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軍門謄錄』의 자료적 검토

이용수 135

영문명
A Study on the material Review of the Gunmundeungnok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장준호(JANG, Jun-Ho)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39권, 5~3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여진족이 평안도 渭源을 침입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선조는 유성룡을 四道都體察使에 임명하였다. 유성룡은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무기·군량미의 마련·방어 시설의 개편 등 방비책을 마련하였고, 이러한 방책을 예하 지휘관에서 이문하여 시행하도록 하였다. 그는 1598년 봄에 사직할 때까지 사도도체찰사를 역임하였다. 그가 사도도체찰사를 사직하자, 사도도체찰사부도 혁파되고 말았다. 그는 자신이 사도도체찰사를 역임하면서 작성하였던 문이와 계사를 등출하여 成冊하고 『군문등록』이라 명명했다. 이것이 초본 『군문등록』으로 1595년 10월부터 1596년 12월까지 유성룡이 작성하였던 문이와 체찰사의 뜻으로 종사관이 올린 계사들이 수록되어 있다. 초본 『군문등록』은 유성룡의 행적, 북방에 대한 방어책, 조선의 군사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임진왜란과 유성룡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등록은 문서를 베껴 엮은 문헌이라 할 수 있다. 『군문등록」은 사도도체찰사군문의 군사 행정과 방어 대책 등의 전례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 초본 『군문등록』은 유성룡 사후 후손들에 의해 16권본 『징비록』이 간행되는 과정에서, 간본으로 재구성되었다. 16권 『징비록』 권15~16에는 초본 『군문등록』의 문이의 일부만을 선별·수정하여 『군문등록』으로 수록되었다. 간본 『군문등록』은 초본 『군문등록』과 판본을 비교·검토를 통해 체재와 구성에 많은 변개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간본 『군문등록』은 초본의 문이 41건만이 수록되었고, 계사는 일부가 수정되어 편입되었을 뿐 거의 수록되지 않았다. 그것은 16권본 『징비록』 「芹曝集」이 유성룡의 차자와 계사를 성책한 것임을 볼 때, 간본 『군문등록』의 계사는 모두 삭제하여 간행했음을 알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초본 『군문등록』은 계사를 제외한 문이만을 선별·수정하여 간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군문등록』은 사도도체찰사의 군사 행정의 내용이 그대로 담겨 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 조선 조정은 건국 초기부터 국가적 차원의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도체찰사를 파견하였는데, 그 활동에 대해서는 실록에 단편적인 내용만이 수록되어 있을 뿐 구체적인 실상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반면 『군문등록』에는 1595년 10월부터 1596년 12월까지의 정국 동향과 군사 행정의 실상과 군사 훈련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내용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어 군제사 연구에도 매우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군문등록』은 16권본 『징비록』의 일부로서 『징비록』의 저술과 성립 과정을 이해하는 데도 매우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유성룡은 『징비록』의 서문에서 이 책을 찬술한 후 차자와 계사, 문이를 부록하였다고 밝혔다. 문이가 바로 『군문등록』으로 유성룡은 이 책을 『징비록』 찬술의 자료로 이용하였고, 후대에 16권본 『징비록』의 일부로서 수록·간행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간본 『군문등록』은 『징비록』을 사학사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어 매우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Yoo Seong-ryong was appointed as Sadochechalsa. He prepared a defense against the invasion of Yeojin. When he resigned as Sadochechalsa, the department was abolished. He copied the documents he had written and finished them with a book. He named the Gunmundeungnok. The Gunmundeungnok is a very important material for studying the Imjin War and Yoo Seong-ryong. The Gunmundeungnok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understanding military administration and measures to defend against Yeojin. The Gunmundeungnok was published as part of the Jingbirok of sixteen volumes. In the course of publication, the original was made with many revisions and edits. Nevertheless, the Gunmundeungnok is a very important material in studying military and history of historiography. I hope more interest and research on theGunmundeungnok will be made in the future. That is because it relates to the writing and publication of the Gunmundeungnok.

목차

1. 머리말
2. 『軍門謄錄』의 서지학적 검토
3. 四道都體察使 柳成龍의 군사행정
4. 맺음말 - 『軍門謄錄』의 자료적 가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준호(JANG, Jun-Ho). (2019).『軍門謄錄』의 자료적 검토. 한국사학사학보, 39 , 5-38

MLA

장준호(JANG, Jun-Ho). "『軍門謄錄』의 자료적 검토." 한국사학사학보, 39.(2019): 5-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