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 오대산문수신앙의 성립에 대한 재검토

이용수 291

영문명
A Review on the Mount Odae Mañjuśrī Belief of Silla Dynasty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곽뢰(郭磊, Kwak, Roe)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54호, 95~11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대산문수신앙과 문수신앙은 별개의 연원에서 출발하는 신앙들이며 , 두 신앙은 구분하여 보는 것이 타당하다. 문수신앙은 대승불교의 보살사상에 의거한 신앙이며, 오대 산문수신앙은 「화엄경(華嚴經)」「보살주처품 (菩薩住處品)」에 나오는 청량산(淸凉山)을 중국의 대주(代州) 오대산으로 해석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 것이다. 중국 오대산문수신앙의 형성 과정은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동진시대부터 남북조시기까지(418-581)를 ‘ 문수신앙의 출현 시기 ’ 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수부터 당까지(581-798)를 ‘ 문수신앙의 흥성 및 오대산문수신앙의 출현 시기 ’ 라고 규정할 수 있다. 수당 시기에 이르러 문수신앙이 군주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기 시작하였는데 , 특히 오대산이 7세기 후반에 당나라 군주가 지원하는 전국적인 성산 (聖山) 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신라 오대산문수신앙의 수용 시기는 8세기 중엽을 넘어서지 않는다. 법장(法藏, 643-712)이 편찬한「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권 15에서 청량산이 대주 오대산이라 고 설명한 내용이 있다. 이러한 내용이 승전(勝詮, ?-?) 을 통해 신라로 전래되었고, 이후 의상(義湘, 625-702)도 인지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 청량산 = 오대산 ’ 이라는 인식이 의상 현존시기에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가능성을 가진 전래 과정을 통해 오대산문수신앙은 신라 중대에 전격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8세기 초부터 중반까지 신라는 내부적으로 혼란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위협으로 인해 불안정한 시기였다. 이러한 당시 신라의 정세를 생각해 볼 때, 오대산문수신앙을 수용한 정황이 좀 더 명확해진다고 할 수 있다. 즉, 성덕왕이 즉위할 때와 즉위 이후에 왕권 강화에 도움을 준 명주지역의 불교 세력을 규합하여 현세적 이익 측면의 성격이 강한 오대산문수신앙을 체계화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Manjusri Belief and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belong to different forms of religious belief systems. The former is categorized into the Bodhisattva school of Mahayana Buddhism and the latter has been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Avatamsaka Sutra. The development of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in China can be divided into two stages. First, the era of the Eastern Jin Dynasty and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418-581),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Emerging Period of the Manjusri Belief”. Second, the establishment period of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from the Sui Dynasty to Tang Dynasty (581-798). The time when the Mount Odae Manjusri Belief in Silla was established cannot be earlier tha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As Fazang accounted in the fifteenth volume of his Exploratory Notes to the Mystery of Avatamsaka Stutra, the Qingliang Mountain was also referred to Wutai Moutain of the Daizhou. Around 692, Fazang requested Seungjeon( 勝詮 ), who was about to return to Silla, to deliver this work, as well as other letters, to Uisang for review. Later, as the King Seongdeok( 聖德王 ) succeeded to the throne, much attention was attached to Odae Mountain areas due to the military and political importance. From the early to mid-8th century, Silla was not only internally disturbed, but unstable due to external threats.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Silla at that time, the circumstances become clear under which Silla accepted the Mount Odae Manjusri Belief. It is understandable that King Seongdeok organized the Mount Odae Manjusri Belief by mobilizing Buddhist forces in the Myeongju( 溟州 ) area that helped strengthen his kingship.

목차

I. 머리말
II. 당 오대산문수신앙의 성립시기
III. 「삼국유사」속 오대산문수신앙 관련 기록
IV. 오대산문수신앙의 신라 전래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뢰(郭磊, Kwak, Roe). (2018).신라 오대산문수신앙의 성립에 대한 재검토. 불교학연구, 54 (54), 95-118

MLA

곽뢰(郭磊, Kwak, Roe). "신라 오대산문수신앙의 성립에 대한 재검토." 불교학연구, 54.54(2018): 95-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