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은과 영천, 그리고 일본 사행

이용수 43

영문명
Poeun, Yeongcheon, and Japan Travel Records(日本使行)
발행기관
포은학회
저자명
홍순석(Hong, Soon-seok)
간행물 정보
『포은학연구』제22집, 143~17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포은의 시문학에서 주목되는 고향 인식과 일본사행을 ‘영천’·‘포은’·‘명원루’·‘일본사행’ 네 개의 문화코드를 중심으로 살핀 것이다. 포은의 시문학에서 어느 하나를 연구하더라도 이 네 개의 코드는 필수적이다. 본고에서는 우선, 포은과 영천의 지연(地緣)을 주목하였다. 출생·성장·교우·고향인식 등을 통해 포은이 영천의 대표적 인물임을 재확인한 셈이다. 포은의 작호에 ‘익양(翊陽)’이 사용되었음은 포은의 대표적인 연고지를 ‘익양[영천]’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포은과 명원루의 연관성에 주목하였다. 「포은집」에 수록된 <중구일에 익양수 이용의 명원루에 제하다> 시편을 비롯하여 이용에게 지어준 시를 통하여 명원루가 이용이 익양태수 재임 기간 중에 건립하고 중양절인 9월 9일에 낙성연을 베풀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포은과 이용이 옛친구였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조양각의 기원인 명원루의 건립 연도에 주목하였다. 조선시대에 편찬된 여러 영천읍지류 문헌에는 이용이 재임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 「포은집」<연보고이>에도 공교롭게 1369년(공민왕18)~1370년(공민왕19)간의 기사가 없다. 1934년도 간행한 영양지에 이용이 익양[영천]의 부사로 재임한 기간을 1368년 3월부터 1370년 1월로 기록하고 있으며, 영천시에서는 이를 근거로 명원루 창건을 1368년(공민왕17)으로 단정하였다. 그러나, 이용의 <구일에 명원루에 오르다(九日登明遠樓)>의 시구에서 부임한지 2년 되는 중양절, 즉 1369년(공민왕18) 중양절에 준공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포은의 일본사행에 대해 주목하였다. 「동사일기(東槎日記) 」「전후통신사좌목(前後通信使座目)」 에서는 “홍무 정사년(1377, 우왕 3) 고려 신사 정몽주” 라고 하여 역대 일본통신사의 명단에 기록하였다. 해사 일기(海槎日記)에서 보듯이 고려조에 포은이 일본사행을 통해 우호관계를 열었다고 주목하였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일본사행록이 기록으로 전하 고 있음을 전제하면, 「포은집」전하는 포은의 홍무 정사년 일본사행 관련 기록과 시편은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 포은의 일본사행은 조선통신사는 물론 신사유람단에 이르기까지 일본사행의 전범(典範)으로 인식되었다. 포은 이 일본사행의 표상으로 평가되었음은 해행총재의 여러 사행록에서 확인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uggests awareness of hometown which is noticed in Poeun’s poetry literature and Japan travel records(使行) focusing on ‘Yeongcheon’, ‘Poeun’, ‘Myeoungwonloo(明遠樓)’, and’ Japan travel records(使行)’. Those four are essential to Poeun’s poetry literature. First, regionalism(地緣) of Poeun and Yeongcheon are addressed in this paper. Poeun is reaffirmed as an dominating figure through birth, growth, friendship, and awareness of hometown and so on. That ‘Ekyang(益陽)’ is used on Poeun’s nickname(綽號) indicates Poeun’s representative hometown is ‘Ekyang[Yeongcheon]’. Second, relation of Poeun and Myeoungwonloo(明遠樓) is noted. Through not only Poem was written to Leeyong(李容) but also poetry, <重 九日題益陽守李容明遠樓>, it was confirmed that Myeoungwonloo(明遠 樓) is built during Ekyangtaesoo(益陽太守)’s term and Naksseongyeon(落 成宴), a banquet, was held on Joongyangjeol(重陽節), the ninth day of the ninth lunar month. In addition, Poeun and Leeyong are identified as old friends. Especially, it is noted that the dating of the building of Myeoungwonloo (明遠樓) which originated in Joyanggak(朝陽閣). The fact that Leeyong is served was not recorded in the literature of Yeongcheoneupjji(榮川邑誌) published in Choson Dynasty. Even, in yeonbogoi(年譜考異), Poeunjip(圃 隱集)’s anthology, there was no mention from 1369(King Gongmin18) to 1370(King Gongming 19). Leeyong’s tenure as the public office(府使) of Ekyang(益陽)[Yeongcheon (永川)] was recorded from March 1368 to January 1370 in Youngyangji(永陽 誌) published in 1934. On that basis, that the foundation of Myeoungwonloo (明遠樓) is in 1368(King Gongming 17) has been concluded in the poetry of Yeongcheon. However, in the verses of Leeyong’s <九日登明遠樓>, the the building of Myeoungwonloo(明遠樓) was completed in Joongyangjeol(重 陽節) in 1369(King Gongmin18), second year as the his public office(府使). Next, Poeun’s Japan travel records(使行) is noticed. in 東槎日記 and 前後通信使座目 . “洪武 丁巳年(1377, King U3) Goryeo Shinsa Jeong Mong-ju” was recorded in the list of the envoys to Japan. In 海槎日記 , it was mentioned that Poeun opened up friendly relations through Japan travel records(使行) in the Goryeo dynasty(高麗朝). With Japan travel records(使行錄)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cords and poetry on Poeun’s Japan travel records(使行) on1377(King U3) are significant historical sources. Poeun’s Japan travel records(使行) has been recognized as a classic(典範) of Japan travel records(使行) from Joseon Tongsinsa to Sinsayuramdan. That Poeun has been regarded as a classic of Japan travel records has been confirmed in many travel records of Haehaengchongche (海行摠載)

목차

1. 머리말
2. 포은과 영천
3. 포은과 명원루(明遠樓)
4. 결 어
1) 포은의 일본사행 배경과 성과
2) 일본 사행에서 지은 시편
3) 일본사행의 표상으로 평가된 포은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순석(Hong, Soon-seok). (2018).포은과 영천, 그리고 일본 사행. 포은학연구, 22 , 143-170

MLA

홍순석(Hong, Soon-seok). "포은과 영천, 그리고 일본 사행." 포은학연구, 22.(2018): 143-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