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령전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증거성 표지 이해 특성

이용수 246

영문명
Comprehension of Evidential Markers in Preschool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영은(Young-Eun Lee) 최소영(Soyoung Choi)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4, 858~869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의사소통 상황의 다양한 정보들은 직접적인 경험이나 타인의 보고를 통해 얻어질 수 있으며, 이같은 정보의 출처를 증거성 표지와 통합하여 이해하는 과정에는 적절한 언어인지 능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정보의 출처를 나타내는 문법형태소인 증거성 표지에 대한 이해 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참가자는 4-6세 언어발달지체 아동 15명,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5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5명이었다. 증거성 표지 이해 과제는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정보출처 조건(직접경험 ‘보다’/간접보고 ‘듣다’)이 표현된 그림과 증거성 표지(직접경험 ‘-어’/간접보고 ‘-대’)가 포함된 문장을 제시하고 일치성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결과: 언어발달지체 아동은 생활연령일치 아동 집단에 비해 낮은 증거성 표지 이해 수행을 보였으나, 언어 연령일치 아동과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세 집단은 공통적으로 직접경험 조건에 비해 간접보고 조건에서 어려 움을 보였다. 한편, 증거성 표지 이해 능력은 언어 능력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언어발달지체 아동들이 증거성 표지를 기반으로 정보의 출처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또래 일반아동에 비해 지연된 발달 양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같은 어려움은 언어의 의미와 형태를 넘어 정보출처와 타인의 관점을 추론하는 능력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various discourse situations, information gained through direct experience or through a third party can be expressed as ‘evidential’ through the use of grammar.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evidential’ and the source of the information given, it is necessary to have linguistic and cognitive competence as well as an ability to understand the communicative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LD) to comprehend the meaning of the evidential markers. Methods: Fifteen children (aged 4-6 years) in an LD group, 15 children matched by chronological age (CA), and 15 children match by language age (L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evidential tasks consisted of 32 sentences based on marking type (direct experience ‘-e’ and hearsay ‘-tay’), each combined with a picture of an information source condition (‘seeing’ or ‘telling’). The participants then chose whether the evidential marker was suitable for the given information source condition. Results: The L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ability than the CA matched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D group and the LA matched group. Additionally, in each of the three groups, the participants performed better at identifying the direct experience conditions than the hearsay conditions. Conclusion: The reduced ability of LD children to comprehend evidential markers for information source conditions is understandable not only because of their limited semantic and morphological aspects, but also because they find it difficult to use inference to understand the source concepts or to reason the other person’s perspective.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은(Young-Eun Lee),최소영(Soyoung Choi). (2018).학령전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증거성 표지 이해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4), 858-869

MLA

이영은(Young-Eun Lee),최소영(Soyoung Choi). "학령전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증거성 표지 이해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4(2018): 858-8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