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순신 통제사의 조선수군 재건과 고하도 삼도수군통제영

이용수 550

영문명
Admiral Yi Sun-sin’s Rebuilding of Joseon Sugun (Naval Forces), and Gohado Samdo Sugun Tongjeyeong (Three Provinces Naval Station at Gohado Island)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저자명
이상훈(LEE, Sang-Hoon)
간행물 정보
『이순신연구논총』제30호, 125~172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고하도 통제영(高下島統制營) 건설의 배경과 과정, 그곳에서 이순신의 활동과 이것이 가지는 의의 등을 고찰한 것이다. 일본군은 칠천량해전 이후 전라도로 진격하여 이곳을 완전히 장악하려 하였다. 그러나 명군의 남하와 조선수군의 재건, 조명연합군의 공격에 따라 남해 연안에 성을 쌓고 울산, 사천, 순천의 3개의 본거지를 중심으로 주둔하면서 조명연합군에 대항하였다. 한편 조선수군은 명량해전에서 승리한 후에도 함선의 열세, 무기 고갈, 장졸의 피로에 따라 고군산군도까지 신속히 퇴각하였다. 이후 이순신은 일본군이 전라도에서 퇴각하자 본격적인 수군의 재건을 위해 다시 남하했다. 조선수군은 전라우수영이 폐허가 된 상황에서 일본군을 견제하면서도 겨울나기와 수군을 재건할 수 있는 장소를 구하는 것이 급선무였다. 그 선택은 바로 목포 앞 고하도였다. 고하도는 겨울 서북풍을 막아주고 배를 감출 수 있으며, 지리적으로 좋았기 때문이었다. 조선수군은 공무를 보는 관청과 장졸의 숙소, 창고 등을 신속히 건설했다. 이곳에서의 활동은 다음의 6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① 수군 근거지의 정착 ② 일본군의 정탐과 견제 및 일본군에 부역하는 자들의 색출과 처단 ③ 다양한 방법을 통한 군량의 확보 ④ 함선의 제조와 무기의 확보 ⑤ 병력의 증강 ⑥ 명 수군의 합류와 일본군의 퇴각에 따른 새로운 기지 선정 고하도 통제영에서의 조선 수군의 재건은 매우 성공적인 것이었다. 조선수군은 고하도에서 즉시 출동할 수 있는 규모를 함선 40척 이상, 병력 2,000명 이상으로 증강시켰다. 그리고 혼란스러웠던 이 지역의 민심을 안정시켰다. 이로써 고하도 통제영에서 조선구군은 향후 명과 연합군을 이루어 일본군과의 본격적인 전투를 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였다. 이것이 고하도 통제영이 가지는 의의라고 할 수 있다. 1598년이 되자 일본군이 순천 등지로 퇴각하였고 조선수군은 일본군의 움직임에 기민하게 대처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조선수군은 동쪽으로 이동하여 고금도 통제영을 새로 건설하였다. 이로써 조선수군은 1598년 2월 16일 고금도로 옮길 때까지 106일 동안 머물던 고하도 임시 통제영의 시대는 그 소임을 다하고 막을 내리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rebuilding Tongjeyeong(統制 營, naval station) at Gohado Island(高下島) and Admiral Yi Sun-sin’s activities at the base and their significance. Besides the introduction and the conclusion, this article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four themes. - The occurrence of Jeongyujaeran (丁酉再亂, Japanese Second Invasion of Korea) and the advance and retreat of Japanese forces - Sea-battle of Myeongnyang(鳴梁) and the start of rebuilding the Joseon sugun (naval forces) - The location of Gohado Tongjeyeong and the process of its construction - Yi Sun-sin’s activities at Gohado Tongjeyeong and their significance Japanese forces tried to advance to and consolidate their control over Jeolla Province after the Sea-battle of Chilcheollyang(漆川梁). However, according as the Ming forces moved south, Joseon naval forces were rebuilt, and the allied forces of Joseon and Ming launched attack, Japanese forces built fortresses along the Namhae(南海, South Sea) and fought against the allied forces of Joseon and Ming, with Ulsan, Sacheon, and Suncheon as their strongholds. On the other hand, even after victory at the Battle of Myeongnyang, Joseon sugun quickly withdrew up to Gogunsan-gundo Archipelago(古群山群島) due to inferiority in the number of warships, the depletion of weaponry, and solider’s fatigue. According as Japanese forces retreated from Jeolla Province later, Yi Sun-sin moved south again to rebuild Joseon naval forces in earnest. For the Joseon naval forces, it was urgent to find a location where they got through winter and rebuilt naval forces as well as they held Japanese force in check, because the Jeolla U-Suyeong (全羅右水營, Joseon naval forces’s right base camp of Jeolla Province) had been ruined. And the selection was Gohado Island in front of Mokpo. For Gohado Island shut out the wind, hid ships, and was geographically strategic. Joseon naval forces constructed official administrative offices, soldiers’ quarters, and warehouses rapidly. Their activities at the island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six categories; ① establishing the Joseon naval forces’s stronghold, ② spying on and checking the Japanese forces, and hunting down and punishing those who took the side of Japanese forces, ③ securing provisions through various methods, ④ Building warships and securing weaponry, ⑤ reinforcing troops, ⑥. selecting a new station as a result of the joining of Ming naval forces and the retreat of Japanese forces. The rebuilding of Joseon naval forces at Gohado Tongjeyeong was very successful. Joseon sugun increased warships to 40 ships and troops to more than 2,000. And they stabilized the restless popular sentiment in the region. Hence, Joseon naval forces at Gohado Tongjeyeong established the foundation for engaging the Japanese forces in earnest by forming allied forces with Ming. It may safely be said that this is the significance of Gohado Tongjeyeong. 군도 In 1598, the Japanese forces retreated to Suncheon and so on, and there arose the need forJoseon naval forces to cope with the movement of Japanese forces alertly. As a result, Joseon naval forces moved east, and constructed Tongjeyeong newly at Gogeumdo Island(古今島). Thus, the period of the temporary Tongjeyeong at Gohado Island for 106 days until Tongjeyeong moved to Gogeumdo Island on February 16, 1598 came to an end after fulfilling its miss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정유재란의 발발과 일본군의 진퇴
Ⅲ. 명량해전과 조선수군의 재건의 시작
Ⅳ. 고하도 통제영의 건설
Ⅴ. 고하도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훈(LEE, Sang-Hoon). (2018).이순신 통제사의 조선수군 재건과 고하도 삼도수군통제영. 이순신연구논총, (30), 125-172

MLA

이상훈(LEE, Sang-Hoon). "이순신 통제사의 조선수군 재건과 고하도 삼도수군통제영." 이순신연구논총, .30(2018): 125-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