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종교’의 동의범주 ‘道’와 ‘敎’의 차별성 검토

이용수 8

영문명
Differentiation of ‘religion’ consent Category ‘道’ and ‘教’ review
발행기관
대한중국학회
저자명
김정필(Kim, Jeong-Pil)
간행물 정보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中國學 第63輯, 145~155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자 ‘道’와 ‘教’는 동의어에 속하지 않지만, ‘종교’의 의미범주를 가진 형태소로 활용되는 경우에는 동일하게 이해하는 경향이 많다. 하지만 본문은 종교의미의 ‘道’와 ‘教’가 형태소로서 어휘를 구성하면서 나타나는 의미항목의 차이점에 대해, 다양한 어휘자료를 분석하여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道’는 본래 원형의미가 가지고 있던 추상적인 원리가 여전히 작용함으로써, ‘종교’의 미를 나타낼 때에도 여전히 구체적인 행위나 실천으로 전이되지 않았다. 이와 반대로, ‘教’ 또한 비록 ‘教理’나 ‘教法’ 등으로 표현될 때는 ‘道’의 의미범주에 근접하고 있지만, 여전히 추상적 원리에는 접근하지 못하고 구체적인 행위와 연관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비록 일상 적인 종교 활동에서 ‘宣教’와 ‘传道’가 혼용되어나 반대로 이해하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만약 원형의미를 근거로 해석을 할 경우에는 ‘传道’는 교리의 전달에 초점이 있으며, ‘宣教’는 교세의 확장과 관련된 교도(教徒)들의 구체적인 활동으로 구별하여 이해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We assume that the language has the same meaning for many synonyms. However,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none of the many language symbols we use have the same meaning. Although we can not find any difference between the meaning categories of different Chinese characters, we can see the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Chinese character morphology forming another vocabulary. In the paper, we have found that 道 and 教 have a certain boundary in constructing vocabulary by examining various vocabularies used as morphemes. First, it can be seen that 道 is not transferred into concrete meaning when expressing religion meaning because of the expression of abstract principle originally possessed by circular meaning. Although 教 is also close to the 道 semantic category when expressed as 教理 or 教法 , it still does not approach the abstract principle and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concrete actions. However, when interpreting on the basis of the circular meaning, 传道 is based on the pastor s teaching the doctrine, and 宣教 should be understood as the concrete activities of the religionists related to the expansion of the church. Another falsification is that in Buddhism, the propagation or expansion of Buddhist thought is called A , but not in B . In other words, vocabularies that function morphemically in vocabulary beyond a single word, except a which is used singly in terms of lexical composition, are mostly related to the translation of Buddhist terms, and Taoism is associated with fresh ideas and is taken as a morpheme.

목차

1. 서언
2. ‘道’와 ‘教’의 동의성 의미항목과 의미역
3. 형태소 ‘道’와 ‘教’의 어휘구조 비교분석
4. ‘道’와 ‘教’의 의미범주에 대한 도상화 분석
5.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필(Kim, Jeong-Pil). (2018).‘종교’의 동의범주 ‘道’와 ‘敎’의 차별성 검토.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63 , 145-155

MLA

김정필(Kim, Jeong-Pil). "‘종교’의 동의범주 ‘道’와 ‘敎’의 차별성 검토."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63.(2018): 145-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