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울 북촌공예마을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자기조직화 플랫폼 연구

이용수 257

영문명
A Study on Self-Organization Platform for Activating Contents of Bukchon Craft Village in Seoul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조충휘(Cho, Chung Hwi)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4, No. 3(통권 11권), 169~17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울 종로구 안국동 일대는 1930년대 만들어진 집단 한옥촌이 형성되어 있으며 북촌한옥마을이라 부른다. 이곳은 60여 개의 공예공방과 40여 개의 아트숍이 모여있는 곳으로 서울 공예의 상징적 의미가 있는 곳이 다. 북촌 공예 마을의 재료적 콘텐츠를 보면 섬유, 금속, 도자, 가죽, 목칠, 나전, 종이 등 다양한 재료로 공예 콘텐츠를 만들고 있다. 그중 규방공예가 주류를 차지하며, 제작, 판매, 체험의 단순 구조의 콘텐츠를 구성한다. 다양한 공예 작가들이 모여있지만 콘텐츠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어 방문객들이 마을 전체의 콘텐츠를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한 보는 관광으로만 표현되어 지역 오버투어리즘과 젠트리피케 이션의 문제점만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역 클러스터의 콘텐츠 분석을 통해 새로운 플랫폼으로 자기조직화 함으로써 스스로 주인의식을 갖고 공익적 역할과 더불어 새로운 콘텐츠 생성을 모색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첫째, 소통을 위한 네트워킹이 필요하다. 각 콘텐츠의 융합과 유기적 협조가 타 재료의 이해로 표현되며 이는 한국 공예상품 제작에 시너 지 효과로 나타낸다. 둘째, 매력도 상승으로 한옥, 전통문화, 공예 콘텐츠가 단순한 관람에서 참여로 이루 어지는 창작, 공유, 감상, 교환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공예 콘텐츠 개발로 표현되며, 셋째, 유기적 흐름으로 북촌 공예 마을의 지속적인 가치확장을 위해 콘텐츠, 관람자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이에 대응되는 플랫폼제작으로 제작, 판매, 전시, 체험, 교류로 이어지는 수요와 거래가 매칭되는 큐레이션 체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북촌 공예 마을의 자기조직화를 통해 서울 북촌 공예 마을 콘텐츠는 자생적으로 뿌리내려 서울 공예산업 활성화에 근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area of Anguk-dong, Jongno-gu, Seoul, there is a group Hanok Village created in the 1930s. It is called Bukchon Hanok Village. This is a place where more than 60 craft workshops and 40 art shops gather and symbolize the Seoul craft. Looking at the material contents of Bukchon Craft Village, the craft contents ar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textile, metal, ceramics, leather, lacquer, Najeon, and paper. Among them, crafts and crafts dominate the mainstream, and the contents are composed of simple structure of production, sales, and experience. Various craft artists are gathered, but the contents are not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visitors do not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whole village and are expressed only as simple sight seeing, causing only problems with local overtourism and gentrification. In order to revitalize the Bukchon craft village, we have to self-organize each other as a content platform and seek to create new contents with a sense of ownership. To do this, first, networking is necessary for communication. The convergence and organic cooperation of each content is expressed by understanding other materials, which is a synergy effect on the production of Korean craft products. Second, the development of craft contents that can play a variety of roles such as creation, sharing, appreciation, and exchange where hanok, traditional culture, and craft contents are participated in a simple viewing due to rising attractiveness, and third, Bukchon craft village with organic flow In order to continuously expand its value, it analyzes the interaction between contents and viewers, and forms a curation system that matches demands and transactions leading to production, sales, exhibition, experience, and exchange by creating corresponding platforms. Through the self-organization of Bukchon Craft Village, Seoul Bukchon Craft Village contents are rooted in themselves and form the basis for revitalization of the Seoul craft industry.

목차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2-1. 서울공예의 역사성 2-2. 공예콘텐츠 유형 2-3. 자기조직화 이론
3. 지역 공예콘텐츠 사례 분석
3-1. 공예클러스터
3-2. 지역별 콘텐츠 특성 분석
4. 자기조직화 구조 적용
4-1. 자기조직화 4-2. 플랫폼 적용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충휘(Cho, Chung Hwi). (2019).서울 북촌공예마을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자기조직화 플랫폼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4 (3), 169-178

MLA

조충휘(Cho, Chung Hwi). "서울 북촌공예마을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자기조직화 플랫폼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4.3(2019): 169-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