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최명익 소설의 기차 공간 연구

이용수 295

영문명
A Study on the Train Space of Choi Myung-ik’s Novel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이희원(Lee, Hee-won)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1집, 295~32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차는 한 사회의 근대화를 추동하는 주요한 교통수단이다. 때문에 기차의 운용 양상은 그 사회의 근대화가 가지는 정체성이나 지향점을 보여주는 바로미터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소설가 최명익은 식민지민에 대한 수탈이 극에 달하던 일제 말기를 살아간 식민지민 지식인 작가로서의 자의식을 기차 공간 형상화 방식을 통해 구체화 했다. 그 대표적 작품이 「무성격자」, 「심문」, 「장삼이사」이다. 비슷한 시간의 간격을 두고 발표한 이 세 작품은 당대를 살펴보는 작가의 의미있는 주제의식의 변 화를 유기적으로 보여주는 측면이 있다. 즉 최명익은 기차 공간 형상화 방식의 변화를 통해 달라지는 주체를 형상화하고 있는 것이다. 그 주체의 면모는 자기 내면에 침잠하던 주체에서 이데올로기적 지향점과 개인의 정체성 간의 불균형을 감지하는 주체로, 그리고 타자를 발견하고 내면에서 찾지 못하던 가능성을 타자에게서 감각하는 주체로 변화한다. 「무성격자」는 상반된 가치체계와 정체성을 가지고 있기에 괴리될 수밖에 없는 세 인물을 통해 조선의 근대성이 가진 모순과 균열을 형상화한다. 이 세 인물은 출발지, 도착지, 그리고 기차 공간이라는 세 영역을 통해 서로 단절되면서 동시에 연결되어 있다. 즉 정일의 기차 공간에 의해 아버지 덕수와 애인 문주의 영역이 연결되면서 동시에 분리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차 공간의 분열적 양상은 공간적 분열이면서 동시에 화자의 분열된 심리 세계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기차 공간 은 일제 말기 조선인의 분열된 심리와 사회적 위상을 투영하고 있다. 「심문」의 주인공 역시 「무성격자」의 주인공처럼 기차를 타는데 그가 기차여행에 임하는 자세는 달라진다. 즉 그는 출발지가 자기 삶의 근거지로서의 특별한 의미를 상실한 상태이며, 목적지를 향하는 특별한 목적이 제대로 없는 상태인 것이다. 게다가 그는 기차 안에서 경찰 권력의 감시 나 동승자의 도덕적 평가에 노출되어 위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주인공의 모습은 정치적 혼란 속에서 자기 주체성을 제대로 세울 수 없었던 식민지 조선인의 처지를 반영한다. 이에 기차 공간은 「무성격자」의 그것과 달리 구체적으로 사회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셈이라 하겠다. 마지막으로 「장삼이사」에서는 일제의 통치 논리에 완전히 장악당한 조선의 상황이 3등칸 기차 내부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관계 속에 형상화되고 있다. 이때 작가는 서사를 단순한 절망으로 끌고 가지 않는다. 대신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관계 가능성을 내장한 영역으로 기차 안을 의미화 한다. 이를 통해 엄혹한 일제 말기 조선인들에게서 변화 가능성 을 발견하고 미래를 기약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이처럼 최명익은 기차 공간을 통해 조선의 정치적 상황과 이에 대한 인물들의 반응을 집약적으로 보여주었다. 그리고 그 양상의 변화를 2년을 전후한 간격을 두고 만들어진 작품 속에 새겨 넣었다. 이는 당시 조선인의 현실을 장악하고 있던 통치 체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근대성 자체를 성찰하는 유의미한 시도였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rains are a major means of driving the modernization of a society. Therefore, the mode of operation of the train has a meaning as a barometer showing the identity and the direction of the modernization of a society. The novelist, Myung–ik Choi, symbolized the self-consciousness of a colonial intellectual who lived at the end of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presentative works are “Non-characteristic person”, “Sim-mun” and “Jangsamyisa”. These three works, which are published at similar intervals, organically show the changes in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the contemporary artist. In other words, Myung-ik Choi is shaping the changing subject in the change of the way of expressing the train space. The aspect of the subject changes from the subject who is immersed in himself to the subject who perceives the imbalance of social identity and personal identity, and to the subject who finds the other and feels the possibility that he has not been able to find from the inside. “Non-characteristic person” symbolizes the contradictions and cracks of the modernity of Joseon through the three figures who have a contradictory value system and identity and are bound to be distanced from each other. It shows the attitude of three people through three areas: the starting point, the destination, and the train space. At this time, the train space played a fragmented role in connecting the house of the father with the contrasting aspect of the house and the lover s house. This division was a spatial division and a space reflecting the divisive psychological world of the speaker. “Sim-mun” shows a person on a train that forgets one’s starting point and runs to his destination without any special purpose. The person who is disturbed by the surveillance and moral evaluation of the police power reflects the situation of the colonial Joseon who could not establish self-identity in political confusion. Therefore, the train space reflects the social reality more specifically than “Non-characteristic person”. Finally, in “Jangsamyisa”, the situation of Joseon, which was completely conquered by the Japanese rule, is expressed as a series of events that take place inside the tertiary train. However, the artist does not draw narrative to mere despair but shows attitude of pledging a changeable future by means of signifying the train as an area containing some new possibilities that people create. In this way, Myung-ik Choi showed intensely the political situation of Joseon and the reaction of characters through the train space. And the change of the aspect was inscribed in the work which was made at intervals about two years. This is a literary historical point in that it was a meaningful attempt to critically examine the ruling system that had dominated the reality of the Korean people at the time and to reflect on modernity itself.

목차

1. 최명익의 근대 인식과 기차
2. 분열된 심리 공간으로서의 기차 -「무성격자」
3. 단절과 좌절의 기차 공간 - 「심문」
4. 확장 가능성의 기차 공간 - 「장삼이사」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희원(Lee, Hee-won). (2019).최명익 소설의 기차 공간 연구. 한국문학논총, 81 , 295-326

MLA

이희원(Lee, Hee-won). "최명익 소설의 기차 공간 연구." 한국문학논총, 81.(2019): 295-3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