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유재란 시기 황석산성전투의 전개와 의의

이용수 99

영문명
The Process of the Battle of Hwangseok Mountain Fortress and Its Implication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8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저자명
金康植(Kim, Kang-sik)
간행물 정보
『이순신연구논총』제30호, 209~254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7년간 이어진 16세기 후반의 동북아시아 최대 전쟁이었던 임진왜란 중에 많은 전투가 있었다. 정유재란 때는 전쟁 기간에 비하여 더 많은 피해가 있었다. 특히 정유재란의 목표는 한반도 남부를 할양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경상우도의 함양은 전쟁 초기부터 전투에 직면했다. 정유재란 시기에 함양에서 있었던 대표적인 두 차례의 전투가 황석산성전투와 함양 사근역 부근 전투였는데, 황석산성전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 전투였다. 먼저 전투사의 측면의 의미이다. 정유재란 시기에 황석산성전투는 함양 지역이 일본군의 전라도 침공로에 위치하고 있던 지리적 요인 때문에 전투가 발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황석산성전투는 정유재란 시기에 경상도의 육지전투에서 있었던 실질적인 첫 정식 전투였다. 조선은 강화 회담기에 준비했던 山城入保의 淸野策에 따라 안의, 거창, 함양의 세 군 현의 군ㆍ관ㆍ민이 황석산성에 들어가서 대비하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황석산성이 군사수의 열세 등으로 비록 함락되었지만, 청야책과 守城戰의 전개로 일본군에게 많은 피해를 주었으며 일본군의 전라도 진출을 일정 부분 지연시켰다. 다음으로 정치사상사적 측면의 의미이다. 결과만을 보면 황석산성전투는 비록 패배한 전투였지만, 조선후기 사회에 미친 영향은 지대하였다. 임진왜란의 종전 이후 황석산성전투는 지속적으로 임진왜란을 기억하고 전승하는 현장이 되었다. 이것은 조선왕조가 성리학의 국가 이념을 강화하고 백성을 교화하기 위한 의도였지만, 역설적으로 황석산성전투에서 민ㆍ관ㆍ군이 하나가 되어 끝까지 최선을 다했음을 국가가 공인하였음을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황석산성전투는 역사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으며, 황석 산성전투의 희생자들은 백성에 대한 모범 사례로 인정되어 기려 나가게 되었다. 그런 절차는 황석산성의 순절자에 대한 追贈, 復戶, 祠堂 건립, 諡號 제정, 旌表를 통해서 나타났다. 특히 안의현감 郭䞭은 三綱大節의 실천 모범 사례로 『東國新續三綱行實圖』에 소개되었으며, 함양에서는 임진왜란 이후 열녀 등 정표자가 많이 나왔다. 마지막으로 황석산성전투가 임진왜란 전체 전투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이다. 황석산성전투는 정유재란 초기에 조선과 명군의 지원이 없이 고립 상태에서 민ㆍ관ㆍ군이 하나가 되어 지역방어를 수행하여 끝까지 일본군에게 항쟁했던 전투였다. 이런 점에서 황석산성전투는 임진왜란 시기의 의병이 준관군화되어 활동했던 후기의병의 모습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도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re were many battles in the Imjin War, the biggest war in Northeast Asia in the late 16th century. Among them, the period of refineries was more damaging than during the war. Since the goal of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8 was to surrender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Hamyang was forced to face combat from the early days of the war. Two representative battles in Hamyang(咸陽) during the period of the war are the Battle of Hwangseok mountain fortress(黃石山城) and the Battle of Sageun station(沙斤驛) in Hamyang. In the Battle of Hwangseok mountain fortress, which was discussed in the main complex, the content aims to be promoted based on significance. First of all, it means the aspect of a fighter.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8, the Battle of Hwangseoksan mountain fortress was forced to start due to geographical factors that were located in Hamyang on the Japanese military s invasion of Jeolla Province. The Battle of Hwangseoksan mountain fortress was the first real formal battle in the land battle of Gyeongsang Province during the wars. In Joseon, the three military prefectures of Anui(安義), Geochang(居昌), and Hamyang entered Hwangseoksan mountain fortress and prepared for the battle. Although the fortress fell due to inferiority in the military, it did a lot of damage to the Japanese military due to the development of a clear-cut plan and delayed the Japanese military s advance to Jeolla Province in part. Next, it means political and ideological aspects. Although the Battle of Hwangseoksan mountain fortress was a lost battle, its influence on societ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was significant. After the end of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98, the Battle of Hwangseoksan mountain fortress continued to remember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This means that although the Joseon Dynasty intended to strengthen the national ideology of Confucianism and enlighten the people. Ironically, it was recognized that the state had done its best in the fight against the Hwangseoksan mountain fortress. In this regard, the Battle of Hwangseok mountain fortress can find historical significance, and the victims of the Battle of Hwangseok were honored as exemplary cases to the people. Such procedures were revealed in Hwangseok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rs, the construction of a shrine, the enactment a posthumous epithet, and the construction of monument house. In particular, Kwak Joon(郭䞭) who was the governor in Anui, was introduced in Morals Painting Dongguksinsog(東國新續三綱行實圖), a good example of his practice, and in Hamyang, there were a lot of political markers, including a woman of chaste reputatio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98. Lastly, the Battle of Hwangseok mountain fortress is the status of the entire battle history of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Imjin. The Battle of Hwangseok was a battle that fought against the Japanese army in the early days of the Japanese Invasion in which people, government, and military were isolated without the support of the Joseon and Ming forces and carried out regional defense. In this regard, the Battle of Hwangseok mountain fortress is a good example of the latter phase of the Japanese Invasion, in which righteous arm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were quasi-governmental.

목차

Ⅰ. 머리말
Ⅱ. 황석산성전투의 배경
Ⅲ. 황석산성전투의 결과
Ⅳ. 황석산성전투의 의의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康植(Kim, Kang-sik). (2018).정유재란 시기 황석산성전투의 전개와 의의. 이순신연구논총, (30), 209-254

MLA

金康植(Kim, Kang-sik). "정유재란 시기 황석산성전투의 전개와 의의." 이순신연구논총, .30(2018): 209-2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