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옹화궁(雍和宮) 시론(試論)Ⅰ

이용수 96

영문명
A Study on YonghegongⅠ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안윤아(AHN, Yoon-A) 조병학(CHO, Byoung-Hak)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39권, 117~14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옹화궁은 청조(淸朝)의 수도에 세운 티베트 불교 사원으로서 티베트 불교 사원 고유의 교육제도, 불교 도량 등을 갖춘 황실 사원이었다. 옹화궁이 포함하고 있는 종교적 요소는 티베트 불교의 중심지 라싸의 대표적인 사원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개축 때부터 준비되었고, 티베트 불교를 신앙으로 하는 몽골과 티베트 지역 간의 종교적 교류를 제어하며 종교적 무게 중심을 점진적이며 자연스럽게 황제의 시야 아래로 옮겨 오는데 종교적 장소로서 그 기능을 할 수 있었다. 건륭(乾隆) 황제 중후기를 지나면서 청조에 위협을 가할 만한 몽골의 세력이 사라진 다음, 옹화궁 자체의 불교적인 내용물과 인적 자원은 몽골, 티베트 지역까지 직접 라마를 파견함으로써 다른 지방제도와 비슷하게 황제의 중앙 전제적 통치에 이용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옹화궁은 청조의 몽골과 티베트 지역에 대한 정치적 통제의 상징성으로만 세워진 것은 아니지만, 옹정 중후기로 가면서 점차 정국이 안정화 되어감에 따라 몽골, 티베트 지역에 대한 통제의 기능을 한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청대의 몽골, 티베트 지역에 대한 티베트 불교를 이용한 통제 정책은 지금까지도 영향을 주고 있다.

영문 초록

As a Tibetan Buddhist temple built up in the capital of Qing chao, Yonghegong was the imperial temple, made up of educational system of characteristic Tibetan Buddhist temple, and Buddhist temple. From its reconstruction, the religious contents of Yonghegong were prepared a lot good enough to be compared with other famous temples in Lasa which was the center of Tibetan Buddhism. Controlling the religious exchanges between Tibet and Mongolia that believed in Tibetan Buddhism as religion, it played a huge role as a religious place in gradually and naturally moving the religious center of gravity to the under the emperor’s sight. After the Mongolian power that could be threatening to Qing chao disappeared in the middle/latter part of Emperor Qianlong, the Buddhist contents and human resources of Yonghegong itself were used for the emperor’s autocracy by directly sending lamas to Mongolia and Tibet, which was similar to other local systems. Even though Yonghegong was not just built up for the symbolism of political control over Tibet and Mongolia by Qing chao, as the political situation got stabilized in the middle/latter part of Emperor Yongzheng, it actually performed a function to control Tibet and Mongolia. This control policy over Tibetan Buddhism and Mongolian Buddhism by Qing chao has still influences today.

목차

Ⅰ. 서언(序言)
Ⅱ. 옹화궁의 개묘(雍和宮 改廟)와 사원경제
1. 옹화궁의 개묘
2. 옹화궁의 사원경제
Ⅲ. 옹화궁의 기능
1. 옹화궁의 교육제도
2.옹화궁과 금병체첨 제도
Ⅳ. 옹화궁과 건륭제 시기의 티베트 불교 정책
1. 옹화궁과 경사(京師) 중심의 티베트 불교 정책
2. 건륭제 시기의 티베트 불교 정책과 『라마설』
Ⅴ. 결언(結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윤아(AHN, Yoon-A),조병학(CHO, Byoung-Hak). (2019).옹화궁(雍和宮) 시론(試論)Ⅰ. 한국사학사학보, 39 , 117-142

MLA

안윤아(AHN, Yoon-A),조병학(CHO, Byoung-Hak). "옹화궁(雍和宮) 시론(試論)Ⅰ." 한국사학사학보, 39.(2019): 117-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