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계시론적 삼위일체론과 존재론적 삼위일체론

이용수 56

영문명
Revelational Trinity and Ontological Trinity-focused on Karl Barth and John Zizioulas
발행기관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저자명
이문균(Lee Moon-Kyoon)
간행물 정보
『신학사상』신학사상 148집(2010년 봄호), 67~10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3.0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하나님에 대한 이해를 계시론적으로 접근한 바르트의 삼위일체론과 존재론적으로 접근한 지지울라스의 삼위일체론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바르트는 근대의 인식론적 관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삼위일체론을 하나님의 계시 양태로 설명하였다. 그는 삼위일체론은 하나님의 존재 자체에 대한 사변적인 논의가 아니라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고 성령 안에서 자신을 드러내신 계시의 양태를 설명하는 이론이라고 생각하였다. 반면에 동방정교회 신학자인 지지울라스는 고대 카파도키아 교부들의 사상에서 오늘에 필요한 존재에 대한 통찰을 발견하고 그것을 발전시키려고 하였다. 그는 삼위일체론에서 사귐과 타자의 적절한 관계의 유일한 모형인 사귐의 인격을 발견하였다. 바르트와 지지울라스는 모두 본질과 실체의 존재론을 거부하고 인격을 중심으로 삼위일체론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바르트와 지지울라스는 인격에 대해 서 서로 다른 이해를 갖고 있었다. 바르트는 현대 세계가 이해하는 인격 개념은 타자와 구분되는 절대 주체의 성격이 강하다는 점을 인식하였다. 그래서 삼신론의 위험을 피하기 위하여 바르트는 인격을 전체로서의 한 분 하나님에게 적용하였다. 반면에 지지울라스는 현대 세계가 생각하는 인격에 대한 이해를 기독교적인 이해로 바꾸어 놓기를 원했다. 그는 삼위일체론을 통해 인격은 사귐 속에서만 진정한 인격일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였다. 그래서 지지울라스는 인격을 삼위 하나님에게 적용하여 하나님의 일치와 구분을 드러내었다. 바르트의 계시론적 삼위일체론은 주체적 인격이신 하나님의 삼중적 계시 양태를 설명하는 이론이며, 지지울라스의 존재론적 삼위일체론을 사귐의 인격이신 삼위 하나님의 존재 양식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mpares and contrasts revelational Trinity of Karl Barth with the ontological Trinity put forth by John Zizioulas. Responding to modern epistemological approach, Barth explained the trinity as self-revelation of God. For Barth the concept of God’s being must be measured by revelation of God. God’s revelation is the criterion of all ontological statements in theology. In contrast, a Greek Orthodox theologian John Zizioulas found the seminal insight on ontology of personhood in the thoughts of the Cappadocian fathers, and tried to advance the idea. He found in the Trinity the unique model of the person as communion. Both Barth and Zizioulas centered on the concept of person to explain Trinity. However, they differed in their understanding of‘person’. Barth noted that contemporary understanding of personhood strongly suggests an absolute identity set apart from others. Therefore, in order to avoid the danger of tritheism, Barth applied personality to the whole divine Trinity as such. Zizioulas, on the other hand, wanted to change the contemporary concept of the person to that of Christian concept. Through the doctrine of Trinity he realized that the true person could only exist in koinonia. Therefore, he applied the person to triune God clarifying oneness and separate beings. Barth’s revelational Trinity explains the self-existing God revealing himself in three forms, and Zizioulas’ Ontological Trinity explains God as person existing in commun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문균(Lee Moon-Kyoon). (2010).계시론적 삼위일체론과 존재론적 삼위일체론. 신학사상, 148 , 67-100

MLA

이문균(Lee Moon-Kyoon). "계시론적 삼위일체론과 존재론적 삼위일체론." 신학사상, 148.(2010): 67-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