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석재 서병오(石齋 徐丙五, 1862~1936)의 기명절지화 연구

이용수 32

영문명
Study on Ki-myung-chul-ji-wha(器皿折枝畫) by Seokjae Seo Byeong-oh (石齋 徐丙五, 1862~1936), the Literary Artist of Daegu in Early Modern Times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이인숙(In-suk Lee)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55집, 375~40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석재 서병오(石齋 徐丙五, 1862~1936)는 근대기 대구의 서화가로 서예와 사군자화를 중심으로 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 중에는 개성적인 화풍으로 전개시킨 기명절지화(器皿折枝?)가 있다. 서병오의 기명절지화는 자신의 사군자화 필묵법을 그대로 적용한 수묵사의(水墨寫意)화풍으로 당시 서울화단의 채색공필(彩色工筆)화풍과 크게 다르다는 사실은 의미가 크다. 서병오로 인해 근현대기 대구 전통화단에서 기명절지화가 성행한 사실 또한 중요하다. 이 연구는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서병오의 기명절지화가 한국 근대미술사와 20세기 대구 전통화단에 큰 의의가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조선 말기 장승업(1843~1897)의 기명절지화는 화원화풍과 문인화풍을 복합한 절충적인 것이었으나, 근대기 서울화단에서 장식적인 채색과 정교한 필치의 화원화풍으로 이어졌다. 반면 서병오의 기명절지화는 수묵의 발묵성과 사군자화와 유사한 일필(一筆)의 문인화풍으로 전개되었다. 서예가, 사군자화가인 서병오가 기명절지화를 그린 것은 문(文)의 문화와 문방(文房)을 배경으로 하는 기명절지화의 화의(畵意)에 공감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서병오의 기명절지화에 나타난 일기가성(一氣呵成)의 서예적 필치와 창윤(蒼潤)한 묵법은 기명절지화의 또 다른 미적 범주를 보여준다. 근대기 기명절지화는 서울과 대구, 두 도시에서 각기 다른 화풍으로 전개되었다. 서병오 기명절지화의 전개를 세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전형적인 도상과 구도를 따른 ‘정식 기명절지화’, 군자화목(君子花木)의 분(盆)과 약간의 기명절지화 도상이 첨가된 ‘분(盆)중심 기명절지화’, 화훼화, 사군자화로서 기명절지화로도 볼 수 있는 ‘분(盆)기명절지화’등이다. 서병오의 기명절지화는 도상이 점차 간결해져 길상의 상징물, 장식품, 문방구 등이 생략되어 문방에 있는 최소의 것인 기명과 절지로 분(盆)과 군자화목만 남게 된 것으로 파악된다. 대구에서 기명절지화는 1910년대에 나타나 이후 199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그려졌다. 근현대기 대구 전통화단 작가들은 사군자화를 위주로 하면서 대부분 기명절지화를 겸하였다. 서병오, 긍석 김진만(肯石 金鎭萬, 1876~1933), 죽농 서동균(竹? 徐東均, 1903~1978) 등은 이러한 현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서병오는 수묵사의화풍으로 기명절지화를 소개하였고, 김진만은 기명절지화를 다작함으로서 근대기 대구화단에 정착시켰으며, 서동균은 새로운 화풍으로 변화시킴으로서 현대기로 이어지게 하였다.

영문 초록

Seokjae Seo Byeong-oh is a painter in Daegu in modern times, who mainly worked in calligraphy and paintings four gracious plants.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Seokjae Seo Byeong-oh’s Ki-myung-chul-ji-wha, which have literary artist’s style of painting, had an effect on Korean modern art history and Daegu traditional painters’ group of the 20th century. Ki-myung-chul-ji-wha, which was born in Seoul in the late 19th century, that includes a mood of elegant study, a desire for practical good luck, and an enjoyment of easy and free daily life. Jang Seung-eop expressed these meanings of painting with various materials and compounded style such as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and professional painters style. In modern period, Ki-myung-chul-ji-wha was led to a finely-drawn color figure style among the artists in Seoul. On the other hand, Seo Byeong-oh’s Ki-myung-chul-ji-wha is considered as the literary artist’s style of brush and ink. The two styles of painting that are compounded in Jang Seung-eop’s Ki-myung-chul-ji-wha were developed in different ways in two cities, Seoul and Daegu, in modern period. Seo Byeong-oh’s Ki-myung-chul-ji-wha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formal Ki-myung-chul-ji-wha’ that followed typical image and composition, ‘Ki-myung-chul-ji-wha centered on gracious plants basin’, and ‘gracious plants basin Ki-myung-chul-ji-wha’ that can be seen as gracious plants paintings. More and more his paintings developed in a condensed way and it left out the decoration and ostentation and painted minimized things in a study, a plant basin. In these, Seo Byeong-oh expressed inner image of ‘literary artists’ deeply and simply, who grew plants, flowers, and trees as a main figure in a study. Seo Byeong-oh’s Ki-myung-chul-ji-wha shows a composition that poems, calligraphic writings, and paintings are organically combined. And so this the literary artist’s style of painting, expressing the beauty of brush and ink, has to be evaluated as an essential value of painting tradition in Chinese cultural area. It is considered that Se Byeong-oh’s Ki-myung-chul-ji-wha was naturally appeared in the midst of enjoying the taste of arts in the study associating with brush and ink. Which was totally different from the mainstream at that time, would have been possible on the basis of broad vision about this kind of painting including Jang Seung-eop and self-confidence in this own style of painting. In Daegu, Ki-myung-chul-ji-wha had started to show up in the 1910s and since then it was painted constantly till the 1990s. The artists of traditional paintings in Daegu during 20th century painted mainly four gracious plants, and most of them also painted Ki-myung-chul-ji-wha. Seo Byeong-oh, Geungseok Kim Jin-man(肯石 金鎭萬, 1876~1933), Juknong Seo Dong-gyun (竹? 徐東均, 1903~1978)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se stream.

목차

Ⅰ. 머리말
Ⅱ. 기명절지화의 의미와 근대기 서울화단 기명절지화
Ⅲ. 서병오의 기명절지화
Ⅳ. 근현대기 대구화단 기명절지화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인숙(In-suk Lee). (2013).석재 서병오(石齋 徐丙五, 1862~1936)의 기명절지화 연구. 민족문화논총, 55 , 375-406

MLA

이인숙(In-suk Lee). "석재 서병오(石齋 徐丙五, 1862~1936)의 기명절지화 연구." 민족문화논총, 55.(2013): 375-4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