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조대 초반 실록 관련 기록물의 편찬과 기록 관리

이용수 267

영문명
Compilations of Sillok - related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in the early years of King Chŏngjo’s reign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河明埈(Ha Myung Joon)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71집, 217~25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정조대 초반 실록 관련 기록물인 『영조실록』·『영조실록부록』·『영조보감』의 편찬과 왕실 자료를 보관한 봉모당을 살펴봄으로써 조선 후기 기록물과 기록공간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조명하고 그 정치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조선후기에는 실록 편찬의 엄정성에 다소 균열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런 속에서 ‘죄인의 아들’로 즉위한 정조는 위태로운 왕권을 안정시키고 정통성을 확립하기 위해 실록 관련 기록물의 편찬에 세심히 관여하였다. 하지만 완성된 『영조실록』은 열람 불가의 禁書였고, 史庫에 秘藏하였으므로 정치적 효용성은 제한적이었다. 정조는 『영조실록부록』의 편찬을 통해 실록이 갖는 정치상의 제약을 다소나마 해소하고자 했다. 그는 영조에게 올리는 告文과 祭文을 친히 작성하고 실록부록에 삽입하였는데, 이는 조선왕조실록이 편찬된 이래 처음 있는 사실이었다. 더욱이 정조는 史庫에 봉안하는 것과 별도로 어람용의 실록부록을 제작하여 즉위 초에 건립한 봉모당에서 보관·관리토록 하였다. 그렇지만 여전히 선왕의 聖德과 功烈을 환히 밝히고 널리 드러내지 못한 아쉬움이 남아 있었다. 그 과제는 실록의 완성과 맞물려서 착수된 『영조보감』의 편찬을 통해 극복되었다. 정조는 보감의 편찬을 실록보다 ‘지금 당장’ 절실한 사업으로 간주하였다. 실록이 미래를 위한 ‘비밀’의 기록이라면, 보감은 현재에 널리 드러내기 위한 ‘현창’의 기록이기 때문이었다. 그는 찬집, 교정, 刊印, 배포 등 편찬의 모든 과정에 깊이 개입하였으며, 책에 들어갈 자료에 대해서도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그 내용은 영조의 功德을 높이고 사도세자의 행적을 복원하는 것이 주종을 이루었는데, 이는 봉모당의 소장 자료를 적극 활용해서 작성되었다. 그리고 완성된 보감 책자는 다시 봉모당에 보관되어 왕실 기록물로서의 위상과 권위를 더하게 되었다. 정조는 실록부록이나 보감과 같은 왕실 전적을 소장한 봉모당의 운영·관리에도 만전을 기하였다. 그것은 크게 봉모당의 건물을 관리하는 영역(奉審·展拜)과 자료를 관리하는 영역(수시 봉심, 자료 등록 및 정리, 포쇄)으로 나뉘어져 실천되었다. 이와 관련해서 거행된 의식의 중심에는 언제나 국왕 정조가 존재하였다. 이는 곧 봉모당의 위상과 기록물의 중요성을 대변하는 동시에 재위 초반에 완성한 기록물과 기록공간이 왕권을 강화하는데도 상당히 효과적인 기제로 작동하였음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politics of the royal records and the sites created for their storage and maintenance in the late Chosŏn period by examining the compilation of Sillok-related archives such as Yŏngjo-sillok (英祖實錄), Yŏngjo-sillokpurok (英祖實錄附錄), and Yŏngjo-bogam (英祖寶鑑), and investigating the management of Bongmo-dang (奉謨堂, “Bongmo” meaning respecting the ideals and lessons of the former kings, “Dang” meaning house) which was built as an attached building of Kyujanggak(奎章閣). In the midst of a somewhat loosened strictness of the Sillok compilation system, King Chŏngjo(正祖), who ascended the throne as ‘the son of a sinner(Crown Prince Sado)’ intervened deeply in the compilation of records related to the Sillok in order to stabilize the unstable kingship and to strengthen the legitimacy of the king. In addition, he made effective use of royal documents created by the preceding kings preserved in Bongmo-dang by using it as a supplemation for compiling Yŏngjo-bogam, and after Kukcho-bogam was completed, it was enshrined in Bongmo-dang to strengthen the position of both the Kukcho-bogam and Bongmo-dang. The above-mentioned compilation of the records related to the Sillok and the role of Bongmo-dang strengthened the legitimacy of the King Chŏngjo and contributed to the control of the government and the stability of the sovereign power.

목차

Ⅰ. 머리말
Ⅱ. 정조 즉위와 실록의 편찬
Ⅲ. 奉謨堂의 소장 자료와 기록 관리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河明埈(Ha Myung Joon). (2019).정조대 초반 실록 관련 기록물의 편찬과 기록 관리. 역사문화연구, 71 , 217-254

MLA

河明埈(Ha Myung Joon). "정조대 초반 실록 관련 기록물의 편찬과 기록 관리." 역사문화연구, 71.(2019): 217-2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