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國漢詩에서 ‘ 고양이 [ 猫 ]’ 意象의 체계와 의미

이용수 302

영문명
A System and Meanings of Images of a Cat in Korean Poetry in Classical Chinese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김 경(Kim, kyung)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59輯, 165~19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고양이 漢詩의 意象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한시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고, 의상을 방법론으로 삼아 고찰하였다. 나아가 의상의 체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고양이에 대한 접근시선에 주목하였 다. 고양이에 대한 시선은 관념적 시선, 필요에 의한 시선, 친근한 시선으로 구분되었다. 먼저 관념적 시선은 고양이의 의상체계에서 典範性의 위치를 차지하며 제사의 神, 仁慈, 표리부동의 의상으로 詩化되었다. 필요에 의한 시선에 이르러서는 작가의 시대상황과 결부되면서 고양이는 능력자와 무능력자, 약탈자의 의상으로 變奏되었다. 마지막으로 친근한 시선은 전범적 의상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양상이었기에 個性的인데, 고양이는 주로 작가의 처지와 심상을 대변하는 동물로 閑靜과 유대감의 의상으로 詩化되었다. 이처럼 한국한시에서 고양이의 의상은 관념적인 시선(전범)-필요에 의한 시선(변주)-친근한 시선(개성)으로 전환되며 확장되었다. 그러나 그 과정은 선형적이기보다는 무선형적이며 산발적이다. 이는 고양이에 대한 인식이 작가마다 다르고, 동일 작가라 하더라도 詩作에서의 고양이는 多面性을 지니기 때문이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ed to analyze images of cats in Korean poetry in classical Chinese. For this purpose, it researched Korean poetry in classical Chinese as a subject of study, and examined images as a methodology. Additionally, for identifying a system of images, the research paid attention to various perspectives about cats. The research found that various perspectives about cats were classified by ideality, necessity and intimacy. Firstly, the perspective classified by ideality took a leading place as a classic. And classic images of cats were expressed in poems as a god of ritual, benevolence and ambidexterity. Secondly, the perspective classified by necessity was varied as a competent or incompetent being and a plunderer in associating with a situation of the time of authors. Lastly, the perspective classified by intimacy was individual because it was relatively free from classical images of cats. And in this perspective, cats were expressed in poems as images of peacefulness and a sense of fellowship mainly representing situations and minds of authors. Thus, images of cats in Korean poetry in classical Chinese were changed and extended from an ideal perspective(ideality) into a perspective by necessity(variation) and an intimate perspective(individuality). However, this process was rather nonlinear and sporadic than linear. It was because perceptions about cats were different by authors. And it was also because cats had various facets when they were expressed in poems even if same author wrote poems about cats.

목차

1. 문제제기
2. 고양이에 대한 韓國漢詩의 작품개관
3. 韓國漢詩에서 ‘고양이’ 意象의 체계
1) 관념화된 시선: 제사의 神, 仁慈, 表裏不同
2) 필요에 의한 시선: 能力者, 無能力者와 掠奪者
3) 친근한 시선: 閑靜, 紐帶感
4. 韓國漢詩에서 ‘고양이’ 意象의 의미: 결론을 대신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 경(Kim, kyung). (2019).韓國漢詩에서 ‘ 고양이 [ 猫 ]’ 意象의 체계와 의미. 대동한문학, 59 , 165-194

MLA

김 경(Kim, kyung). "韓國漢詩에서 ‘ 고양이 [ 猫 ]’ 意象의 체계와 의미." 대동한문학, 59.(2019): 165-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