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대주 및 생산가능인구의 변화가 주택 가격의 변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이용수 221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Householder and Productive Populations on the Change of the Housing Price - Focused on the Korea and Japan -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이옥동(Lee, Ok Dong) 최정일(Choi, Jeong Il)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35호, 231~25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세대주와 생산가능인구 그리고 그 비중이 모두 감소세로 전환되면서 부동산 등 자산시장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의 경우 일본보다 대략 20년간의 격차를 두고 더 빠른 속도로 감소하리라 예상된다. 보유자산의 대부분을 부동산으로 소유하고 있는 우리의 경우 과거 일본보다 커다란 충격이 추정되고 있다. 일본의 세대주와 주택가격의 증감률을 비교해 보면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유사한 흐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이후 세대주증감률이 음(-)의 값을 계속 유지하는 것으로 보여 지난 20년 이상 지속된 주택가격의 하락세는 더 이어질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일본의 주택 가격은 절정기 수준의 40%를 유지하고 있다. 세대주가 감소하고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는 현상이 지속되면 생산성 및 노동력 등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부동산 등 자산시장이 감소하게 될 것이다. 또한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복지 및 의료비용이
증가하면서 재정적자가 확대되고 국가경제가 위축될 것이다. 더불어 투자 및 소비가 감소하면서 자산시장이 위축되고 주택가격이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주택가격이 하락하면 금융기관의 담보가치가 하락하게 되므로 금융기관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위험 관리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주택가격 하락이 사회전체의 시스템 위험으로 확대되지 않도록 미리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Due to the declining number and importance of householders and productive population, there should be a huge impact on asset market like real estate. In case of Korea, it is expected to decline faster than that of Japan approximately 20 years of interval. It is estimated that there will be an enormous shock in Korea, since Koreans hold real estate for the most as their asset.
When the number of householders and productive population keeps falling, asset market such as real estate will be in recession due to the diminishing productivity and labor force. People will tend to be more risk-averse, cost of welfare and medicine will be increased and it will lead expansion of budget deficit and shrinking of national economy.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manage their risk more severely, as the security real estate asset value may fall due to the shrinking of asset market because of decreasing investment and expenditure. Furthermore, we should be well prepared not to spread the risk of housing price s falling to the extent of systematic problem of the whole society.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한국과 일본의 세대주와 생산가능인구
1. 선행 연구의 고찰
2. 한국과 일본의 주택시장 동향
3. 한국과 일본의 세대주 동향
4. 한국과 일본의 생산가능인구 동향
Ⅲ. 실증 분석
1. 한국과 주요국의 중위인구 비교
2. 세대주 변화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3. 생산가능인구 변화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4. 한국과 일본의 생산가능인구 비교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비사업 초기단계에서 수익성 예측을 위한 인식조사 -토지등소유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
- 부동산투자회사(REITs)의 세금 절감이 자금관리 및 수익성에 대한 사업운영에 미치는 영향
- 노후생활인식 및 준비도가 은퇴기 주택규모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부산광역시 거주민을 중심으로 -
- 정비사업조합 설립⋅운용상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의 이주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대구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
- 포항시 재정비촉진지구 주민의 특성 분석
- 주택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MB정부를 중심으로-
- 베이비부머의 주거선호를 고려한 주거정책방향 연구
- 독도 최초 주민 최종덕의 사상 연구
- 한·미 리츠(REITs)시장 동향과 발전과제
- 서울시 외식업소의 상가권리금 결정에 관한 연구
- 첨단산업단지 주변지역 아파트 전세 및 매매가격 결정요인 분석
- 우리나라 중소도시의 도시 창조성 수준과 특성에 관한 연구 - 경남 양산시를 중심으로 -
- 노인복지주택의 입주의사에 미치는 요인과 영향에 관한 인식 연구
- 부동산금융활동 평가모형 개발
- 정주쾌적성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
- 영업시간 제한 및 휴무일 지정에 따른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의 매출액 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 세대주 및 생산가능인구의 변화가 주택 가격의 변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에너지모델링에서 기하정보 변경방법 연구: 다양한 규모의 동으로 구성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 건축공간계획과 서비스 디자인의 융합적 개념에 관한 연구
- 건축 평면도 기반 실내공간 혼잡도 분석 및 예측 시각화 이미지 생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