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通信使의 일본 출판 및 서적 유통 탐색 - 비왜적 측면을 중심으로 -

이용수 189

영문명
The Korean Diplomats’ Investigation of the Japanese Publishing and Book Distribution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 Focusing on Bi-Wae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정은영(Jeong, Eun-Young)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1집, 257~29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후기 통신사는 조선 국왕의 국서를 일본 막부에 전달하고 포로쇄환 등의 외교적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하지만 실제적으로는 일본의 재침략 가능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대응책을 모색하는 것이 주 임무였다. 다시 말해 통신사 파견의 근본적인 목적은 ‘비왜’라고 할 수 있다. 비왜란 말 그대로 일본(혹은 왜구)의 침략에 대비하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일본의 침략에 대비한다는 것이 곧 군사적 방어책을 구축하는 데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본의 정치ㆍ외교, 경제, 문화 등을 다각 적으로 살피고 분석해야만 효과적인 비왜책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조선후기 통신사는 일본의 현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경로로 일본정보를 수집하여 그에 맞는 비왜책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통신사가 수집한 정보에는 일본의 출판과 서적 유통에 관한 부분도 있었다. 조선후기 통신사는 大坂, 京都, 江戶 등의 사행 노정지에서 다수의 조선 서적이 유통되고 있음을 목격하였다. 임진왜란 중 약탈되었거나 밀무역을 통해 유입되었을 조선 서적을 보며 통신사행원들은 우려를 나타냈다. 특히 조선의 지리나 兵法, 일본과의 외교 문제를 다룬 많은 서적들이 일본에서 출판, 유통되고 있다는 점은 비왜의 필요성을 다시 부각시켰다. 한편 長崎를 통해 일본으로 유입된 중국서적은 조선의 수십 배 에 달하는 규모였으며, 질적으로도 차이가 나 조선뿐만 아니라 중국에도 없는 중국 서적들이 일본에는 유통되고 있었다. 조선후기 통신사는 중국서적의 유입으로 일본 문사들의 문장이 좋아졌는데, 이대로 일본 학문이 계속 성장한다면 중국에 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일본으로 유입된 조선과 중국 서적은 서사를 통해 유통되었는데, 일본의 서사는 도서의 단순 판매에 그치지 않고 판본을 만들어 서적을 발간하는 역할도 담당하였다. 조선과 일본 서적의 유입과 서사의 성장은 일본의 학문을 급속히 성장시킨 원동력이 되었다. 조선후기 통신사는 이러한 일본의 실상을 파악하고 새로운 시각에서 비왜책을 강구하였다. 조선후기 통신사가 생각한 가장 이상적인 비왜는 일본의 학문이 계속 성장하여 禮를 아는 문명국이 되는 것이므로 조선서적의 일본 유출을 금지하되, 조선의 성리학 서적은 예외적으로 더 많이 전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일본의 학문 성장에 맞춰 통신사행원, 더 나아가 조선 지식인의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거나 일본 학문의 중심지였던 교토의 분위기를 전하며 천황이라는 존재에 주목해야 한다는 비왜책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ongsinsa, the Korean diplomats, operating in the late years of the Joseon period, were sent to Japan with the aim of delivering the Joseon king’s letter to the shogunate and addressing the pressing diplomatic agendas such as the repatriation of the war prisoners. In fact, however, their main duty was to assess the possibility for another invasion by Japan and figure out the Joseon response to it. In other words,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dispatch of the diplomats was bi-wae, which literally means preparing against the incursions from Japanese (wokou, Japanese pirates). However, preparing against Japanese incursions was not limited to setting up military defenses. Effective preparations against the Japanese incursions could be set up only through examining and analyzing diverse aspects of Japan such as her politics, foreign relations, economy, and culture. Accordingly, the diplomats who operated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collected intelligence on Japan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presented ideas for preparing against Japanese incursions with a view to accurately grasping the situation in which Japan found itself. But, the information which the diplomats collected included the information on the publishing and book distribution in Japan. The diplomats in the late Joseon period witnesses the distribution of a large number of Joseon books in towns that the diplomatic mission traveled through such as Osaka, Kyoto, and Edo. When they found Joseon books which probably arrived in Japan through plundering committed during the Imjin War or through smuggling, the diplomats expressed concerns. Especially when they saw a lot of books treating the geography of military strategy of Joseon and her diplomatic issues with Japan, it highlighted the need to prepare against Japanese incursions. So, the diplomat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reported what they witnessed to the royal court of Joseon, ensuring the prohibition of the delivery of Joseon books to Japan except those on Confucianism. Meanwhile, the academic growth of Japan led the diplomats give a hard look at the reality and work to come up with preparations against Japanese incursions. So, focusing on the contemporary Japan which emphasized academicism more than military force, some people suggested that extra preparations against Japanese incursions would be unnecessary. To the contrary, however, other people argued that the abilities of the diplomatic delegation members as well as the intellectuals of Joseon should be upgraded in step with the academic and scientific growth in Japan, or suggested preparations against Japanese incursions by paying attention to the existence of the emperor while describing the atmosphere in Kyoto, the contemporary academic center of Japan.

목차

1. 서론
2. 조선후기 통신사가 본 일본의 출판 및 서적 유통
1) 조선 서적의 무분별한 일본 유출
2) 長崎를 통한 중국 서적의 유입
3) 서적 유통과 출판의 중심, 書肆
3. 새로운 비왜책의 제시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은영(Jeong, Eun-Young). (2019).조선후기 通信使의 일본 출판 및 서적 유통 탐색 - 비왜적 측면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논총, 81 , 257-298

MLA

정은영(Jeong, Eun-Young). "조선후기 通信使의 일본 출판 및 서적 유통 탐색 - 비왜적 측면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논총, 81.(2019): 257-2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