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熱河日記 에 비친 홍대용의 그림자

이용수 244

영문명
Shadow of Hong Dae-yong Reflected on Yeolha-ilgi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최 식(Choi, Sik)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59輯, 51~91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 사신의 행색과 관련한 에피소드, <小序>를 둘러싼 논쟁, 그리고 漢族의 自省과 관련한 三厄 등을 중심으로 홍대용의 연행과 간정동 회우록 이 박지원의 열하일기 에 어떠한 방식으로 수집・정리되고 확대・ 재생산이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보았다. 박지원은 홍대용이 연행에서 乞僧으로 조롱당한 사실을 착안하여, 조선 선비의 행색이 중국의 중과 흡사하다는 정보를 소개한다. 또한 明制를 고수 하던 오영방이 비웃음을 당하고 홍대용이 걸승으로 오해받은 사건과 마찬 가지로 자신도 托鉢僧・頭陀僧과 다름없어 걸승으로 조롱당한 일화를 전하 며, 당시 조선 여인의 복색에 비판적 견해를 덧붙인다. 더욱이 頭註를 기록한 인물도 홍대용의 일화에 착안하여, 박지원과는 달리 도사로 오해받은 연행의 경험담을 기록한다.간정동필담 에 따르면, <小序>를 둘러싼 한중 지식인의 논쟁에서 홍대 용은 패배를 시인한 셈이다. 그런데, 박지원은 홍대용의 <소서> 논쟁을 주제로 새로운 논의를 전개한다. 중국에서 주자를 배척하는 상황은 홍대용이 중국 지식인과 논쟁한 <소서>를 재구성한 것인데, 마치 일반적인 상황처럼 제시한다. 이후 初彭齡・高棫生을 상대로 <소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한 대목은 홍대용의 사례와는 정반대의 결과를 초래하고, 간정동필담 에서 등장하는 馬端臨・毛奇齡・朱彝尊을 주자를 공박하는 대표적인 인물로 지목한다. 이는 박지원이 간정동회우록 의 <소서> 문제와 논쟁을 당시 중국 학계의 일반적인 상황으로 인식하여 자신의 견해를 피력한 셈이다. 열하일기 의 三厄은 홍대용과 이덕무가 언급한 망건과 전족에서 비롯 되어, 연초를 덧붙여 삼액으로 명명하고, 연행록과 필기 및 유서를 바탕으로 구체적이고 치밀하게 구성한다. 특히 홍대용과 이덕무의 말을 한족 출신의 지식인 왕민호가 언급하는 것으로 처리하여 한족의 自省과 연결 짓는다. 또한 삼액은 이후 연행록에 수용・변증・활용 등 다양한 형태로 변모되어 드러난다. 朴思浩는 왕민호가 언급한 삼액을 전재한 반면, 韓弼敎는 박지원과 왕민호의 필담을 재구성하는 방식이다. 이와는 달리, 이정수는 삼액을 수용하면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고 각종 문헌을 활용하여 변증을 시도한 다. 이 밖에 中州偶錄 과 瀋槎日記 는 열하일기 와 마찬가지로 한중 지식인의 만남에서 필담의 소재로 삼액을 활용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has taken a look at how the traveling of Hong Dae-yong and Ganjeongdonghoewu-rok collected, summarized, expanded and reproduced on Yeolha-ilgi (Journal of Yeolha) of Park Ji-won around episode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Joseon s envoy, debate around 「Soseo」, and Samaek related to the reflection of the Han people. Park Ji-won reminded the fact that Hong Dae-yong was mocked in the travel as a beggar monk, and introduced the appearance of Joseon s scholar looks similar to a Chinese monk. In addition, O Young-bang who adhered Myeongje (明制) was ridiculed mocked and was laughed at as treated like a beggar monk like takbal-seung (begging bonze) and duta-seung (monk in penance), just the same as in the incident of Hong Dae-yong treated as a beggar monk and she stated her criticizing opinion regarding the clothes of the Joseon s women at the time. Furthermore, those characters who recorded the connotations considered the story of Hong Dae-yong to record the experience of journey that was misunderstand as the priest, which is different from Park Ji-won. According to Ganjeongdong-Pildam , Hong Dae-yong acknowledged his defeat in the debate of intellectuals in Korea and China surrounding 「Soseo」. However, Park Ji-won deployed the new discussion with the theme of 「Soseo」 debate of Hong Dae-yong. The situation of China where Zhu Xi was turned away was presented as if it was a generally accepted situation when it was actually recomposing of 「Soseo」 that had Hong Dae-yong debated with Chinese intellectuals. Thereafter, the part of demonstrating his opinion on 「Soseo」 to Cho Paeng-ryeong and Ko Yeoksaeng caused the completely opposite result with the case of Hong Dae-yong and Ma Dan-lim, Mo Gi-ryeong, and Joo E-zon appearing on Ganjeongdong-Pildam was pointed as the typical man who publicly denouncing Zhu Xi. This is to have Park Ji-won to acknowledge the issues and debate of 「Soseo」 by Ganjeongdong-ZHoewurok as the general situation in the Chinese academic circle to express his own opinion. The Samaek of Yeolha-ilgi is composed in detailed and sophisticated means on the basis of writings and wills with the Yeonhaeng-rok (a journal of envoy s trips) as it was originated from manggeon (hair-band) and jeonjok (foot-binding) mentioned by Hong Dae-yong and Lee Deok-moo to name it as Samaek with the additional of yeoncho. In particular, the words of Hong Dae-yong and Lee Deok-moo were processed as the Han people raced intellectual, Wang Min-ho, mentioning it in a way of connecting to the reflection of the Han people. In addition, the Samaek appeared with various changes in shape and type on the Yeonhaeng-rok with accommodation, demonstration, facilitation and others. Park Sa-ho posted the Samaek that Wang Min-ho mentioned while Han Pil-gyo had the recomposition of the written communication of Park Ji-won and Wang Min-ho. Unlike the foregoing, Lee Jeong-soo accommodated the Samaek while displaying his own opinion and attempted for demonstration by utilizing various literatures. In addition, Jungjuwoo-rok and Simsailgi facilitate Samaek as the theme of written communication in meetings of Korea-China intellectual as in Yeolha-ilgi .

목차

1. 문제 제기
2. 朝鮮 使臣의 行色과 嘲弄
3. 「小序」의 問題와 論爭
4. 漢族의 自省과 三厄
5. 남는 문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 식(Choi, Sik). (2019).熱河日記 에 비친 홍대용의 그림자. 대동한문학, 59 , 51-91

MLA

최 식(Choi, Sik). "熱河日記 에 비친 홍대용의 그림자." 대동한문학, 59.(2019): 51-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