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쟁 사회에 나타난 힐링 담론 고찰

이용수 414

영문명
A Study on the Self-Healing Discourses in a Competitive Society - Focusing on the Relational Insight of Buddhist Meditation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오용석(Oh, Yong-Suk)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54호, 237~26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경쟁 사회에 나타난 힐링 담론을 불교명상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자기 계발의 사회에서 등장한 힐링 담론 그리고 힐링 담론의 연장선에서 이해되고 있는 명상은 명상이 가진 본질적인 의미를 충분히 드러내고 있지 못하다. 힐링 담론에서 이해되고 있는 명상은 사회 구조의 한계에서 비롯된 문제를 자기계발을 하지 못하여 생긴 문제로 착각하게 만든다. 이러한 힐링 담론에는 사회 구조를 통찰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시선이 결여되어 있다. 새로운 사회와 공동체를 꿈꾸지 못하게 할 뿐 아니라 모든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환원시키는 소극적 삶을 유도한다. 반면에 불교에 기반하고 있는 관계론적 명상은 마음을 독자적 실체가 아닌 연기론적 입장에서 파악하여 사회 구조의 문제까지 통찰하게 한다. 이러한 관계론적 통찰은 공정하지 못한 경쟁의 구조에 의해 생성된 이기심, 지역주의, 학력위계주의 등을 해체할 수 있는 힘으로 나타날 수 있다. 즉 사랑과 자비의 실천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명상은 명상의 본질에 가장 가까운 명상으로서 유심론적 명상과는 성격이 다르다. 특히 관계론적 명상은 연민심과 이타적 행위를 기반으로 사회, 윤리, 과학, 정치 등의 차원에서 활용될 수 있다. 즉 명상의 담론이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우리 모두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무아적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한 관계론적 명상은 우리를 서로 사랑하고 연대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관계론적 통찰을 통하여 우리 사회구조의 문제를 인식하고 인간적 가치와 사랑이 훼손되지 않는 새로운 사회의 변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examine the practice and propagation of Buddhist meditation in the competitive society of a capitalistic world from the self-healing perspective. Healing discourses that have emerged in a society obsessed with self-development, as well as meditation that is being practiced as an extension or augmentation of healing approaches, have not fully uncovered the essential meanings of meditation. Meditation, when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self-healing, allows problems arising from limitations of the social structure to be mistaken for problems caused by a failure in self-development, eventually leading us towards a passive life that not only erroneously ascribes all problems as individual problems, but also deters us from envisioning new societies and communities. On the other hand, relational meditation, which is based on Buddhism, allows the mind to approach problems of the social structure from the viewpoint of the actor rather than that of independent reality. This relativistic insight can potentially become a force for dismantling selfishness, regionalism, academic hierarchy, etc. created by the structure of unfair competition. In other words, these meditations are manifested in the practice of love and compassion. Relational meditation is a practice closest to the true essence of meditation. In particular, relational meditation can be applied to social relations, ethics, science, and politics based on conscientiousness and altruistic behavior. In other words, it show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discourses of meditation in various ways. Furthermore, relational meditation based on the selfless understanding that we are all connected together drives us to love and support one another. Through a discussion of relational insight in this paper, we recognize the problems inherent in our social structure an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a new society, in which love is not lost and human values are not corrupted.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우리에게 남겨진 경쟁의 자화상
III. 힐링 담론의 한계와 문제점
IV. 불교명상에 나타난 관계론적 통찰
V.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용석(Oh, Yong-Suk). (2018).경쟁 사회에 나타난 힐링 담론 고찰. 불교학연구, 54 (54), 237-267

MLA

오용석(Oh, Yong-Suk). "경쟁 사회에 나타난 힐링 담론 고찰." 불교학연구, 54.54(2018): 237-2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