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스트리아적 대독일주의의 등장과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의 대응

이용수 140

영문명
The Emergence of the Austrian Grossdeutschtum and Frankfurt’s Response
발행기관
한국세계문화사학회
저자명
김장수(Jang-Soo Kim)
간행물 정보
『세계역사와 문화연구』제31집, 131~15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3월혁명이 발생한 이후 그동안 등한시되었던 민족문제가 오스트리아 제국에서 부각되었고 이것은 제국의 존속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시작했다. 상황이 이렇게 전개됨에 따라 제국 내 독일 정치가들은 그들 민족이 그동안 누려왔던 법적?사회적 특권을 보장받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가를 숙고하게 되었고 거기서 오스트리아 제국의 존속이 그들 민족의 우위권보존과 직접적으로 연계된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이들은 오스트리아 제국을 존속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고 거기서 오스트리아적 대독일주의를 해결대안으로 제시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 당시 오스트리아적 대독일주의는 메테르니히체제의 재도입을 거부했을 뿐만 아니라 신생독일에 오스트리아 제국의 일부만을 참여시킨다는 프랑크푸르트의 통합 안에도 반대했다. 그렇지만 오스트리아적 대독일주의는 지금까지 오스트리아 제국이 독일권에서 행사했던 주도권을 계속 견지해야 한다라는 관점을 피력했는데 이것은 당시 제국내에서 제기되었던 민족문제의 실상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데서 비롯된 것 같다. 오스트리아적 대독일주의자들의 입장이 밝혀짐에 따라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의 의원들은 그들의 대독일주의를 관철시키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게 되었고 거기서 오스트리아 제국 내에서 불만세력으로 간주되던 슬라브 민족, 특히 보헤미아 지방의 체코 민족을 자신들의 정책적 동반자로 삼아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던 것이다.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 측은 만일 체코 민족이 그들의 요구를 수용한다면 이들은 즉시 빈 정부에게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의 제안을 수렴해야 한다는 주장을 지속적으로 펼치리라는 예측도 했다. 이후부터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 측은 공개적으로 신생독일에 편입될 슬라브 민족들에게 그들이 염원했던 민족의 특성유지 및 사회적 지위향상을 법률적으로 보장 받게 될 것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체코 정치가들은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측이 그 동안 체코 민족을 민족단위체로서 간주하지 않다가 갑자기 그러한 ‘혁명적’ 제안을 한 것에 대해 강한 의구심을 제기했고 그것은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의 의도를 무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부터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는 독일연방을 토대로 한 대독일주의보다 오스트리아 제국을 배제시킨, 즉 프로이센 주도로 독일권을 통합시켜야 한다는 소독일주의에 대해 관심을 보였고 그것을 실천시키기 위한 방안도 강구했다.

영문 초록

The Empire of Austria was such ethnically heterogeneous that a few Germans dominated over the larger number of Czechs, Croats, Slovaks, Hungarians and Poles. But Clement von Metternich, Minister of Foreign Affairs and State Chancellor in the Empie of Austria, considered that the only means of controlling the centrifugal forces of nationalism was upholding the one centripetal power. However, this aspect was changed after the collapse of the Metternichsystem. Gradually Slav politicians in the Empie of Austria were convinced that ethnic conflicts might trigger in the political movement to topple down the absolute monarchy system. At that time important nationalist project in Germany was the national unification of Germany. The effort to create a German nation-state was in part peaceful, via the election of the Frankfurt National Assembly(=Frankfurter Nationalversammlung), charged with writing a constitution for a united Germany. Violent conflicts arose, however, over the question of the national status of territories previously under dynastic rule. The most complex and violent clashes between nationalists occurred in the multinational Austrian Empire. Should the empire- and, if so, which part of it- join a German nation-state? The claim of the Frankfurt National Assembly to legislate for the whole German people, at least for the populations inhabiting the Confederation, conceived as successor to the old Reich. That meant a goodly part of the Habsburg lands; all that was not Hungary, Lombardy-Venetia, or Galcia, realms which many German liberals were therefore disposed to leave to their own devices anyway. At that time German nationalists in Frankfurt thought the provinces of Bohemia and Moravia were parts of Germany. But most of them did not conceive of this prospective ‘Grossdeutsctum’ as dissolving all the bonds of their existing Austrian Reich, still less as relegating Vienna to merely peripheral status. In these circumstances, the German politicians in the Donau Monarchy presented the ‘Austrian Grossdeutschtum’ as an alternative to the ‘Grossdeutschtum’. With this transfiguration model they were trying to ensure the hegemony of Austria in German area. In addition, they tried to keep legal and social privileges. However, the Frankfurt National Assembly did not agree the ‘Austrian Grossdeutschtum’. It was because that they tried to coperate with Czech Politicians. But in that process they failed to have any achievements. At that time, Czech Politicians introduced the Federalism of the Empire of Austria as the solution. They believed that the Federation was the only measure to solve the inequality between the Germans and Slavs. They worked hard to convince the peoples that this idea was the only way to solve the conflicts between the Germans and the Slaves. Their idea was rejected by most German politicians who wanted to maintain their dominancy in Austria.

목차

머리말
1. 오스트리아적 대독일주의의 내용과 지향목표
2.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의 제의와 슬라브 정치가들의 대응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장수(Jang-Soo Kim). (2014).오스트리아적 대독일주의의 등장과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의 대응. 세계역사와 문화연구, 31 , 131-153

MLA

김장수(Jang-Soo Kim). "오스트리아적 대독일주의의 등장과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의 대응." 세계역사와 문화연구, 31.(2014): 131-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