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복지주택의 입주의사에 미치는 요인과 영향에 관한 인식 연구
이용수 112
- 영문명
- A Perceptional Study on the Moving-in Preference Factors and the impacts to the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People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조남연(Cho, Nam Youn) 문신용(Moon, Sin Yong)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35호, 141~16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사회를 맞아 노인복지주택의 보급시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인들을 수요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실증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노인복지주택의 입주의사에 미치는 요인과 그 영향력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비용성, 입지성, 공공성, 시설의 편의성, 친밀성 등 제시한 모든 요인들이 입주선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입지성과 비용성 등이 입주의사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입지성 측면에서 주변이 쾌적하면서 제반시설과 주변여건이 좋은 도시 근교형이 바람직하며, 비용성 면에
서는 입주보증금과 월 관리비가 저렴한 요소가 입주의사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부차원에서 도심 근교에 토지를 저가로 제공하여 노인복지주택의 공급을 늘리고, 적절한 지원을 통해 노인복지주택 입주민들의 경제적 부담감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factors considered crucial when supplying the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people in our aging society by using empirical research and analysi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attempted to first figure out the preference factors that are thought to be important when considering the option of moving into the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people and those factors’ influence on the final decision making process. Th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all presented preference factors - cost, location, publicness, facilities convenience, and familiarity -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moving-in preferences. Location and cost were found to be especially influential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More specifically, infrastructure and suburban areas which have decent surroundings were considered important from the location perspective while security deposits and
monthly maintenance costs played a huge role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rom the cost factor perspective.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take action in increasing the supply of the welfare housing for the elderly people by providing suburban land at low cost.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lessen the burden of potential tenants by means of proper support.
목차
Ⅰ. 서 론
Ⅱ. 노인복지주택의 현황 및 선행 연구
1. 노인복지주택의 개념
2. 노인복지주택의 현황
3. 노인복지주택 입주 선호관련 선행 연구의 검토
Ⅲ. 연구 설계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1. 노인복지주택 주거선호 특성 분석
2. 노인복지주택 입주 선호요인 분석
3. 노인복지주택의 선호요인이 입주선택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비사업 초기단계에서 수익성 예측을 위한 인식조사 -토지등소유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
- 부동산투자회사(REITs)의 세금 절감이 자금관리 및 수익성에 대한 사업운영에 미치는 영향
- 노후생활인식 및 준비도가 은퇴기 주택규모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부산광역시 거주민을 중심으로 -
- 정비사업조합 설립⋅운용상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의 이주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대구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
- 포항시 재정비촉진지구 주민의 특성 분석
- 주택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MB정부를 중심으로-
- 베이비부머의 주거선호를 고려한 주거정책방향 연구
- 독도 최초 주민 최종덕의 사상 연구
- 한·미 리츠(REITs)시장 동향과 발전과제
- 서울시 외식업소의 상가권리금 결정에 관한 연구
- 첨단산업단지 주변지역 아파트 전세 및 매매가격 결정요인 분석
- 우리나라 중소도시의 도시 창조성 수준과 특성에 관한 연구 - 경남 양산시를 중심으로 -
- 노인복지주택의 입주의사에 미치는 요인과 영향에 관한 인식 연구
- 부동산금융활동 평가모형 개발
- 정주쾌적성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
- 영업시간 제한 및 휴무일 지정에 따른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의 매출액 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 세대주 및 생산가능인구의 변화가 주택 가격의 변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에너지모델링에서 기하정보 변경방법 연구: 다양한 규모의 동으로 구성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 건축공간계획과 서비스 디자인의 융합적 개념에 관한 연구
- 건축 평면도 기반 실내공간 혼잡도 분석 및 예측 시각화 이미지 생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