산사태 발생 거동 분석
- 기초자치단체의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비교·분석
- 내진성능 미확보 학교시설의 보강 우선순위 결정 연구
- 재난안전데이터 코드 운영을 위한 시각화 정보시스템 설계 및 프로토타입 개발
- 유도가열 기반 발열양생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특성
- 국내 산업전시장에 대한 재실인원 실측조사 및 재실자밀도 기준 적정성에 관한 연구
- 가뭄지수에 따른 가뭄평가 결과 비교연구
- 침수피해지역 토지이용 특성과 방재대책 연구
- 다목적 최적화를 이용한 유역 관리 방안 탐색
- TBM터널 궤도하부 채움재와 궤도진동과의 상관관계 분석
- 구형 발열체에 의해 수직 상승하는 플룸에 대한 이론 및 수치해석적 연구
- 교량받침 연결부 단일 앵커의 매입 깊이에 따른 전단 저항성능 평가
- 표준점수법을 활용한 가뭄발생 추정식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