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후기 잡체시 창작상의 몇 가지 특징
이용수 101
- 영문명
- Several Characteristics of Creative Writing of Various Types of poems Poems in Late Joseon Dynasty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 저자명
- 이미진(Lee Mi jin)
- 간행물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52輯, 153~18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후기에 활동한 인물 가운데 다종다량의 雜體詩를 문집 내 수록했던 문인군을 살펴보고, 그 중 잡체시 창작 관련 논의에 유의미하다고 판단되는 14인을 추출하여 그들의 작품에 나타난 창작상의 주요 특징을 파악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제공하는 고전종합DB를 적극 활용하여 14인의 작품을 살펴본결과, 특정 시체의 집중 창작, 이전 시기 보이지 않던 새로운 시체의 출현, 기존 작법의 변용, 그리고 특정 연령대의 집중적 창작 등으로 창작상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다만 이는 현상 분석에 지나지 않는다. 문집 내 잡체시의 수록 비중은 正體詩에 비해 현저하게 낮고 어떤 문집에는 전혀 수록되어 있지 않음을 염두에 둔다면 생각해볼 문제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향후 잡체시 연구는 조선시대 문집의 撰者와
編者의 인식의 경계를 넘나들 수 있을 때 보다 그 실상이 선명하게 드러날 것이며, 잡체시 창작에 대한 당대 인식은 조선조 문집 간행 논의와 연동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literary figures listed in various types of poems among figur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extracted 14 figure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for discussing the creative writing of various types of poems, and identified major characteristics of creation shown in their literary works. It actively used classics comprehensive DB provided by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ct and examined works of 14 figures. Four major characteristics such as creative writing focusing on certain poetic styles, the emergence of unprecedented new
poetic style, variation of previous poetic composition, and concentrated writing of certain ages can be summarized. However, this merely analyzes the trend. Considering that the listing proportion of various
types of poems in collections is remarkably lower than right poems and none is listed in a certain collection, there are certain matters to consider. Thus, further studies on various types of poems can approach
the reality when the recognition boundary between writers and readers of literary collection in the Joseon Dynasty can be crosse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awareness on writing various types of poems in that
period needs to be understood in association with the discussion of publishing Jo Seon-jo literary works.
목차
1. 들어가며
2. 문집 내 잡체시 수록 현황
3. 창작상의 주요 특징
1) 특정 시체의 多作 및 連作3) 기존 작법의 變用
2) 새로운 詩體의 출현 4) 특정 시기의 집중적 창작
4. 나오며 : 잡체시, 어떻게 볼 것인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