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말늦은 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의미 연결성의 차이

이용수 415

영문명
Differences of Early Semantic Relatedness between Late Talk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유미(Yumi Kim) 임동선(Dongsun Y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4, 845~85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말늦은 아동에 대한 후속 연구는 말늦은 아동에게 잔존하는 언어적 결손이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말늦은 아동의 이러한 언어적 결손이 어휘 개념의 저장된 형태에서 온 것이라고 보고, 말늦은 아동 그룹과 일반아동 그룹 간의 의미 연결성의 차이를 설명하고자 한다. 방법: 영아 55명 중 7명, 유아 169명 중 24명이 말늦은 아동으로 평가되었다. 말늦은 아동 그룹과 일반아동 그룹 간의 표현어휘와 이해어휘의 유사도의 차이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범주별로 비교하였을 때, 영아 이해어휘는 18개의 범주 중 13개의 범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유아의 경우 표현어휘와 이해어휘 모두 일반아동과 말늦은 아동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범주를 제거한 단어의 유사성 비교에서도 세 비교군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말늦은 아동의 잔존하는 언어적 결함이 의미적 연결성에서 보여진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복잡한 의미적 연결성이 어휘의 이해와 표현 모두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위험군(at risk)에 있는 영유아의 언어중재의 중요 성을 시사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Previous studies on late talkers (LT) suggested that residual linguistic deficits would remain in these children as they advance through the higher grades in school.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residual linguistic deficits of LT exist from the infant and toddler stage by manifesting the differences of semantic relatedness betw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and LT. Methods: Two hundred twenty-four reports of Korean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semantic relatedness of infants and toddlers aged from 8 to 36 months. Semantic relatedness was measured by Jaccard’s Index. After measuring the similarity of each group, oneway ANOVA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group differences. Three pairs of comparisons were made: infants’ comprehension, toddlers’ expression, and toddlers’ comprehension. Infants’ expression comparison was not conducted due to zero-expressive-words. Results: The differences between LT and TD infants were significant within the lexical categories in comprehension, except for 5 categories out of 18: ‘Body parts,’ ‘Households,’ ‘Furniture and rooms,’ ‘Places,’ and ‘Quantifiers’. For toddler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very lexical semantic category both in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All three pairs of comparis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out categories.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results suggest that semantic relatedness is the key factor in word learning during infancy and that weak semantic relatedness in early age could lead to remaining linguistic residual deficits. Study results are discussed in regard to early intervention of ‘at risk’ children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intervention for late talkers.

목차

METHODS
RESULTS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유미(Yumi Kim),임동선(Dongsun Yim). (2018).말늦은 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의미 연결성의 차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 (4), 845-857

MLA

김유미(Yumi Kim),임동선(Dongsun Yim). "말늦은 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의미 연결성의 차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4(2018): 845-8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