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주쾌적성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
이용수 63
- 영문명
-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 of Amenity in Daejeon Metropolitan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서수복(Seo, Su Bog) 엄수원(Eum, Soo Won)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35호, 215~22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정주쾌적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지역적 차이를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의 발전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정주쾌적성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였으며,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정주쾌적성 요인에 관한 지표를 선정하고 실증분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구축하였다. 분석은 대전 시민을 대상으로 한 정주쾌적성 만족도 설문자료에 의하였으며,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에 의해 정주쾌적성 요인을 지역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쾌적성의 만족도나 쾌적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역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앞으로
쾌적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도시정책이 지역별로 차별화되어야 함을 보여 주었다.
영문 초록
Enhancement of amenity as a city s growth strategy has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to foster a livable urban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theory of urban development by analyzing amenity for the individual cities and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city s growth.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terminants of amenity in Daejeon city. In order to achieve those purpose I theorized about the concept of amenity and built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empirical research to establish indicators for analyzing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to analyze the impact of factors consists of amenity on satisfaction of it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terminants of amenity as a explanatory variable and satisfaction of it as a dependent variable. The meaningfu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ity s development strategy ultimately.
목차
Ⅰ. 서론
Ⅱ. 정주쾌적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
1. 정주공간의 개념
2. 쾌적성의 개념 및 기능
3 . 선행 연구의 검토
Ⅲ. 조사 설계와 요인 분석
1. 연구방법과 분석모형
2. 측정지표와 설문조사
3. 신뢰성 검정
4. 요인 분석
Ⅳ. 정주쾌적성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
1. 정주쾌적성 만족도 구별 인식 차이
2. 정주쾌적성 결정요인 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비사업 초기단계에서 수익성 예측을 위한 인식조사 -토지등소유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
- 부동산투자회사(REITs)의 세금 절감이 자금관리 및 수익성에 대한 사업운영에 미치는 영향
- 노후생활인식 및 준비도가 은퇴기 주택규모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부산광역시 거주민을 중심으로 -
- 정비사업조합 설립⋅운용상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의 이주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대구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
- 포항시 재정비촉진지구 주민의 특성 분석
- 주택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MB정부를 중심으로-
- 베이비부머의 주거선호를 고려한 주거정책방향 연구
- 독도 최초 주민 최종덕의 사상 연구
- 한·미 리츠(REITs)시장 동향과 발전과제
- 서울시 외식업소의 상가권리금 결정에 관한 연구
- 첨단산업단지 주변지역 아파트 전세 및 매매가격 결정요인 분석
- 우리나라 중소도시의 도시 창조성 수준과 특성에 관한 연구 - 경남 양산시를 중심으로 -
- 노인복지주택의 입주의사에 미치는 요인과 영향에 관한 인식 연구
- 부동산금융활동 평가모형 개발
- 정주쾌적성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
- 영업시간 제한 및 휴무일 지정에 따른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의 매출액 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 세대주 및 생산가능인구의 변화가 주택 가격의 변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에너지모델링에서 기하정보 변경방법 연구: 다양한 규모의 동으로 구성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 건축공간계획과 서비스 디자인의 융합적 개념에 관한 연구
- 건축 평면도 기반 실내공간 혼잡도 분석 및 예측 시각화 이미지 생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