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蘇童의 『城北地帶』에 나타난 결핍과 상처 ― 청소년 인물형상을 중심으로
이용수 16
- 영문명
- Deficiency and Scarring in the Sutong(蘇童)’s The North Area(城北地帶) : Focused on Image of the Youth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장윤선(Chang, Yun-Son)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中國學 第67輯, 249~26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城北地帶는 蘇童의 ‘참죽나무 거리 텍스트’ 중의 대표작으로 작가가 자신의 유소년 시절을 反芻하며, 상처와 결핍으로 얼룩진 성장과정을 復原해 낸 자전적 장편소설이다. 蘇童은 문혁이라는 억압된 사회구조에서 문혁이 개인의 삶에 어떻게 작동했고, 어떤 상처와 흉터를 남겼는가에 주목한다. 이는 문혁이라는 암흑의 터널 속에서 비정상적인 성장통을 겪어야했던
청소년들의 결핍과 상처에 대한 穿鑿으로 이어진다. 본 논문은 가정과 학교,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방치된 채 방황과 일탈로 점철된 성장통을 겪는 청소년 인물형상을 중심으로, 그들 내면의 상처와 결핍, 고독과 소외, 좌절과 절망감을 고찰한다. 청소년 인물형상을 둘러싼 불투명한 잿빛 미래와 비극적 파국을 통해서, 蘇童은 청춘과 꿈을 박탈해가고 거세해버린 억압적
문혁의 시대와 그 역사적 과오와 상처에 대해 작가로서의 비판적 성찰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North Area(城北地帶) is an autobiographical story about a writer who recites his childhood memories and restores the growth process stained with wounds and deficiencies. SuTong(蘇童) notes the question of how the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文化大革命) has influenced individuals’ lives. He focuses on what scars
has been left in the individual s life under the repressed social structure of the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文化大革命). This problem leads to the lack and scarring of adolescents who had to suffer from abnormal growth pains in the tunnel of the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文化大革命). As a detailed analysis and the betterment of the thesis, relationship between oak tree streets(香椿樹街) and SuTong(蘇童) was described in Chapter 1. In the second chapter, teenagers, the main characters, and their lives on the streets of oak trees(香椿樹街) in The North Area(城北地帶) has been specifically reviewed. This paper has focused on teenagers who live in poverty under the absurd and violent environment of the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文化大革命). Further, teenagers wandering in
indifference under violent and ugly families, dilapidated schools, and distorted societies have been also reviewed respectively. In the third chapter, the feature of a Flower(夜飯花, a flower that blooms only at night), which is highlighted as an important image in the work, details the gloomy life and tragic story of young figures. Through this, SuTong(蘇童) s anger and grief has been shown at the era of oppressive literary revolution, which deprived and castrated youth and dreams.
목차
1. 참죽나무 거리(香椿樹街)와 쑤퉁
2. 성북지대(城北地帶), 폭력과 억압의 공간
1) 추악한 가정의 민낯
2) 붕괴된 학교 현장
3) 일그러진 사회
3. 야반화(夜飯花), 거세된 未完의 청춘
4.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대학평가제도 분석 및 개선방안 모색 ― 책무성 이론을 중심으로
- 蘇童의 『城北地帶』에 나타난 결핍과 상처 ― 청소년 인물형상을 중심으로
- 浅析公演艺术产业化革新 -以云南杨丽萍文化传播股份有限公司为案例
- 한반도 사드배치 이후 중국 온라인 미디어 분석을 통한 제주도 이미지 제고방안 연구
- 『신찬자경 』의 이체자 유형 분류 ― 간략화와 증번화를 중심으로
- ‘VP’/‘V1V2’+(‘了’) 사동구조의 경계성 분석
- 한국, 중국, 대만의 ‘민주화’에 대한 이해 ― 영화 <화려한 휴가>의 관객평론을 중심으로
- 构式“W死我了”与“W死我算了”异同分析
- 《海国图志》与魏源的海洋认识
- 遇不遇 개념의 淵源과 神話的 形象
- A Study on the 1st and 3rd Syllables in Five-Syllable Regulated Verse
- 총체적 개념의 중국학을 위한 언어학의 역할과 대상에 관한 시론
- 关于修订《汉韩大辞典》及推出网络辞典的建议 ― 对比《大汉韩辞典》,《ZON汉字辞典》等辞典予以探讨
- 지식범주의 변신, 現量 다시 읽기 ― 唯識佛敎의 認識論에서 古典詩學으로
- 개념적 혼성 이론을 통한 ‘X币’형 신조어 분석
- 동북아 집단주의 문화권에서 연고(사적 관계망)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심리사회적 영향 ― 중국인과 한국인을 대상으로
- 韩中Tandem语伴互助学习活动中的问题和解决方案 —以釜外会计系中国留学生和中文系韩国学生的语伴关系为例
- 漢語蘇州方言和合肥方言入聲字的比較研究
- 현대중국어 공손표현의 변천 양상 연구 ― 호칭어를 중심으로
- 韩国企业FDI对高校韩国语人才培养的促进作用研究 ― 以宝鸡文理学院为例
- 한자능력검정시험 7급 한자 構形체계의 연구 ― 한국어문회 7급 배정 한자 150자를 대상으로
- 金仁順 희곡의 전위적 요소와 주제의식 연구 ― <他人>을 중심으로
- ‘如果’와 ‘-(으)면, -거든’ 가정조건문 개념영역 대조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