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蘇童의 『城北地帶』에 나타난 결핍과 상처 ― 청소년 인물형상을 중심으로

이용수 16

영문명
Deficiency and Scarring in the Sutong(蘇童)’s The North Area(城北地帶) : Focused on Image of the Youth
발행기관
대한중국학회
저자명
장윤선(Chang, Yun-Son)
간행물 정보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中國學 第67輯, 249~26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城北地帶는 蘇童의 ‘참죽나무 거리 텍스트’ 중의 대표작으로 작가가 자신의 유소년 시절을 反芻하며, 상처와 결핍으로 얼룩진 성장과정을 復原해 낸 자전적 장편소설이다. 蘇童은 문혁이라는 억압된 사회구조에서 문혁이 개인의 삶에 어떻게 작동했고, 어떤 상처와 흉터를 남겼는가에 주목한다. 이는 문혁이라는 암흑의 터널 속에서 비정상적인 성장통을 겪어야했던 청소년들의 결핍과 상처에 대한 穿鑿으로 이어진다. 본 논문은 가정과 학교,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방치된 채 방황과 일탈로 점철된 성장통을 겪는 청소년 인물형상을 중심으로, 그들 내면의 상처와 결핍, 고독과 소외, 좌절과 절망감을 고찰한다. 청소년 인물형상을 둘러싼 불투명한 잿빛 미래와 비극적 파국을 통해서, 蘇童은 청춘과 꿈을 박탈해가고 거세해버린 억압적 문혁의 시대와 그 역사적 과오와 상처에 대해 작가로서의 비판적 성찰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North Area(城北地帶) is an autobiographical story about a writer who recites his childhood memories and restores the growth process stained with wounds and deficiencies. SuTong(蘇童) notes the question of how the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文化大革命) has influenced individuals’ lives. He focuses on what scars has been left in the individual s life under the repressed social structure of the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文化大革命). This problem leads to the lack and scarring of adolescents who had to suffer from abnormal growth pains in the tunnel of the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文化大革命). As a detailed analysis and the betterment of the thesis, relationship between oak tree streets(香椿樹街) and SuTong(蘇童) was described in Chapter 1. In the second chapter, teenagers, the main characters, and their lives on the streets of oak trees(香椿樹街) in The North Area(城北地帶) has been specifically reviewed. This paper has focused on teenagers who live in poverty under the absurd and violent environment of the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文化大革命). Further, teenagers wandering in indifference under violent and ugly families, dilapidated schools, and distorted societies have been also reviewed respectively. In the third chapter, the feature of a Flower(夜飯花, a flower that blooms only at night), which is highlighted as an important image in the work, details the gloomy life and tragic story of young figures. Through this, SuTong(蘇童) s anger and grief has been shown at the era of oppressive literary revolution, which deprived and castrated youth and dreams.

목차

1. 참죽나무 거리(香椿樹街)와 쑤퉁
2. 성북지대(城北地帶), 폭력과 억압의 공간
1) 추악한 가정의 민낯
2) 붕괴된 학교 현장
3) 일그러진 사회
3. 야반화(夜飯花), 거세된 未完의 청춘
4.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윤선(Chang, Yun-Son). (2019).蘇童의 『城北地帶』에 나타난 결핍과 상처 ― 청소년 인물형상을 중심으로.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67 , 249-266

MLA

장윤선(Chang, Yun-Son). "蘇童의 『城北地帶』에 나타난 결핍과 상처 ― 청소년 인물형상을 중심으로."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67.(2019): 249-2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