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金秉祚의 민족운동과 『韓國獨立運動史略 上篇』의 저술

이용수 109

영문명
Kim Byeong-jo s Nationalistic Movement and His Writing of 『The Outlined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Volume 1』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박걸순(PARK. Gul-Sun)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39권, 79~116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김병조는 3·1운동 때 기독교 목사로서 민족대표로 참가한 인물이다. 그는 일찍이 근대교육에 참가하는 한편, 1909년 서북학회와 대한협회 구성군지회를 조직하고 이끌어 나가는 등 계몽운동을 펼쳤다. 이 무렵 기독교를 수용하고 이후 평북 의주 일원 교회를 담임하였다. 1919년 2월 그는 이승훈의 주도 하에 유여대·양전백 등 평북노회 소속 목사들과 민족대표로 동참하였다. 그러나 3월 1일 거행된 민족대표의 독립선언식에는 불참석하고, 의주의 만세시위를 주도하고 상하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가하였다. 곧 그는 민족대표로서는 유일하게 임시정부에 참가하여 3·1운동과 임시정부의 가교 역할을 한 인물이다. 1919년 4월 22일 임시의정원에 선출되어 활동하던 그는 이듬해 3월 25일 사임하였다. 그는 여전히 한인사회의 지도자이자 목사로서 한인교회를 이끌었고, 1923년 국민대표회의 때에는 비서장에 선임되었다. 그러나 1923년 4월 만주로 건너가 한인교회를 관장하는 한편, 통의부와 참의부 고문으로 추대되는 등 무장투쟁단체와도 연계하였다. 1933년 귀국한 그는 고향과 인근 지역에서 목회활동을 하다가 해방을 맞이하였다. 임시정부에서 활동하는 동안 그는 1919년 『한일관계사료집』 편찬에 참여하여 제4편 독립운동사 분야의 자료를 수집하고 집필하였다. 1921년 3월에는 『한국독립운동사략 상편』을 저술하여 편찬하였다. 본서는 김병조 개인 차원의 저술이라기보다는 임시정부가 『한일관계사료집』의 연장선상에서 후속사업의 성격을 지닌 것으로 이해함이 타당하다. 김병조는 ‘일제에 유린된 전말을 모아 열국에 알리고 싶다’는 생각을 지니고 있던 차에 본서를 통해 그 희망을 이루고자 하였다. 『한국독립운동사략 상편』은 1894년의 청일전쟁부터 1920년 3·1운동 1주년 기념행사까지 격랑의 27년 민족사를 17장으로 구성하였다. 일제 침략의 본격적 시발점을 청일전쟁으로 본 것은 그의 독특한 사관이다. 그는 3·1운동을 ‘모범적 혁명’, ‘개국 이래 처음 일어난 민족적 혁명’으로 인식하고, 참여 군중을 ‘義軍’이라 표현하였는데, 민족대표로서 3·1운동을 기록해야 하겠다는 책임감과 절실함으로 본서를 정리하였다. 그런데 본서는 본격적이고 주관적인 3·1운동사의 서술이라기보다는 자료집의 성격으로 이해된다. 요컨대, 『한국독립운동사략 상편』은 김병조의 민족대표로서의 위치, 『한일관계사료집』 편찬과정에서의 역할, 임시정부 후속사업의 성격 등을 감안할 때, 『한일관계사료집』·『한국독립운동지혈사』와 함께 3·1운동사 연구의 3대 古典으로 평가함이 마땅하다.

영문 초록

Kim Byeong-jo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ㆍIndependence Movement as a national representative and a Christian pastor. He joined modern education early, and in 1909 he campaigned for enlightenment such as organizing and leading Seobuk Society and Daehan Society Guseon-gun Branch. At this time, he embraced Christianity and later became head pastor at Ilwon Church in Uiju, Pyeonganbuk-do. In February 1919, he was joined as a national representative together with pastorsof the Pyeongbuk presbytery, such as Yoo Yeo-dae and Yang Jeon-baek, under the leadership of Lee Seung-hoon. However, he was unable to attend the independence declaration ceremony of the national representatives held on March 1, led the protest rallies in Uiju, and exiled to Shanghai and participated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oon he was the only national representative who participated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played a bridging role between the March 1stㆍIn On April 22, 1919, he was elected in The Provisional Assembly and resigned on March 25 of the following year. He was still the leader and pastor of the Korean community, leading Korean churches, and in 1923, he was appointed Chief Secretary at the Korean National Convention. However, in April 1923, he crossed over to Manchuria where he was in charge of Korean churches, and he was also associated with the armed resistance by serving as the director of Tongwibu and Chamibu. After returning to Korea in 1933, Korea gained independence when he was doing his pastoral activities in his home and neighborhood. During his tenure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he participated in compiling 『Historical Records of Korea-Japan Relations』 in 1919, and collected the materials about Volume 4 Independent Movement History and wrote it. In March 1921, he wrote and edited 『The Outlined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Volume 1』.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that this book is not Kim Byeong-jo’s personal work, but rather the Provisional Government’s follow-up project on the continuation of the 『Historical Records of Korea-Japan Relations』. Kim Byeongjo tried to achieve his hope through this book when he had the idea that I want to collect the entire data about the atrocity of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let the entire world know the truth. 『The Outlined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Volume 1』 consisted of 17 chapters of national history from the Sino-Japanese War of 1894 to the 1st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1920. It is his unique view of history which considered the Sino-Japanese War as the full-scale starting point of Japanese invasion. He recognized the March 1st Movement as an exemplary revolution , a national revolution that has occurred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 , and expressed the participating crowd as a loyal troop , and he wrote the book with the responsibility and desperation to record the March 1st Movement, as a national representative. However, this book is not the full and subjective descript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but a kind of collection. As a result, 『The Outlined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Volume 1』 should be evaluated as the three major classics of the March 1st Movement research together with 『Historical Records of Korea-Japan Relations』 and 『Hangukdongnipundongjihyeolsa(The Bloody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given Kim Byeong-Joo s position as a national representative, his role in the compilation process of 『Historical Records of Korea-Japan Relations』, and the natur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s follow-up project. Key Words : Kim Byeong-jo, March 1st・Independence Movement, national representativ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League of Nations, 『Historical Records of Korea-Japan Relations』, 『The Outlined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Volume 1』, 『Han-guk dongnipundongjihyeolsa』

목차

Ⅰ. 머리말
Ⅱ. 생애와 민족운동
Ⅲ. 『韓國獨立運動史略 上篇』의 저술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걸순(PARK. Gul-Sun). (2019).金秉祚의 민족운동과 『韓國獨立運動史略 上篇』의 저술. 한국사학사학보, 39 , 79-116

MLA

박걸순(PARK. Gul-Sun). "金秉祚의 민족운동과 『韓國獨立運動史略 上篇』의 저술." 한국사학사학보, 39.(2019): 79-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