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음성장애 선별검사 도구로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음성 녹음의 임상적 유용성

이용수 441

영문명
Clinical Usefulness of Voice Recordings using a Smartphone as a Screening Tool for Voice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승진(Seung Jin Lee) 이광용(Kwang Yong Lee) 최홍식(Hong-Shik Choi)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4, 1065~107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Computerized Speech Lab (CSL)과 스마트폰으로 녹음한 모음 샘플에서 음성장애 여부와 기기에 따른 음향학적 측정치의 차이를 확인하고, 기기 간 상관관계와 신뢰도를 알아보았으며, 스마트폰과 CSL이 음성장애에 대해 갖는 선별검사 도구로서의 유용성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방법: 연구대상은 음성장애 환자와 대조군 각 90명이었으며, CSL과 스마트폰으로 녹음한 모음 /a/ 샘플의 주파수변동률(Jitt), 진폭변동률(shim), 소음대배음비(NHR), 켑스트럼 피크 현저성(CPP)과 표준편차, L/H 비율(SR)과 표준편차, 켑스트럼-스펙트럼 발성장애 지수(CSID)를 집단과 기기에 따라 비교하였다. 기기별 동일 측정치 간의 상관관계와 급내상관 계수(ICC)를 산정하였다. ROC 곡선분석을 시행하여 AUC를 기기 간에 비교하였다. 결과: Jitt, Shim, NHR, σCPP에서 집단과 기기에 따른 상호작용이 있었으며, 스마트폰의 F0는 CSL보다 높았다. CPP, SR은 CSL이 스마트폰보다, 대조군이 환자보다 높았다. 반면 CSID, σSR는 CSL이 스마트폰보다 낮았고, CSID는 대조군이 환자군보다 낮았다. 두 기기의 동일한 변수 간에는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 다. 가장 높은 ICC를 보인 변수는 CPP (.962)였고, 가장 낮은 변수는 Shim (.668)이었다. 주요 변수의 AUC는 CSL은 .699-.845였고, 스마 트폰은 .693-.819였으며, 기기 간 AUC의 차이는 없었다. 논의 및 결론: 기기에 따른 측정치 차이가 있었으나, 기기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선별검사 도구로서의 유용성에 차이가 없어 스마트폰이 선별검사를 위한 별도의 절단점을 가진 녹음 장비이자 선별검사 도구로서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selected acoustic measures and estimates differ according to the recording devices, the Computerized Speech Lab (CSL) and a smartphone, and groups. In addition, correlation and reliability between the devices were explored. Lastly, the diagnostic ability of the two devices were compared. Methods: A total of 180 participants (90 patients and 90 contr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Vowel samples of the participants were recorded via the CSL and an android smartphone. For each sample, acoustic parameters including jitter percent (Jitt), shimmer percent (Shim), noise-to-harmonic ratio (NHR), cepstral peak prominence (CPP), L/H ratio, Cepstral Spectral Index of Dysphonia (CSID) were measured. Two-way repeated measures of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OC curve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Interaction effect for Jitt, Shim, NHR, and σCPP between groups and devices were found. F0 measures of the smartphon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SL. CPP and SR of the CSL and pati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martphone and controls, respectively. In contrast, CSID and σSR were higher for the smartphone. All the paramete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vic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rea under curve between the devices, although substantially different cut-off scores were obtained. Conclusion: The current data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of acoustic measures and no difference in the diagnostic ability between the devices, although differences in several measures and higher cut-off scores of the smartphone were noted. In conclusion, smartphones can be used as a screening tool for voice disorder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진(Seung Jin Lee),이광용(Kwang Yong Lee),최홍식(Hong-Shik Choi). (2018).음성장애 선별검사 도구로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음성 녹음의 임상적 유용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4), 1065-1077

MLA

이승진(Seung Jin Lee),이광용(Kwang Yong Lee),최홍식(Hong-Shik Choi). "음성장애 선별검사 도구로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음성 녹음의 임상적 유용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4(2018): 1065-10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