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量船尺

이용수 71

영문명
Study on Joseon Dynasty Yangseoncheok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저자명
정진술(Jeong Jin-sool)
간행물 정보
『이순신연구논총』제30호, 259~28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선박의 크기는 영조척 또는 양선척으로 나타낸다. 양선척은 영조 26년(1750)에 균역법을 시행하면서 각 도별 선박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새롭게 만든 척도로, 그 단위는 파(把)이며,『균역사목』(1752)에 1/10 축척의 실측도가 그려져 있다. 파는 『균역사목』 이전에도 선박의 길이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되었으나,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임진왜란 직후부터 문헌기록에 자주 언급되는 것으로 볼 때, 임진왜란 때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규장각에 소장된 표제명 『균역사목』과 『균역청사목』(1754)에 그려진 양선척의 실측치는 각각 15cm와 15.5cm이다. 이 두 그림만으로 볼 때, 양선척 1파의 길이는 150-155cm로 나타난다. 이것을 세종 때 영조척 (31.22cm)으로 환산하면, 4.8-4.96자가 된다. 한편, 조선시대 영조척 유물들의 실측치를 평균한 값(30.46cm)으로 환산하면 4.9-5.1자가 된다. 그러므로 『균역사목』에 나타난 양선척 1파는 영조척으로 대략 5자가 된다. 『균역사목』에 양선척의 척도가 이와 같이 제정되었지만, 양선척 1파와 영조척의 관계는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았다. 그것은 정조가 「주교 지남(舟橋指南)」(1790)에서, 파는 정해진 기준이 없고 지척(指尺) 6자를 1파로 삼는다고 언급한데서 살펴진다. 양선척 1파와 영조척의 관계는 『만기요람』(1808)에서 처음으로 나타난다. 이때에 이르러서야 조선정부는 영조척 5자를 양선척 1파로 규정했다. 양선척은 18세기까지만 해도 반파 단위까지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선박을 실제로 건조할 때는 사용되지 않고, 선박의 개략적인 크기를 말하거나, 선세를 거두기 위해 양선하는 척도로만 사용되었다. 19세기에 들어서면 양선척이 균척(均尺)으로도 불려지고, 또 선박의 구조에 구체적인 치수로 나타난다. 이는 양선척이 세금을 부과하기 위한 척도뿐만 아니라 이 시기에 이르러서는 선박의 건조에도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척도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e size of ship of Joseon Dynasty was indicated with Youngjocheok(營造尺) or Yangseoncheok(量船尺). Yangseoncheok was a new measure that was newly made to measure the size of the vessel of each province as Gyunyeokbeob(均役法) was executed in 1750(Youngjo’s year 26), the unit was Pa(把), and a tenth scale floor plan was drawn in 『Gyunyeoksamok』 (均役事目, 1752). Pa was also used as a measure to indicate the length of a vessel before 『Gyunyeoksamok』, however it is not certain when it was firstly used. The researcher only presumes that it was also us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1592-1598), considering that it frequently appeared in history books records immediately after the war. Actual measurement value of Yangseoncheok, drawn in the books 『Gyunyeoksamok』and 『Gyunyeokcheongsamok』(均役廳事目, 1754), stored in Gyujanggak, are respectively 15cm and 15.5cm. Considering these two pictures, the length of Yangseoncheok 1 Pa appears 150-155cm. This becomes 4.9-5.1 Ja(尺), when converting into the average value (30.46cm) of actual measurement of Youngjocheok artifacts of Joseon Dynasty. Accordingly, Yangseoncheok 1 Pa, drawn in 『Gyunyeoksamok』, is about 5 Ja in Youngjocheok. Nevertheless the scale of Yangseoncheok was defined in 『Gyunyeoksamok』, this way, the relation between Yangseoncheok 1 Pa and Youngjocheok was not clearly defined. That was determined in 「Jugyojinam(舟橋指南)」(1790), where King Jeongjo mentioned that Pa had no fixed standard and Jicheok(指 尺) 6 Ja was defined as 1 Pa. The relation between Yangseoncheok 1 Pa and Youngjocheok firstly appeared in 『Mangiyoram』(萬機要覽, 1808). At this time, Joseon government defined Youngjocheok 5 Ja as Yangseoncheok 1 Pa. Since Yangseoncheok was used with half-Pa unit as the smallest unit until the 18th century, it was not used to build an actual vessel, it was used as a scale to describe a rough size of ship or measuring the value of shipping tax call it Seonse(船稅). In the 19th century, Yangseoncheok was also called Gyuncheok(均尺), and the structure of a ship was measured with concrete size. This implies that Yangseoncheok was not a mere measure to impose tax, but it was also used as a practical measure to build a ship during that period.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시대 기본 尺度
Ⅲ. 조선시대 量船尺
1. 船稅와 양선척
2. 양선척의 단위 把
3. 양선척 단위 把의 적용 사례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진술(Jeong Jin-sool). (2018).조선시대 量船尺. 이순신연구논총, (30), 259-288

MLA

정진술(Jeong Jin-sool). "조선시대 量船尺." 이순신연구논총, .30(2018): 259-2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